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by 4기강건화기자 posted Feb 03, 2017 Views 161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재 세계는 혼자는 어렵다라는 편견을 깨고 나와, 500만 명을 넘어선 1인 가구를 비롯해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마시기), 혼곡(혼자 노래방 가기), 혼영(혼자 영화 보기)과 같은 각종 신조어 탄생 등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한국의 사회 동향 2015>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5세 이상 한국인 2명 중 1명 꼴(지난 2007년 결과인 44.1%보다 약 12%나 증가)로 여가를 혼자서 보낸다고 한다. 여행사 하나투어에 따르면 2013년 약 78,000여 명이던 1인 여행 예약은 약 206,000여 명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세계는 이에 발맞추어 1인 맞춤 여행까지 상담해주는 전용 여행사까지 등장하는 추세를 보인다.



1485964880335.jpg

[이미지 제공=대학생 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received_1881679168785705.jpeg

[이미지 제공=대학생 이**]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과연 이것뿐일까? ‘혼자의 영향은 식생활에까지 미친다. 혼자 가벼운 식사 및 음주를 해결하기 편한 편의점과 패스트푸드점의 증가는 물론이고 각종 음식점도 부담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1인석, 1인 전용 메뉴를 마련하고 있다. 이탈리아 레스토랑 더플레이스, 신촌 이찌멘 등이 그 예이다.

 

이렇게 다수가 아닌 혼자를 선호하며 본인만의 여가생활을 즐기는 이들을, 우리는 일명 나홀로족이라고 부른다. 필자는 나홀로족에 대한 의견을 묻기 위해 인터뷰를 진행해 보았다.

**(20) 양은 공동체적으로 보면 단체보단 개인 중심으로 활동하니까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일에 치여 사는 현실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한다. ’나홀로족이 극단적으로 모든 생활에서 혼자를 고집하는 것이 아닌 점에서 오히려 나홀로족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정적인 어감의 명칭을 한 건 별로라고 본다. 굳이 혼자를 부각하면서 소외나 고립의 느낌을 주는 명칭현상은 불쾌하다.” 라는 불만을 토로했다.

 

위와 같이 현 실태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은 결코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나홀로족이라는 존재는 인정하는 추세로 들어섰으나 그런데도 혼밥, 혼술과 같은 자조적인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마치 사회성이 없는 사람처럼 부각하는 측면이 없지 않다. 서유럽이나 일본에선 이미 20년 전부터 관측되었던 현상인 만큼 어쩌면 자연스러운 개념이지만, 한국인들은 아직 공동체 의식의 추억을 잊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진화하고 있는 현대 문화를 이끌어 나아가는 우린, 이들의 가치관을 존중해 주어야 할 것이다. ‘혼자는 모험이고 도전이다. 새로움을 만들어 나아가는 이들이 있기에 우리의 문명이 발전하고 있음을 잊지 말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강건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3 17:04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5
    감사합니다!
  • ?
    4기신현민기자 2017.02.03 20:08
    강건화 기자님처럼 제 생각도 현대 사회에서 '나홀로족'에 대해 사람들의 시선이 어서 빨리 긍정적으로 변화했으면 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5
    감사합니다:)
  • ?
    4기박수지기자 2017.02.03 22:03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6
    감사합니다!:)
  • ?
    4기김수림기자 2017.02.03 22:46
    '나홀로족'이라는 단어에 대해 별생각이 없었는데 기사를 읽고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6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
    4기정윤서기자 2017.02.03 22:48

    자료에서 12 퍼센트나 혼자서 지내는 시간이 늘었다는게 요즘 들어 더 실질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더욱 일에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경우가 많아졌기에 나홀로족이라는게 우리에게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라는 것에 동감했습니다. 제 주변 친구들만 봐도 혼자서 여행을 간다는 친구가 많이 있습니다 !
    혼자 다니기에 위험한 세상이지만 그만큼 가치가 큰 것 같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서 저도 혼자 다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언어 순화가 잘 되지 않는다는 점이 잘 드러났고 혼자라는 것에 대한 편견을 깨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 것이 인상에 많이 남습니다. 너무 잘 읽었습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7
    그렇습니다! 상당히 의미있는 문화가 될 수 있을테데 아직은 국민의식이 보편적으로 형성된 모습이 보이지 않는 사실이아쉽네요..감사합니다!:)
  • ?
    4기임하은기자 2017.02.04 18:03
    저나 제 주변 친구들이나 가끔 혼자서 영화를 보러 가거나 가까운 곳을 다녀오는 경우가 많은데 아직 혼자서 무엇을 한다는 것에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는 것을 느껴요. 정작 혼자 다니는 저나 친구들은 아무렇지 않는데 말이죠 :( 어서 빨리 그 인식이 바뀌면 좋겠네요 !!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9
    맞습니다! 기사를 직접 쓴 저임에도 아직 혼자라는 이미지가 평범하게 다가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함께 어서 바꾸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
    4기최민규기자 2017.02.04 18:52
    요즘 '혼자'생활이 갈수록 늘고 있군요.. 잘 몰랐습니다. 시대가 바뀌는 만큼 대중들의 의식도 어서 바뀌어 혼자 생활하는게 부끄럽지 않은 일이라는 의식이 확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9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끄럽지 않은 나라를 우리 청소년이 직접 이끌어 나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7:12
    언젠가 저에게도 꼭 필요할것 같은 도전. 혼자의 도전이 필요할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50
    새로운 본인을 발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거라고 장담합니다! 감사합니다:)
  • ?
    4기이하영기자 2017.02.05 22:10
    정말 요즘 '혼자'하는 것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것같아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50
    감사합니다! 혼자의 편견을 꼭 개선해 나아가는 나라가 되길 바래봅니다
  • ?
    4기이윤영기자 2017.02.05 23:10
    점점 나홀로족이 늘어나고 있다는걸 느낄 수 있는것같아요 주변에도 점점 많아지고 남들 시선을 신경쓰는 사람들도 적어지는것 같고요 앞으로도 이렇게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줬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51
    감사합니다! 저 스스로도 기사를 작성하면서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
    4기이현지기자 2017.02.05 23:23

