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욕, 무슨 뜻인지 알고 있니?

by 김유빈 posted Jul 27, 2014 Views 304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09.JPG


  요즘 청소년들의 대화를 살펴보자. 한국 교육 개발원에 의하면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욕은 씨X, X 등이 있었고 욕을 가끔 사용 한다 41.8%로 가장 많았고 자주 사용 한다 18.8%, 습관적으로 사용 한다 12.8%,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1.2%,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5.4%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청소년의 욕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가지 정도의 해결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는 [욕 사용하지 않기] 캠페인이다. 이것은 욕 뿐 만이 아니라 행동과 언어문화 개선에 효과적이다. [욕 사용하지 않기] 캠페인은 반에서 한명이 욕하는 사람을 적고 그 날 욕을 제일 많이 한 사람이 바른 말 사용하기혹은 다른 표어를 적은 띠를 매고 교내를 돌아다니며 캠페인을 하는 것이다.


   이는 EBS 다큐프라임에서 청운중학교, ‘홍익 사대 부속고등학교에서 실시한 바 있으며 이 활동을 한 학생들은 자기 언어에 대해 성찰할 기회가 생겨 그 계기로 욕설 사용이 줄어들 것을 기대했다


   두 번째는 욕의 뜻을 제대로 알고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X-정신적으로 모자라거나 신체에 결함이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전형적인 욕설.’, ‘X-간질병등이 있다. 이렇게 제대로 된 뜻을 알고 나면 민망하고 충격적인 반응을 보이고 이로 인해 욕설 사용이 줄어들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청소년이 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남들의 시선 때문에이다. 우리는 남들의 시선 때문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질을 높이는 언어문화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468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219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2001
알고 있다고 다 아는 것이 아닌 '독도' 3 file 2015.07.27 명은율 23394
봄 가득 희망 가득 '삼척 맹방유채꽃축제' file 2019.04.12 박지영 23424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3463
지금은 인공지능 시대! 4차 산업혁명 시장의 트렌드, SCG가 분석하다. 2 file 2017.04.19 서경서 23470
예전과 달라진 오늘날의 추석 1 file 2016.09.25 김나연 23489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3500
부산 마을버스 신형 단말기 설치 중 file 2016.03.19 박성수 23543
투표는 만 19세 이상만 가능하다? 청소년들, 소중한 한 표를 던져보자! 2 file 2017.05.09 홍정민 23546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3548
구글, 차기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고음질 'LDAC' 코덱 기본 탑재! file 2017.05.22 김지훈 23551
학교 별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인기 file 2016.03.22 조하은 23563
'주토피아'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7 file 2016.03.25 유한나 23571
너 학교 끝나고 뭐 해? 나랑 카페 갈래? 스터디카페! 3 file 2019.07.09 하늘 23599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광주 칠석동 고싸움놀이 축제' 1 file 2019.04.25 조햇살 23604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3649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오긴 오잖아? 2017.03.25 장민수 23686
구한말 개화기로 돌아가다, 논산 선샤인랜드 file 2018.12.19 정호일 23706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3721
코엑스에서 만나는 전국 방방곡곡 여행지 2 file 2017.02.17 김지아 23725
게으른 공부습관, 스터디 플래너로 바꿔보자! 10 file 2017.09.01 김다정 23791
대만 인기 퀴어 영화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 넷플릭스로 찾아온다 file 2020.12.04 김예슬 23830
'태양의 후예' 시청률 30% 돌파 직전, 무엇이 그토록 열광하게 만드는가 2 file 2016.03.24 김경은 23834
수학여행 보고서 file 2016.05.28 이서연 23860
'첨성대·동궁과 월지' 등 경주 문화유적지,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 file 2017.02.28 박지홍 23866
직접 써본 네이버 ‘스마트렌즈’, 과연 스마트할까? file 2017.07.21 정진미 23887
[사설]시민(時敏) file 2017.07.09 이하영 23913
드라마'도깨비'에 담긴 한국 설화 1 2017.02.25 김성은 23960
일본 해외 체험 연수 - [제 1일 차] 오사카에 발을 딛다 1 file 2016.04.05 김준하 23991
청소년증? 학생증? 18 file 2017.02.20 김애란 24027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과 파레토 최적문 1 file 2018.06.21 김민우 24031
서울 꽃구경 핫플레이스는 어디일까? 5 file 2016.04.07 이다혜 24047
길거리에서의 흡연, 개선 방법은? 1 file 2017.09.27 어윤서 24066
감탄문과 감탄사 -무슨 의미인지는 아시나요? file 2014.08.10 최지인 24073
화창한 가을, 대전 문화원의 날 file 2014.10.23 정진우 24076
국제 사회에 한 발짝 더 가까워 지는 문, 모의유엔(MUN) 7 2017.02.03 박소희 24086
랜덤채팅, 채팅 앱 속 유흥업소 5 file 2017.02.25 박유은 24108
예비 고1, 아무도 알아주지 않은 작지만 거대한 그들의 상처 3 file 2020.12.24 문청현 24113
대안학교 학생들이 모였다! 대안학생연대 2017.10.13 장재호 24164
새로운 환경운동을 위하여,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3 이다빈 24165
한의학의 이모저모) 컬러푸드와 음양오행 2016.06.05 신이진 24177
약물의 투여 방법, 어떤 차이가 있을까? file 2021.06.28 김정희 24208
청소년이 그려내는 통일의 미래가 펼쳐진다 2017.08.22 윤예진 24229
대한민국이 묻는다-완전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하다 10 file 2017.02.11 이나영 24274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296
샤오미, 3월 27일 신제품 라인업 다수 발표 1 2020.04.01 김정환 24296
제7회 전국상업경진대회 시상식, 부산 대표단 참석 file 2017.10.10 신지윤 24299
당신이 모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어버이날의 유래 2 file 2017.05.05 이세영 24382
해피 할로윈! 롯데월드와 에버랜드, 야심차게 준비한 '할로윈 페스티벌' file 2016.09.25 김경은 24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