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by 4기정혜정기자 posted Feb 19, 2017 Views 255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 농단 논란을 시발점으로 임기 개헌을 비롯해 개헌에 대한 논의가 불판에 올려졌다. 현재 우리나라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제이다. 5년 단임제는 독재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채택되었으나, 재집권이 불가능해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하였을 경우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4년 중임제 등 임기 개헌에 관한 여러 가지 방향들이 여론 내부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5년 단임제와 4년 중임제는 뭐가 다를까? 5년 단임제는 대통령이 5년 동안 집권할 수 있는 반면에, 재집권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튼튼한 계획보다는 앞서 우리나라를 끌어왔던 대부분의 정부들이 그러했듯이 단기적이고 표면적인 ‘보여주기 식’ 정책들만 쏟아낼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가 계속 5년 단임제를 채택해 왔던 이유는 독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4년 중임제는 5년 단임제와는 달리 대통령이 4년 동안 집권할 수 있고, 민심을 얻어 대선에 다시 출마하여 당선될 경우 4년 동안 다시 집권할 수 있다. 5년 단임제에 비해 임기가 짧고, 신뢰도가 높았던 정부가 다시 국정을 이끌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집권 후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현재 미국이 4년 중임제를 채택하고 있다.


  기자는 대통령 임기 개헌에 관련한 민심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 1월 15일부터 18일까지 4일간 포털사이트 폼을 통해 임기 개헌, 개헌 시기, 그 외 국정 운영에 관하여 의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조사 결과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사람은 투표에 참여한 인원 중 과반수 이상인 58%를 차지해 현재 대한민국이 채택하고 있는 5년 단임제를 훨씬 앞섰다.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응답자들의 응답 이유는 “30년도 넘은 헌법은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맞지 않아서”, “5년의 경우 마지막 즈음에 책임감이 결여될 수 있어서”, “4년 동안의 국정을 평가하고 연임을 정할 수 있어서”, “여러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장기적인 시간이 요하기도 해서” 등으로 앞서 말했던 4년 중임제가 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장점에 주목한 사람들이 많았다.


  반면에 5년 단임제를 찬성한 사람들은 “독재를 막을 수 있어서”, “단임제가 깔끔해서”, “나라의 정책시행과 결과를 확실히 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해서” 등의 찬성 이유를 밝혔다. 일부는 5년 단임제를 유지하되 1년마다 평가회를 거쳐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 외 기타(9%)에 답한 응답자들은 3년 연임제, 4년 단임제, 입헌군주제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설문조사 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임기를 개헌해야 한다고 답한(4년 중임제, 기타) 67%의 응답자들은 개헌 시기에 대해 ‘대선 전(38%)’보다 ‘대선 후(62%)’에 더 많은 응답을 했다. ‘대선 전(38%)’을 찬성한 응답자들은 “대선 전에 마무리 되면 분쟁이나 소란의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서”, “선거 후 개헌하는 것은 부적절해서”, “촛불 민심이 최고조인 상황에서 개헌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해서” 등의 이유를 작성했다.


  ‘대선 후(62%)’에 답한 응답자들은 “합의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해서”, “현 시국에서 개헌에 열을 올리는 것은 사회적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서”, “이 사안을 대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이 발생할 수 있어서” 등의 이유를 제시했다. 대부분은 대선 전에 충분한 합의 후 개헌을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 외, 임기 개헌에 관련해 “헌법가치도 국민의 뜻이 반영되어야 한다.”, “권한이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현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 “국회와 국민의 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내의 특수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강력한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 필요하다면 이원집정부제가 적합하다.”라는 의견을 보인 응답자들도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 시국에 개헌을 하면 시간도 부족하고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으니 대선 후 정부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4년 중임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2017년 02월 19일 기준 대선 주자 6명 중 3명(문재인, 이재명, 유승민)이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입헌군주제, 전제군주제가 아니라 대통령제이다. 대통령은 왕이 아니라,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의견을 대표하는 대표인이다. 국민들은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열어 줄 정치적·역사적·도덕적 의식을 가진 대통령, 공평하고 봉사하는 대통령을 원한다. 그만큼 대통령의 임기 개헌은 언젠가는 필히 다뤄져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깨끗하고, 서민들을 위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정혜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1 01:16
    5년 단임과 4년 중임,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제도입니다. 설문조사를 직접 진행하셨던 그 열정이 보였던 멋진 기사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기자신용휘 2017.02.21 01:35
    평소 관심있던 분야라 관련기사가 없나 찾아보다가 좋은 기사 읽고 갑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2.22 16:59
    장단점이 뚜렷한 제도인만큼 아마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ㅎㅎ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4기이하영기자 2017.02.27 02:19
    기사 한편을 쓰시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신 것같고, 본받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인상깊은 기사 잘 읽고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57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20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441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433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7440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7440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7444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447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7450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451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452
끊이지 않는 아동 성범죄, 사회는 강력한 처벌을 원한다 2020.05.04 한채연 7453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453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453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7469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471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7474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7478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490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7490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505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7511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7530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7535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547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7548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553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563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7568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570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576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578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582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7584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604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608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609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611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612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618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624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626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633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635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63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7636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637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637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642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656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