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대마도에서 '대한민국'을 엿보다.

by 4기서상겸기자 posted Jan 27, 2017 Views 18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본 기자는 대마도를 다니면서 대마도에서 볼 수 있는 한국의 풍경과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취재했다. 먼저 처음으로 가본 곳은 한국 전망대였다.


IMG_4105.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나가사키 현 쓰시마 시 최북단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 전망대는 쓰시마 섬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한국형 건축물이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부산 광안리와 해운대가 뚜렷이 보이며 밤에는 광안대교의 야경을 볼 수 있다.


IMG_409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한국 전망대에서 바라본 부산 방면의 바다이다. 쓰시마 섬에서 부산까지의 거리는 49.5km로 매우 가깝다. 예전에는 조오련 수영선수가 헤엄을 쳐서 건너온 대한해협이기도 하다. 가까운 거리인 만큼 수평선 너머로 부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 우측에 보이는 건축물은 일본 해상자위대 레이더 기지다.


1234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다음으로 간 곳은 조선 26대 고종황제의 왕녀인 덕혜옹주 결혼비가 있는 곳이다. 덕혜옹주는 일제의 압박에 못 이겨 1925 3 24일 순종에 의해 1925 3 24일 덕혜의 동경 유학을 명했고 14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일본이라는 낯선 이국의 땅에 발을 디뎠다. 이후 조선의 백성들이 크게 분노한 소식이 있었다. 분노의 주범인 소식은 1931 5 8일 덕혜옹주가 대마도 백작 소 다케유키와 결혼을 했다는 소식이었다. 이 결혼은 일제에 의한 정략결혼으로, 일본인 아내를 맞은 영친왕과 같은 운명을 밟은 것이다. 하지만 덕혜옹주는 결혼 후 조현병에 시달렸으며 1946년에 정신병원으로 옮겨졌다. 일제의 패망으로 인해 다케유키는 경제적으로 감당이 되지 않아 더 이상 귀족의 지위를 유지하지 못했고 덕혜는 법적 보호자였던 영친왕과의 합의를 통해 다케유키와 이혼을 했다.


1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덕혜옹주의 결혼비다. 1945년 해방 이후 덕혜는 어린 소녀 시절을 보낸 고국의 궁궐에 가기를 원했다. 이 무렵 서울신문의 김을한 기자가 덕혜의 소식을 듣고 덕혜옹주의 귀국을 위해 여러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승만 정부는 조선 황실의 존재에 정치적 부담을 느껴 덕혜옹주의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박정희 정부 시절에 다시 원서를 올려 덕혜옹주는 귀국길에 오를 수 있었다. 덕혜옹주는 1962 1 26, 37년 만에 고국의 땅을 밟았다.


8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다음으로 간 곳은 최익현 선생 순국비다. 최익현 선생은 1906 74세의 고령으로 의병을 일으켜 최후의 진충보국하였던 분으로서 구국 의병항쟁의 불씨를 점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나라가 흥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 우리의 마음을 잃지 않는 데 있으며 국권 없이는 모든 것을 잃는다.’는 진리를 가르쳐 일제 강점기의 민족운동 지도이념으로 계승되었다. 최익현 선생은 총칼과 탄환을 거두고 군사를 모집했다. 또한, 일제의 16개 죄목을 들어 국권의 침략과 국제적 배신행위를 지적한 장문의 규탄서를 보내기도 하였다. 의병의 수가 5백여 명을 넘게 되어 힘을 얻은 선생의 의병들은 파죽지세로 곡성을 거쳐 남원으로 밀고 들어가려 했으나, 남원 방비가 워낙 견고했기 때문에 순창으로 회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의병은 8백여 명으로 불어났다. 4 20일 광주 관찰사 이도재가 사람을 보내 황제의 칙지를 전해왔다. 선생은 큰 기대를 갖고 이를 펼쳐 보았으나 그 내용은 엉뚱하게도 의병을 해산하라는 내용이었다. 이에 선생은 반발하며 다시 남원 진입을 꾀했다. 그러나 남원을 지키고 있는 부대가 왜군이 아니고 우리 측 진위대임이 확인되었다. 진위대측은 의병을 해산하라는 통보를 세 차례나 보내왔고 선생은 동포끼리 서로 박해를 하는 것은 원치 않아 즉시 해산시키라고 명령했다. 의병들은 눈물을 머금고 해산했으며 선생 곁에 끝까지 남은 의병은 12명뿐이었다. 4 23일 선생 등 의병 일행은 서울로 압송되어 일제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된다. 그렇게 최익현 선생의 대마도 감금 3유배가 떨어지고 선생은 1906 11 17일 단식 끝에 일본에서 숨을 거두었다.


dsadsa.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상겸기자]


(맨 위 사진) 최익현 선생 순국비 바로 앞에 놓인 동전함이다. 일본의 동전인 엔화보다 우리나라의 원화 동전들이 더욱 많다.

