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

by 유진 posted Jul 27, 2014 Views 233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청소년의 언어문화에 관한 나의 생각 -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


4명의 친구에게 카톡을 보냈다. [.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지 않냐? 그리고 그들의 반응을 요악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a. 뻐카충 뻐킹 피카추 오 나의 전진

b. 네 말투 왜 그래?

c. (읽씹)

d.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x100


가장 먼저 A뻐카충오나전을 아예 들어보지도 못한 눈치였다. 위의 제시한 답변 말고도 A는 스스로의 상상력을 펼쳐 많은 예상 답변들을 내놓았다. B의 답변은 사실 필자의 자체 검열과 언어 순화가 절실히 필요했다. 내가 쓴 단어들에게서 깊은 반감을 느꼈는지 몇 시간 정도를 줄임말과 오타로 답장을 일관했다. C는 말 그대로 내 메시지를 읽씹했다. 읽씹이란, 읽고 씹다의 준말로 카카오 톡이나 문자를 확인하고 나서도 일부러 답장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쉽게 말하자면 가볍게 무시한 것이다. 마지막 D의 경우에는 C와 다를 바가 없다. 답장을 하고 안 하고의 차이일 뿐, 내 단어 선택을 비웃은 건 똑같을 테니까 말이다.

어른들은 말한다. 청소년의 은어 사용은 올바른 한글 사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청소년 언어문화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다. 뻐카충, 오나전을 검색해 봐도 이와 관련된 기사만 수십 개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어른들에게 청소년들은 묻고 싶다. 뻐카충이, 오나전이, 파덜어택(아버지(파더·father)에게 혼난다(어택·attack)’는 의미로 사용되는 신조어.)이 대체 뭐예요?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모든 말을 줄여서 쓰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 요즘 아이들이 되어있던 것이다.

어른들의 시선이 마냥 비뚤어졌다는 뜻은 아니다. 그렇다고 청소년의 입장을 두둔하고자 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여전히 어른들이 모르는 청소년의 언어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의 은어 사용에 문제점이 아예 없다고 할 수 없다. 단지 은어 사용을 비판하기 위한 은어가 많다는 점을, 필자는 말하고 싶은 것이다. 청소년의 입장에서도 어른들의 메시지를 볼 때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이 분명 존재한다. 모든 집단에게는 그들만의 은어가 있다. 그것은 언어의 일부고, 또 하나의 문화다. 은어가 가지고 있는 역기능만큼, 순기능도 크게 작용하기 마련이다.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도, 무작정 비판하고 배척하는 것도 올바른 태도와는 거리가 멀다.

한 단계 나아가자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대화’다. 흔히들 말하는 요즘 아이들과 어른들 간에는 소통이 부족하다. 언어문화의 한계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생각을 들어봐야 한다. 먼 주제라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소통의 부재로부터 발생된 이야기나 마찬가지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소통과 대화,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지 않은가. 모두에게는 던지고 싶은 많은 질문들이 있다. 모두들 각자의 마음을 열고, 그 질문들을 하나둘씩 던져보는 것은 어떨까.

P.S. 참고로 - 답장은 필수이자 예의다. 부디 읽씹 하는 일은 없길 바란다!