    저도 혼자다니는 걸 선호하고 혼자 이곳저곳 여행다니는데 여전히 혼자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기자님의 마지막 코멘트처럼 혼자다니는 걸 존중해주는 사회분위기가 조성됐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강건화기자 2017.02.17 20:45
    결코 잘못된 문화가 아님을 기억해주는 사회가 형성되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975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743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7104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4295
위험한 신데렐라 file 2017.05.24 한다희 12752
여러분에게도 드립니다 file 2017.05.24 윤연섭 13149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2997
녹둔도를 아시나요? file 2017.05.24 유한나 14970
파이썬 개발자들의 모임의 장, 파이콘 2017 컨퍼런스 file 2017.05.24 임수진 21043
'AI' 어디까지 왔나 2017.05.24 임승연 15459
다름과 틀림, 그 사이 어딘가 file 2017.05.24 김규리 13422
다함께 반올림, 아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7 ‘청소년 나침반 봉사단’ file 2017.05.24 이수지 12494
담뱃갑 혐오 그림, 과연 효과있나 2 file 2017.05.24 김수연 13436
겨우 끝나가는 메가볼시티 사태,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나 file 2017.05.24 양우석 14953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3761
부산 청소년 연극제, 세상에 연기로 외치다 1 file 2017.05.24 김혜진 21117
'수학'에 무너지는 학생들...원인은? 1 file 2017.05.24 정유림 15647
흡연 경고 그림 도입으로 감소했던 흡연율 다시 증가, 담배케이스 때문? file 2017.05.24 최예헌 15815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393
'할 수 있다'가 전부야? file 2017.05.24 하은지 13262
셧다운제, 폐지 혹은 규제 완화 될까 file 2017.05.24 최민주 15060
'제5회 부산 청소년 열린 축제' 개최 1 file 2017.05.25 김예원 13596
경기도. 청소년 버스요금을 줄입니다! 2 file 2017.05.25 이은혜 14466
서울 환경 영화제, 기후변화를 위해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file 2017.05.25 이정인 12796
봄을 여는 강연 file 2017.05.25 정예림 12265
부평구 청소년운영위원회 기프트, 위안부 캠페인 실시 file 2017.05.25 박소윤 13406
임산부 배려석을 지키는 곰돌이를 보셨나요? 1 file 2017.05.25 강지현 13707
'공포를 넘어선 놀라움' 영화 Get out 1 file 2017.05.25 김가연 14328
인공강우는 무엇일까? file 2017.05.25 김가영 13641
WE SHOULD ALL BE FEMINIST file 2017.05.25 강지수 12746
<‘나의 꿈을 향한 기지개’, 2017 구미시 청소년 어울림마당> file 2017.05.25 강세윤 16808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5564
프로듀스 101 시즌2 연습생들의 정신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7.05.25 이아영 14776
애니메이션의 흥행공식 2 2017.05.25 김보경 15079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6557
'국민 프로듀서'의 권리, 어디까지인가? 1 file 2017.05.25 방가경 14979
우리나라가 선호하는 여행지, 오사카 1 file 2017.05.25 이가원 15385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6774
더 강해진 알파고, 제1국에서 커제를 이기다. file 2017.05.25 양지원 14996
봄으로 물든 한국 file 2017.05.25 김수민 12052
달리는 것만으로 전세계 아동을 살릴 수 있습니다 - 2017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어린이마라톤 1 file 2017.05.25 서수민 18377
장미의 달 5월, 풍암호수 장미공원에서 file 2017.05.25 박하연 14605
제14회 평택 환경축제 성황리에 개막! file 2017.05.25 김정은 13738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역사적 공간을 걷다. 1 file 2017.05.25 이예인 15822
1위를 추격하는 두산베어스 2 file 2017.05.25 최진혜 13271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8810
어깨동무가 필요한 장애와 비장애-함께 사는 세상- file 2017.05.25 김주영 12674
뇌의 눈, 육감 file 2017.05.25 최서은 16303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3829
환경과의 만남,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5 민정연 18509
더 강해진 알파고, 성장 비결은? 1 file 2017.05.25 이효건 15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