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트럼프 反이민 행정명령, 등 돌리는 사람들

by 4기권윤주기자 posted Feb 07, 2017 Views 181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6110451_270664246700816_3757696127407751168_n.jp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미지제공=인스타그램 @fauxfotos23]



지난 27일 반이민 행정명령에 서명한 트럼프 대통령이 비판을 받고 있다. 반이민 행정명령이 발효되고 즉각 지정된 7개의 무슬림 국가들과 난민들의 미국 입국이 금지되었다. 이번 반이민 행정명령은 90일간의 무슬림 국가 국민의 비자 발급 중지와 난민 입국 프로그램을 120일간 중지하는 것이다.


뉴욕, 시애틀 등 미국의 주요 도시들과 전 세계에서 반이민 행정명령에 항의하는 시위들이 일어났다. 시위자들은 행정명령 금지령과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팻말도 들었다.


구글, 페이스북,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 등의 손꼽히는 IT기업들의 CEO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업뿐만 아니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같은 정치인들, 할리우드 배우들, 유명인사들이 잇따라 정책에 지지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내보였다.


4일 미 국토안전부는 이러한 반이민 행정명령의 효력을 잠정 중단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행정명령에 제동이 걸리자마자 미국 입국 금지자들이 미국행 비행기를 탑승하였고 일주일간 항의 시위를 했던 이들의 바람이 이루어졌다.


잠정 중단된 정책은 일시적인 것으로 언제 다시 시행될지 모른다. 백악관에서 예고한 역고소를 하면 이에 시행 또는 폐기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 세계 사람들의 좋지 않은 시선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 재밌는 것은 특정한 중동 국가들은 (입국) 금지령에 동의한 것이다. 그들은 특정한 사람들이 죽음과 파괴를 허용하는지를 알고 있다! " , " 우리나라에서의 사법제도를 빼앗아 가는 소위 법관의 의견은 터무니없으며 뒤집힐 것이다! " , "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 "라며 반이민 행정명령 실행을 원하는 자기 생각들을 올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3일에 금융 규제 법인 도트-프랭크 법과 그 외의 두 건의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서명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권윤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65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62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873
좁혀지지 않는 일본과의 갈등 file 2019.08.05 백지수 13079
종교가 우선인가, 안전이 우선인가? 더 커진 '부르카' 착용 논란 file 2017.11.01 이윤희 21036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file 2017.03.21 신연수 11236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8012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3110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038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1610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2009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064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527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3049
주황색 리본?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건! 2 file 2017.10.25 김하늘 13343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539
줄어드는 대중교통 분담률, 해결방안은? file 2018.06.18 곽준환 11017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0913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241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8243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324
중국, 시진핑 특사 빈손 귀국 후 북한에 어떤 조치할까? file 2017.11.28 박현규 11858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1641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369
중국에선 벌써 열풍! 우리는? file 2019.06.05 최민경 12734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598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020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0865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652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625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7914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683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885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0778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608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3753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416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10071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2852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5746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7458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9957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704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5887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300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039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287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300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4127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615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57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