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by 6기장나은기자 posted Feb 22, 2017 Views 565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사람이 많은 번화가나 시내를 지날 때, 우리는 수많은 간판들과 마주치게 된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이곳이 대한민국이라는 사실이 무색하게도 그 많은 간판들 중 순우리말을 사용해 상호로 내건 간판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우리말 연구학회인 외솔회에 따르면, 김진희 한남대 교양융복합대학 강사가 2015년 성균관대학교 경기도 수원캠퍼스 일대의 간판 608개의 표기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고유어를 사용한 간판은 72(11.8%), 외래어를 사용한 간판은 204(33.6%)로 각각 가장 낮은 비율과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혼용어(31.6%) 한자어(23.0%) 또한 외래어의 뒤를 이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처럼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외래어, 영어 표기 간판은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80년대 초중반을 시작으로 해서 88년 서울 올림픽과 여행 자율화를 맞이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정부에 의해 통제됐던 외국과의 자유로운 인적교류가 갑자기 급증하면서 외국문화에 대한 막연했던 동경이 외국어로 된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져 이런 결과로 이어진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111.jpg

[이미지출처-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4기 사회부기자 장나은 촬영]


 외국어 간판으로 뒤덮인 거리 모습이 안타까웠던 필자는 직접 순우리말을 사용한 간판을 찾아보았다. 가장 먼저 발길을 향한 곳은 젊은 세대가 즐겨 찾는 홍대 앞 번화한 거리였다. 간판이 많은 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순우리말 간판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한글 간판은 많지만 영어나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했을 뿐 순우리말로 된 간판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소년이 든 가위>라는 미용실 간판을 발견하고 들어가 사장님과 얘기를 나눴다.


영어 간판이 많은 요즘, 특별히 순우리말이 들어간 상호를 지으신 이유가 있냐고 묻자 사장님께서는 “00헤어. ##커트 등의 흔한 간판보다는 좀 더 사람들 눈에 띄기에도 좋고, 전하고자 하는 뜻과 의도를 명확하게 담은, 매장콘셉트와 맞는 상호를 지었다라는 대답을 해주셨다. 손님들의 반응이 어떤지에 대한 질문에는 간판이 독특하고 예뻐서 들어오셨다는 분들도 꽤 많다라고 답해주셨다.



222.jpg

[이미지출처-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4기 사회부기자 장나은 촬영]


두 번째로 방문한 곳은 홍대의 <와줘서 고마워>라는 카페였다. 휴무임에도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다행히 질문을 드릴 수 있었다. 앞에서와 같은 첫 질문을 건네자 한글 자체가 예쁘다. 영어 간판들이 참 많지만 한글이 독특하기도 하고, 6~7글자의 문장은 한번 보면 뇌리에서 잘 지워질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순우리말 문장으로 상호를 만들었다 라고, 주변 반응에 대한 질문에는 독특한 우리말 상호이다 보니 기억을 많이 해주신다문장이다 보니 의미 전달도 더 쉽다, 택배기사분들처럼 우리 가게를 처음 보시는 분들도 많이 기억해주신다라고 대답해주셨다.


취재를 마치며 돌아가는 길에서도 역시 우리말 간판보다 외래어나 영어 간판이 더 많이 보인다. 하지만 전보다는 우리말 간판이 점점 각광을 받고 있다. 유행을 이끄는 청소년이나 청년들의 sns 속에도 한글 간판 관련된 게시물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2016년 서울시에서 주최한 좋은 간판공모전 수상작 6개 중 3개가 순우리말이 쓰인 간판이기도 하다.


