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대학에서 일어난 만행

by 4기서상겸기자 posted Apr 24, 2017 Views 141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실신.jpg
댓글ㄹㄹㄹ.png

[이미지 제공 = SNS 페이스북 모 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 SNS 게시물에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라는 댓글이 달려있다. 이 댓글로 인해 많은 네티즌이 눈시울을 붉히고 분노했다.


이 댓글의 게시자는 직위해제를 당해 충격을 받고 실신한 대학교수의 아들이었다.


과연 무슨 일인가?


지난 21일 울산에 위치한 한 대학에서는 직위해제를 당한 교수가 충격을 받고 학생들에게 억울함을 토해내다 실신한 사건이 발생했다. 다행히 119구조대가 출동하여 안전하게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교수는 충격을 크게 받아 실어증에 걸렸으며 몇몇 단어만을 종이에 적어 가족과 대화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페이지.jpg

[이미지 제공 = SNS 페이스북 모 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21일 저녁 SNS 페이지에서는 해당 대학교수의 제자로 추정되는 제보자의 사연이 올라왔다. 이 제보자는 자신을 해당 대학의 재학생이라 밝히며 교수의 직위해제가 부당한 처사라고 전했다.


해당 게시물의 제보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벌인 교내 불만 사항 설문조사가 학생들이 아닌, 한 교수를 모함하기 위해 이용한 수단이었다."라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어 "대학측에서는 이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업 태만, 학생 지도 태만, 수업자료 관리 태만'이라는 이유로 교수의 직위해제를 강행시켰지만 우리는 교수님의 진정성과 결백함을 누구보다 잘 안다"며 "이를 교묘히 속여, 학생들 손으로 교수님을 모함하게 하였다."며 학생들의 견해을 밝혔다.


실제로 설문조사는 교무팀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2번, 해당 교수가 한 설문조사 1번으로 총 3번 이루어졌다.


교무팀에서 실시한 첫 번째는 3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치위생과 불만 사항 관련 설문조사이며 두 번째는 전공 심화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당 교수 과목 설문조사였다.


해당 설문조사 응답 학생의 증언에 따르면, "3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는 OO과의 불만 사항을 조사하고 있었고 전공 심화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어떠한 과목의 휴강, 보강에 대해 조사했다. 그런데 유독 OOO교수님의 질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며 "질문은 OOO교수님이 해당 과목을 휴강했습니까? 휴강했다면 보강은 했습니까?" 등의 질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학생은 이에 "휴강 항목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했고, 보강 역시 했다고 응답했다."고 말했으며 이어 "문제될 게 없는데 대체 왜 직위해제를 당했느냐"며 개인적인 소견을 전했다.


마지막 세 번째는 해당 교수가 OO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자신의 직위해제 사유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봤다.


설문지.jpg

'직위해제를 당한 교수가 시행한 설문조사에 해당 학과의 재학생이 답변한 내용'

[이미지 제공 = 해당 학과 재학생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결국 대학 측에서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수업 태만학생 지도 태만수업 자료 관리 태만'이라는 명분에 21일 해당 교수를 직위 해제시켰다.


하지만학생들의 입장은 대학 측의 입장과 달랐다.


수업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학교 측에서는 교수님이 무단 결강 혹은 휴강을 한 날이 전체의 1/3이 된다고 주장한다하지만 이건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대부분의 학생이 먼저 항의를 했을 것이다심지어 교수님이 시험 감독을 보는 날에도 정상적인 수업시간에 수업하지 않았다며 결강처리가 되어있다이게 말이 되는 것인가그럼 학교에서는 1년이라는 시간동안 경고를 하지 않고 무엇을 했던 것일까"라고 주장했다.

 

학생 지도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학생 지도 태만이라는 사유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교수님께서는 항상 학생들에게 좋은 교수가 되기 위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분이셨고우리 학교에는 대학 생활의 이해라는 수업 시간이 있다.

이 시간은 교수님과 소통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한 시간 만이라도 교수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만들어진 시간이다교수님의 담당 지도 학생 여럿과 교수님 한 분, 1:()로 만나는 시간이다교수님은 대생(대학 생활의 이해시간이 없어도 항상 학생들과 상담을 하고 계셨고 1:1로 서로를 더 알아가는 것을 추구하시는 분이셨다대생(대학 생활의 이해시간이 없어도 충분히 학생들과 소통을 하는 분이셨다금요일 9교시 학생들이 금요일을 즐기기에도 모자랄 시간을 뺏는 것 같다며 항상 미안한 마음이 든다고 말씀하셨던 분이다이게 어떻게 학생 지도 태만인가"라고 주장했다.


수업 자료 관리 태만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은 이러하다.


"교수님의 강의는 예방치과학공중구강보건학치의학용어인데 공중구강보건학과 치의학용어는 이론수업이라 재료를 쓰지 않는다예방치과학에 쓰는 구강 내 재료는 불소겔뿐인데 이 재료들은 유통기한 자체가 없다그마저도 1번 정도 사용하고 마는 수업이다게다가 예방치과학 강의실은 306호인데 정작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조사한 강의실은 301호다. 301호는 치면세마(스케일링실습실이고 조사품목도 물티슈나 종이컵 같은 재료를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생 측은 "올해 3월에 개정된 학칙이 있다고 한다그 내용은 총장이 교수에게 직위해제 처분을 내리려면 징계위원회가 열리고 결정이 나야 직위해제 명령을 내릴 수 있던 학칙을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에 먼저 직위해제 처분을 내리고 징계위원회를 열 수 있도록 개정했다는 것이다"라며 "너무 뻔한 상황이다애초에 법을 개정한 이유가 한 명의 교수를 내보내기 위함인 것이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상황이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개정안중에서 그런 항목은 존재하지 않았다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OO과 재학생과의 간단한 인터뷰를 한 결과직위해제된 해당 교수가 학칙에 관련된 발언을 직접 전했다고 밝혔다이에 학생 측은 급히 개정된 학칙으로 인해 대학 홈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은 점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했다.