고양예술고등학교 2학년

이유진 기자

luzin524@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061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0367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24717
삼국삼색의 호랑이 file 2018.03.27 이지영 15210
삶의 편리를 증진시켜 주는 인공지능기술! file 2017.07.15 권하민 14115
삶의 질 향상과 편리를 증진시켜주는 드론기술! 1 file 2017.05.26 권하민 18127
삶에 색깔을 더하다:팬톤이 정한 올해의 색 그리너리(Greenery) 4 file 2017.04.16 김가빈 15092
살아있는 지질박물관, 비둘기낭 2017.08.08 강지현 15016
살기 좋은 과천의 기자단, 과천시 소셜시민기자단 간담회 file 2017.02.27 이연진 14008
산업혁명이 또 일어난다고? 2 file 2018.03.01 손정해 14379
산과 염기 file 2019.11.25 김유민 18202
삭막한 사회에서 보는 한 줄기 희망과 같은 드라마, '시그널' file 2017.03.23 강지수 17416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디지털 기술 활용 제안하는 온라인 민주주의 캠프 진행 file 2022.09.05 이지원 8135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 격상 시 변화되는 우리의 일상은? 3 file 2020.12.21 신재호 11990
사회의 변화, 무조건 좋은 것인가? file 2017.07.21 김다희 14301
사회연대은행-한화생명, 자립준비청년 지원 나섰다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7673
사회 풍자의 정석, 동물농장을 읽다. file 2017.04.14 박소이 21258
사회 곳곳에 자리잡을 인공지능,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7.04.25 장영욱 16650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유기동물 행복 찾는 사람들 입양 캠페인 2 file 2019.03.08 정수민 16849
사지 마세요, 입양하세요 1 file 2016.07.30 이나은 15238
사전투표, 이렇게 한다! file 2017.04.25 이태연 12688
사소한 것부터의 정성, 조선 왕실의 포장 예술 2 file 2017.08.17 김나림 14817
사랑하는 내 가족을 지키세요! 실종예방, 등록하면 빨리 찾는 사전 등록제 1 file 2017.03.27 김수정 14624
사랑이 꽃 피는 교실 - 지역협동조합 자원봉사 활동 취재 file 2016.07.24 이지은 14903
사랑의열매 나눔공모전 시상식 개최 file 2019.12.27 정수민 13850
사랑의 매를 아시나요? 2 file 2017.09.04 김서영 14555
사랑을 나누는 모자뜨기 캠페인, 올해로 10주년 맞아 5 file 2017.02.23 허현익 14746
사랑과 나눔이 함께하는 '2017 나눔 워킹 페스티벌' 2017.10.16 최유리 12936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307
사람들의 힐링 공간, 한강 시민 공원 file 2017.05.25 정미루 14587
사람들의 영원한 네버랜드, 테마파크 더 발전하다 5 2016.02.25 명은율 17554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발견, 마스크 패션 유행 2 file 2020.10.26 김수연 12238
사람들의 냉랭한 인간관계, 더불어 일어나는 소통문제 3 file 2017.03.09 김나림 14085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9006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그날까지, 제 14회 서울환경영화제, 막을 내리다 1 file 2017.05.24 주소현 13236
사라지는 동전 file 2017.02.25 오경서 15259
사라져버린 대한민국 7 file 2017.02.19 김다혜 14015
사라져가는 비디오 대여점,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돌아오다 13 file 2017.02.21 백지웅 15925
사라져가는 돈, 박물관에서 보게 되는 날이 오고있다 2 file 2017.03.17 이세희 13600
사드배치 이후 서울의 변화 file 2017.05.14 옥승영 14627
뿌연 하늘과의 작별은 언제쯤? file 2017.04.25 김용준 13091
뽀모도로 공부법으로 같이 공부하자! 4 file 2020.04.16 박효빈 14992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 file 2014.07.27 이유진 23360
빼빼로 데이는 마케팅 효자? 1 file 2017.11.28 이종은 14076
빨라지는 개화시기, 이젠 꽃구경도 선착순으로? file 2021.04.27 김시현 12235
빠져나가는 월트디즈니 작품들, 디즈니플러스 독점에 대한 예고일까? file 2020.09.29 박민아 13466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8963
빛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일까? file 2017.10.13 박현정 15967
빛과 색채의 눈부신 조화 '르누아르의 여인' <서울시립미술관> 4 file 2017.04.10 임경은 15686
빛공해의 심각성-'불을 꺼도 앞이 보여요.' 1 file 2017.09.01 김해원 15883
빙판 위의 호랑이, 팀 '아이스타이거즈' 1 file 2020.02.06 김민결 175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