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동해안과 일부 경북 건조특보…건조한 봄철, 산불 예방법은?

by 4기한예진기자 posted Feb 21, 2017 Views 138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상청은 201702211100분을 기해 경상북도(울진 평지, 경주, 포항, 영덕), 강원도(삼척평지, 동해평지, 강릉평지, 양양평지, 고성평지, 속초평지)에 건조주의보를 내렸다.


국민 안전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산불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95건이 발생해 465.72ha의 산림이 소실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71%가 봄철(2~5)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봄철에는 강수량이 적어 나무가 머금고 있는 수분량도 적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불이 크게 번지려면 초속 15m 이상의 바람이 불어야 하는데, 봄철의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산불의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산불의 가장 큰 원인은 사람들의 부주의이다. 따라서 산불을 예방할 수 있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불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선택 보정2.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한예진기자]


첫째, 입산 시,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으며, 취사를 하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행위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실시한다.

 

둘째,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는 허가 없이 논·밭두렁을 태우거나 각종 쓰레기를 소각하지 않는다. 국민 안전처와 산림청은 산림 인근 100m 이내 지역인 경우 산림보호법에 의해 논·밭두렁 소각을 금하고 있다. 부득이 소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읍··동에서 시행하는 마을별 공동소각을 통해 지정한 날짜에 소각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입산통제구역이나 폐쇄된 등산로에 출입하지 않는다.

 

넷째, 산림 또는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는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다섯째, 불을 사용한 다음에는 불씨가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한다.


우리의 사소한 행동 하나가 나무를, 아니 숲 전체를 한순간 앗아갈 수 있다. 산불의 위험이 큰 봄철일수록  산불예방법을 잘 익혀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산림청은 2017124일에 2017년 산불조심기간을 125일부터 515일까지로 공고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한예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혜진기자 2017.02.23 15:04
    산불을 예방하는 방법 넷째가 가장 와닫는 것 같습니다. 무심코 버려진 담배로 인해 많은 화재가 있었는데 제발 흡연자분들은 각별히 주의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봄에는 산불 피해가 적었으면 좋겠네요:D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김유경기자 2017.02.23 22:09
    맞아요. 봄처럼 건조한 시기에 산불이 자주 나는데, 집 뒤에 산이 있어 더욱 걱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의해서 등산을 즐겼으면 좋겠어요!
  • ?
    6기이종은기자 2017.02.24 00:25
    언제나 불조심해야 한다는걸 모두가 아셨으면 좋겠네요. 정말로 유익한 기사였습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2.24 17:20
    겨울, 봄철은 건조해서 산불이 자주 발생하기도 하죠.. 이럴수록 시민 모두가 주의있게 생활했으면 좋겠네요.
  • ?
    4기김서영기자 2017.02.25 20:09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016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765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7785
옛이야기로 떠나는 여행, 경기도박물관에서! 1 file 2017.08.11 최지원 21435
오감만족 1박2일부산여행코스 10 file 2016.02.22 문근혜 20501
오는 6월, 중국 칭다오 여행 자제해야 2018.05.25 이준수 16517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file 2017.11.07 김다은 15212
오늘, 궁을 만나다 file 2016.05.01 전지우 18039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16813
오두환 오케팅연구소 대표, 27일 '꿈을 찾는 사람들'서 퍼스널 브랜딩 무료 강연 file 2022.12.16 이지원 8290
오뚜기, 국내 농가와의 상생 위한 ' 한국 농업 상생 발전 프로젝트' 시작 file 2022.10.30 이지원 8882
오로라를 품은 땅 스웨덴 키루나, 그 이면의 문제점 1 file 2021.03.29 문신용 20186
오리지널을 뛰어넘는 바이오시밀러 9 file 2016.02.29 권용욱 15487
오베르 쉬즈 우아즈에서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 4 file 2017.06.21 이현지 15690
오사카 꼭 가야할 곳 TOP3 2 file 2019.03.26 하늘 18031
오사카, 나라와 교토를 다녀오다 file 2016.10.23 김태윤 16155
오사카에서 400년의 세월을 느끼다 1 file 2017.02.25 김민진 13486
오싹한 핼로윈, 놀이공원에서 즐겨요! 3 file 2017.10.27 김수인 14479
오징어 게임 마케팅 전략 이대로 통하나 file 2021.10.25 박서빈 10737
오프라인 서점이 고전하는 이유 file 2017.06.28 현소연 14414
오픈런 연극, 웃음과 혐오 사이 file 2019.03.04 이채은 14534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집콕 게임’이 있다? 3 file 2020.06.01 신준영 14260
온가족과 함께하는 2022 게임문화제, 에버랜드서 개막 file 2022.11.11 이지원 8120
온라인 쇼핑 플랫폼, MZ 세대의 놀이터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21.07.30 전인애 12531
온라인 수업 장기화, 학생들의 생각은? 1 file 2020.10.05 조윤아 12078
온라인 클래스 온클, 의무이지만 학교의 인강화는 우려 2 2020.10.20 문서현 18323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1회 국가통계방법론 국제 심포지엄 file 2021.10.01 김민경 9554
온라인으로 떠나는 핀란드 여행 1 file 2021.01.22 김상현 13094
온라인으로 찾아가는 청년 멘토링 축제...'MBN Y포럼 2022' 16일 유튜브서 방송 1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9471
온종합병원과 필리핀 소년의 아름다운 콜라보 4 file 2017.02.26 김수진 13142
온택트로 활성화된 동아ST 환경교육 2021.03.02 이수민 10094
올림픽의 열기는 어디로... '난장판' 되어버린 'IBK 기업은행 배구단' 1 file 2021.12.29 신현우 9345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8654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0968
올바른, 안전한 성 문화를 위한 ‘프리 콘돔 데이’ file 2017.08.25 이정원 13873
올여름 더위를 식힐 필수품, 미니 손 선풍기 2 file 2018.08.27 조수진 14890
올해 1만 3955명 LEET 응시자 역대 최다, 취업난으로 인한 취업 대신 전문직 준비 중 file 2021.07.06 이승열 29024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8482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12772
올해는 보다 특별한 핼로윈 1 file 2020.11.04 김준희 12250
올해의 마지막 청소년어울림마당! 1 file 2019.11.25 심재훈 13988
올해의 컬러, 클래식 블루 4 file 2020.03.02 천수정 13139
올해의 프로야구, 누가누가 잘했나~ file 2016.12.23 김나림 15243
와이파이가 잘 안 잡힌다고? 알루미늄 캔 하나면 끝! 2 file 2017.09.20 박성윤 34808
와인계의 혁명, 빈 퓨전 (Vinfusion) file 2017.03.20 이소영 13195
완벽함만을 추구하던 한 사람이 낳은 비극, '라플라스의 마녀' 9 file 2017.02.20 정지윤 16478
완성된 축제. 그리고 더욱더 발전할 축제 '고로쇠축제'! 2018.03.28 권순우 13110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2622
왕의 걸음으로 걷는 창덕궁 file 2017.03.19 정유진 12566
왕의 애민사상을 엿볼 수 있는 음식, 설렁탕 3 file 2017.03.23 박예은 16816
왜 가을 하늘은 높고 푸를까? 1 file 2017.10.18 김나경 20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