 

종합적으로 학생 측은 "이 모든 일이 해당 교수를 파면 시키기 위해 조작한 일이며다른 교수도 억울한 해고 위기에 처했다며 학교 측의 부당함을 알리고 교수님들의 억울함을 풀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8120224_322865504797891_304595474_o.jpg

'해당 대학교 도서관 앞의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한편, 해당 대학교에선 4월 24일 월요일 저녁 7시에 해당 교수의 징계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교수는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날인 23일 저녁까지 안정을 되찾지 못해 교수의 가족들과 해당 학과 학생들의 걱정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현재 해당 교수의 가족 및 해당 학과 재학생 측은 이 사건이 언론에 공개되지 않고 있는 점이 학교 재단이 언론적인 부분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서상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오경서기자 2017.04.30 09:42
    학교측은 어떤 의도로 교수를 파면시켰는지 궁금하네요. 진실들이 밝혀져 억울한 사람들의 누명이 풀렸으면합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5.02 11:21
    이번 기사도 언론의 문제가 반영되어 있는 것 같아요. 진실대로 학교측의 부당함이 밝혀졌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0665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0415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25299
얼음이 녹자 드러나는 살인의 비밀, <해빙> file 2017.03.18 이경하 17205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8952
엄영식 감독의 애니메이션 '런닝맨 리벤져스' file 2023.09.14 황지우 6884
없는 게 없다. “자동판매기의 진화” 1 file 2018.11.22 김다경 19848
없어져야 할 강제 결혼식, 알라 카추 file 2021.04.26 이수미 15410
없어져야할 문화 두 번째: 전족(연꽃발) 3 file 2019.07.12 이승환 22866
에너지에 대한 관심 이젠 choice 아닌 must, "불을 끄고 별을 키다" file 2021.10.18 이동규 10227
에너지자립 공공건축물, 에너지드림센터 2019.03.04 박정현 14190
에메랄드빛 바다, 휴양지 괌 2018.05.28 이다해 16924
에어버스의 야심작, A350 file 2017.06.26 신준영 14679
에코맘코리아 팀장 연수 file 2017.04.16 김태호 15439
엑소 팬, 강원도 화재 기부에 나서 1 file 2017.05.21 김준희 14508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1240
엔돌핀이 마약이라고? - 호르몬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21.11.26 김상우 14516
엔시티 드림(NCT DREAM)의 성장을 말하다 2021.08.17 최윤희 13226
엘리베이터를 탈 때 중력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 2 file 2020.05.25 백지윤 21699
여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언제든 1388 캠페인’ 실시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6159
여기는 노원구, 아름다운 등불이 모인 곳 file 2017.05.20 박승연 13861
여러분들에게 의사란 무엇입니까? 1 file 2017.11.02 박현정 15570
여러분에게도 드립니다 file 2017.05.24 윤연섭 13482
여러분의 아이디어, 특허로 보호하세요! file 2019.06.27 박현준 17725
여름! 2019년 청소년물총물빛축제 1 2019.08.30 11기김정규기자 16964
여름방학을 맞아 진심어린 봉사활동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6.07.18 김강민 17767
여름아, 안녕 2017.09.25 함주연 14191
여름엔 강진 청자 축제! 2017.08.08 박승미 14000
여름을 위한 취미, 컬러링 북 2 file 2017.07.30 임해윤 14848
여름을 찾아 남쪽으로, 마산 돝섬의 자연 둘레길 산책하기 file 2019.05.17 이지현 17401
여름철 물놀이, 알고 즐기자 ! file 2017.07.24 이윤지 15123
여름철 식중독, 예방책은 3대 원칙 1 file 2017.08.27 황은성 15680
여름휴가 안전하고, 즐겁게 보내기 file 2016.07.25 3기김유진기자 16815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1043
여성 인권,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8.03.30 손정해 14485
여성, 페미니스트에 대한 설문조사 5 2018.06.14 김서현 21415
여성들의 건강하고 신나는 스포츠문화, 넷볼 file 2017.08.17 김세령 13878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1114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9221
여수 밤바다를 수놓은 '2019 여수 밤바다 불꽃축제' file 2019.11.25 조햇살 17321
여의도 불꽃축제, 서울시의 실수 그리고 발견한 아름다움 4 file 2016.10.25 김현승 15906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958
여자> 남자 일수밖에 없다고? 3 file 2017.04.23 김성미 14824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0903
여자컬링 대표팀, 덴마크 꺾고 세계선수권 ‘첫 승’ file 2023.03.20 디지털이슈팀 8608
여자프로농구 우승과는 무관했던 김정은, 마침내 완벽한 선수로··· file 2018.03.26 허기범 15877
여자프로배구팀 KGC인삼공사, 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대회 우승 file 2018.08.16 김하은 15938
여전히 우리곁엔 그리스 로마 신화 file 2017.05.23 김다은 15804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331
여행 경비가 부족할 땐 공짜 숙소로 카우치서핑? 2 file 2019.07.17 정지우 18213
여행, 어딜 가야 할지 망설인다면 2019.05.09 김유연 173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