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by 4기최우혁기자 posted Feb 18, 2017 Views 157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황 대행은 본래 국무총리직을 맡고 있었으나 지난 12월 9일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 정지로 인해 임시적으로 국정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인물이다. 16일 여론조사 전문 업체인 리얼미터가 발표한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를 참고하면, 황 대행의 지지율은 지난주와 비교해도 1.2 퍼센트가 오른 16.5 퍼센트로 확인되었다. 유력 대선주자들 중 현재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뒤를 잇는 견고한 3위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2배에 가까운 수치로 따돌리고 있다. 현재 보수 진영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 황교안 권한대행의 10퍼센트대 지지율에 희망을 걸고 있는 이유이다.


8cdcd503ad473937475d5ac881185f94.png

지난주와 비교해도 71.2%의 성장을 보인 황 대행의 페이스북 '좋아요' 수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우혁 기자]


'최순실 게이트' 이후 지지 기반이 급속도로 무너졌다 해도 과언이 아닐 자유한국당(전 새누리당)의 노골적인 '황교안 띄우기'에 눈길이 자연스레 쏠린다.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은 지난 3일 TBS 라디오에서 "국민이 지금 (출마하라고) 얘기를 하는 것"이라며 황 대행의 대선 출마의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지난 10일 국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이루어진 당시 새누리당 의원들과 황 대행의 질의응답은 황 대행의 현 국정 운영에 만족감과 감사를 표하기 위한 시간이었다 해도 무리가 아니다. 황 대행 본인은 비록 아직 대선 출마 선언을 하지 않았으나, 출마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단호히 표명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난 7일 국회에서 기자들이 대선 출마에 관한 입장을 밝힐 계획에 관해 질문하자 "적당한 때가 있을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지난 10일 국회의 대정부질문에서도 마찬가지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의 "대통령으로 출마할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국정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라고 대답하며, "출마하지 않겠다는 말은 왜 안 하느냐"는 추궁에도 "국정 안정화에, 지금 어렵다. 온 공직자와 함께 전념하고 있다"며 확실한 답을 내놓고 있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어찌 보면 동문서답처럼 들릴 수 있는 황 대행의 애매모호한 태도로 인해 그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더욱 강력하게 시사되고 있는 것이다. 故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대통령 권한 대행이었던 고건 총리의 행적과 현재 황 대행의 언행을 비교하자면, 신중한 대통령 권한 행사에 주력했던 고건 전 총리와는 달리, 황 대행은 상당히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첫 공식 업무일부터 국정 현안에 집중하고, 외부 행사를 빈번하게 참여하며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내는 황 대행의 행보는 마치 대선 주자의 그것과 다름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 보수 진영의 지지율을 단적으로 상징하는 존재로 분석되는 황 대행이 만약 출마하지 않을 경우, 그의 10퍼센트 대의 지지율이 어디로 쏠릴지도 관심사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불출마 선언 이후 반 전 총장의 지지율은 황교안 권한대행에게 가장 많이 옮겨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월에 들어 10퍼센트 가량 지지율이 상승한 황 대행의 현재 지지도는 반 전 총장의 불출마선언의 효과를 확연히 드러낸다. 그렇다면 과연 황 대행이 불출마할 경우, 황 대행의 지지도가 자유한국당에 그대로 남아있을 것일지도 의문이다. 여권에서 황 대행 외의 두 자릿수 이상의 지지도를 보유한, 이렇다 할 대선 주자가 거론되지 않고 있는 것이 실정이기 때문이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어 16일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홍준표 경남도지사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예측도 존재한다.


황교안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여부에 관한 선택은 대선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법한 무게의 선택이다. 자유한국당 주자가 20퍼센트를 넘어서는 지지도를 얻을 수 있을지, 혹은 압도적인 야당 주자들의 지지율에 밀려 대선의 주요 주자로 발돋움하지 못할지는 그의 선택에 달려 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인 박영수 특검의 수사 기간 연장이 오늘 16일 황 대행에 신청되었다고 한다. 지난 10일 대정부 질문에서 지금은 특검이 "기본적으로 수사에 전념할 때"라며 수사기간 연장에 대한 답을 바라는 것은 오히려 무책임이라며 확답을 피했던 황 대행이 3월까지 수사 연장을 허락할지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 대행 측은 오늘 현 시점에서 구체적 답변을 내놓기는 어렵다며, "관련 법에 따라 검토"할 것을 밝혔다. 특검 연장과 대선 출마 여부에 관해 황 대행의 입은 굳게 닫혀 있다. 그의 침묵이 언제 깨질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최우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0 14:12
    좋은 기사입니다. 특검 연장과 대선 출마는 황 권한대행의 자유입니다. 하지만 그 전에 국민이 바라는 뜻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바랍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김동언기자 2017.02.20 16:51
    반기문 사무총장 불출마 선언 후 보수 유권자의 표가 강하게 갈리는 듯 하네요. 특히 유승민의원을 박근혜대통령의 배신자로 인식하는 유권자들에게 황교안 권한대행이 큰 지지를 얻어서 최근 성장세가 큰 것 같습니다. 물론 지지율이 올라서 대선에 출마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고, 출마하는 것도 황 권한대행의 자유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통령의 권한대행으로서 선거날짜와 같은 차기 대선에 대한 사항을 결정해야 하는 자리에 있는 황 권한대행이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대선에 나온다는 것은 조금 부적절해보입니다. 황 권한대행이 차기 대통령의 자리보단 현재의 혼란한 정국을 바로잡아야 할 권한대행의 자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책임있는 행동을 했으면 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이준석기자 2017.02.21 09:27
    현 정국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황교안 대행이 대선 출마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지 않는 것은 어쩌면 본인의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신속히 입장을 표명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대선출마의 의지가 있는 후보가 지지율과 여론을 살피며 간을 보는 행위는 대선 주자로서의 자질을 의심하게 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5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1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442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9311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6753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860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113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538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5946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8150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5824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733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091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8754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010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5931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002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5497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754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6522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9719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7465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5918
인류가 맞이한 최대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결책은 '회복 탄력성'... 그렇다면 한국은? file 2022.01.27 한승범 9016
안철수 딸 안설희 박사, 안철수 지지율 상승에 큰 힘이 될까 file 2022.01.25 윤성현 28993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3549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2.01.24 류민성 9700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9392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177
尹,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발표, 여가부는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나 file 2022.01.20 고대현 44755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242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6999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159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5694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678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03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079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7859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047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26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8893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7951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5976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085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10985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522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395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787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331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