세계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우리말 간판 사이에서 외국어 간판이 더 돋보였다면 이젠 외래어, 외국어 간판 사이에서 순우리말 간판이 더 돋보이는 시대가 왔다. 아름다운 우리말과 단어들을 거리에서 더 많이 만나보게 되기를 바라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장나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유정기자 2017.02.22 20:50
    오 잘ㄹ썼네 네 입에서도 아름다운 우리말이 나오길 !
  • ?
    4기한유진A기자 2017.02.22 21:11
    간판에 영어로 된 간판이 정말 많죠...그런데 이제는 우리의 순우리말 간판이 더 돋보이는 시대가 왔다니까 너무 좋네요! 앞으로 점점 더 순우리말의 간판이 더 많아지기를!
  • ?
    4기변유빈기자 2017.02.22 23:48
    저도 요즘 길가다 보면 우리말로 된 간판이 전보다 많이 보였어요!!! 근데 뭔가 어색한 느낌이 들더라구요ㅜㅜ 그만큼 우리가 외래어나 영어를 자주 쓰는거겠죠..ㅜㅜ 앞으로는 더 많은 우리말 간판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정수아기자 2017.02.23 14:50
    저도 몇년전에는 영어로 된 글귀나 간판이 더 멋있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거의 대부분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sns상에서도 신조어를 많이 사용해서 가끔 못알아들을때가 있었어요!!ㅠ 그런데 이렇게 간판부터 순우리말로 바꿔나간다고하니 사람들의 의식도 조금씩 바뀌겠죠?!ㅎㅎ 좋은기사 잘보고갑니다:D
  • ?
    4기김다연기자 2017.02.24 22:42
    순우리말 간판 너무 아름답네요 거리에서 더 많은 순우리말간판이 보이기를 기대해봅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2.26 09:21
    거리를 걷다보면 무분별한 외국어 간판으로 인해 여기가 우리나란지 외국인지 혼란이 오는 것 같아요. 기사 사진을 보니 우리말 간판들만의 매력이 보이네요. 우리말 간판을 애용하는것이 외국인들에게 우리나라를 알리는데 도움이 될것이라고 생각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서연기자 2017.02.26 12:30
    우리말 간판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최민규기자 2017.02.26 17:17
    한국인 입장에서 한글은 반가운 언어죠. 저도 길에서 영문 간판을 보다가 가끔 한글 간판을 보면 제가 다 뿌듯해요ㅎㅎ 앞으로도 한글 간판이 전형적인 시대가 오기를 바랍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손예은기자 2017.02.26 22:00
    요즘 혼용어나 외래어도 많지만 그냥 영어로만 써 있는 간판도 많아서 안타까웠는데 이렇게 순우리말로 적힌 간판을 보니 확실히 더 예뻐보이네요. 앞으로 많은 가게들이 순우리말로 적힌 간판을 쓰게 됐으면 좋겠네요.
  • ?
    4기조묘희기자 2017.03.01 22:44
    순우리말 간판을 더 자주 볼 수 있게 되기를 바래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임하은기자 2017.03.18 11:08
    순우리말 간판 너무 이쁘고 느낌 있어 보여요 ! 외국어 간판보다 우리말 간판이 더 많아졌음 좋겠네요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09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842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9057
우리의 삶을 사랑하는 법, 영화로 배우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5065
우리의 삶을 혁신적이게 이끄는 구글의 AI 기술들! file 2017.07.25 김지훈 28275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범이 내려 온다' 1 2020.11.27 전채윤 16271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5093
우리의 여가시간, 무엇으로 보내고 있을까? 2 file 2016.03.19 신경민 17865
우리의 영원한 영웅들, UN묘지에 잠들다 2021.12.20 김예린 9302
우리의 외출을 방해하는 미세먼지! 예방법은? file 2017.06.26 곽서영 14016
우리학교 전담경찰관 3 2017.04.01 양지원 13515
우비 입은 소녀상, 제1399차 수요집회 file 2019.09.27 유채린 13530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file 2017.09.27 백예빈 15663
우주를 체험하다, 대전시민천문대 2017.09.19 정민경 12952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2022 우체국 문화전 file 2022.06.07 이지원 7893
우파루파, 키워도 되나요? 1 file 2019.11.25 정수민 28815
울산 글로벌 ODA 포럼, 공업과 환경의 조화 대책 논의했다 file 2023.12.07 최해인 4227
울산 무거천 궁거랑축제 file 2019.04.26 송은녁 17192
울산 북구 청소년 예술제 "너의 끼를 보여줘!" file 2017.09.26 김태은 14507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5857
울산 현대 AFC 챔피언스리그 통산 두 번째 우승! 1 file 2020.12.23 최준우 13173
울산광역시 교육청,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학부모 연수 개최 1 file 2018.05.02 조예린 14155
울산광역시 숨은 골목길 찾기 - 똑딱길, 고복수 재즈길 file 2017.10.10 이가현 14764
울산광역시 중구 성남 청소년 문화의 집 '수학 창의 꿈터' 프로그램 개최 1 file 2017.04.23 최가연 15259
울산의 랜드마크, 태화강 국가정원 file 2021.10.25 김지언 10834
울산의 밤을 비추다! 2 2019.01.08 김찬유 12933
울산의 새로운 문화 공간, 울산시립미술관 2 file 2022.02.24 김지언 10701
울산의 축제, 쇠부리축제 2018.05.25 김부상 15186
울산이 더위를 이기는 법, 태화강 납량축제로 오세요! 4 file 2017.08.12 최다혜 14306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5977
워싱턴 Ford's Theater, 링컨의 마지막 흔적을 찾아서 file 2017.06.28 박세은 13434
워싱턴에서 한반도 평화 기원 행사 개최 1 file 2016.08.12 김현승 14231
워터파크는 코로나 시기에 안전한가? 1 file 2020.08.24 나주현 11989
원광대 한약학과, 쌍화탕 전달 봉사활동 성공적으로 마쳐 file 2021.10.25 김다혜 9821
원광대, 2017 세계 뇌주간 행사 개최 file 2017.03.18 김도연 14209
원더우먼 주인공 갤 가돗, "사람은 사람일 뿐..." 논란 file 2021.01.11 임이레 13692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0246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0875
원주 노숙인 센터, 사람들과 정을 나누다 file 2016.05.19 김가흔 15938
원주 역사 박물관으로 오세요~ 2017.07.25 차유진 14308
원탁회의에서 청소년이 외치다 1 file 2017.08.26 조인정 14221
월드 스타 방탄소년단, 유 퀴즈 온 더 블럭 단독 출연! 2021.03.03 전채윤 11019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아니, 본선 진출 '당했다' file 2017.10.25 정재훈 13572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과 파레토 최적문 1 file 2018.06.21 김민우 23876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6103
웹툰 X 가요계 특급 콜라보 열풍 file 2020.10.27 유채연 15447
웹툰보다 더 웹툰 같은 가장 완벽한 영화의 등장 <치즈 인더 트랩> 3 file 2018.03.26 김응민 15422
위기를 기회로! 학생들을 위한 자기 계발 활동 9 file 2020.04.14 송다은 12662
위기의 예술소비시장, 도깨비 책방이 구한다! 2 file 2017.02.24 김현정 12053
위로받고 싶은 당신에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1 file 2019.03.25 최가온 17371
위안부 소녀상을 태우고 달리는 151번 버스를 아시나요? 5 file 2017.08.25 이준형 149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