(다음 사진) 수선사 마당에 최익현 순국 비와 함께 선생을 소개하는 글이 돌에 새겨져 있다. 뜻은 면암 최익현 선생은 대한제국의 위대한 유학자요, 정치가였다. 한말의 어려운 정세에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애국 항일 운동을 일으켜 일본 관헌에 의해 쓰시마로 호송되어 왔으며 유배지 옥에서 순국하셨다. 수선사 창건에는 백제 비구니 스님 법묘가 관여한 것으로 전해져 한국과는 인연이 깊다. 선생이 순국한 후 쓰시마 유지들이 유체를 모시고 충절을 되새겨 제사를 올렸다. 이렇듯 유서 깊은 곳에 순국 비를 세워 선생의 애국애의 뜻을 기리고자 한다."라고 새겨져 있다.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1시간~1시간 30분이 걸리는 가까운 대마도에 여행을 간다면 우리 대한민국을 위해 힘쓰신 분들을 기리기 위해 한 번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서상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진하기자 2017.01.30 18:32
    사진이 하나같이 마음에 와 닿네요. 우리나라를 위해 힘써주신 분들, 어쩔 수 없이 고통속에 살아야 했던 분들 모두 정말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대마도에 간다면 꼭 한 번은 들려야 겠어요. 기사를 읽고 여운이 남네요...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2 16:34
    대마도에 우리 역사의 흔적들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되었네요.. 좋은 기사 올려주신 기자님께 감사드리고 다른 기자님들도 한번쯤 읽어 보셨으면 하네요. ^^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3 22:24
    대마도 대마도 입으로 만 불러봤지 사진은 처음 접하네요.
    저도 꼭 대마도를 다녀와 보겠습니다.
    대마도에서 부산의 전경을 바라볼 때 느끼는 감정이 궁금합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6:52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많이 부끄러운것 같아용. 항상 조상님들께 죄송한 마음이 생기네요ㅠ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이윤영기자 2017.02.05 23:06
    대마도가 생소하고 처음 접해봤는데 한번쯤 가봐야할 곳인것 같아요 좋은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2.13 15:58
    대마도에서 광안대교의 야경을 볼수있다니 우리나라와 얼마나 가까운지 실감이 납니다. 일본과 우리나는 좌표적 거리는 가깝지만 심리적거리감은 크게 느껴지는 그런 사이인것 같아요. 일본과의 과거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고 양국이 국제사회에서의 경제를 주름잡는 든든한 협력관계가 되는 날이 오게되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잘봤어요!
  • ?
    4기오경서기자 2017.02.13 15:58
    대마도에서 광안대교의 야경을 볼수있다니 우리나라와 얼마나 가까운지 실감이 납니다. 일본과 우리나는 좌표적 거리는 가깝지만 심리적거리감은 크게 느껴지는 그런 사이인것 같아요. 일본과의 과거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고 양국이 국제사회에서의 경제를 주름잡는 든든한 협력관계가 되는 날이 오게되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잘봤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506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25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2407
향수를 부르는 대구문학관 향촌문화관 file 2016.05.22 박지영 17849
인천 남동구 소래도서관, 원화전시 시행 file 2016.05.22 박은진 16629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7121
우리시대의 전태일을 응원한다! file 2016.05.22 이강민 13877
수원의 자랑, 외국인들을 위하여 file 2016.05.22 김현구 14778
자연과 먹거리,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2 김현승 15743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5353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101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16848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029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15876
제 2의 윤동주를 찾는다! 제 9회 구로구민백일장 file 2016.05.22 백현호 13256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18209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15439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7470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13944
당신의 역사 상식 수준은? 2 file 2016.05.23 이민정 14737
이해찬 선거사무소 조상호 실장을 만나다 file 2016.05.23 최선빈 14467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14015
부산 세계인과 함께하는 어울마당 개최 file 2016.05.24 노태인 14053
C페스티벌 file 2016.05.24 박상민 16886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13400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8707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4893
놀자 페스티벌에서 놀자!! file 2016.05.24 김보현 15045
현대인들의 운동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6.05.24 김나연 27379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2660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8581
[5.17~5.19] '약속의 땅 포항' 삼성, 한화에 위닝시리즈 1 2016.05.25 백소예 13988
세종대왕 탄생일을 아시나요? 1 file 2016.05.25 강기병 18151
압구정중학교 영자신문반 살리기 프로젝트 file 2016.05.25 박지우 17889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15194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16801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1 file 2016.05.25 박정선 15497
느낌이 있는 방송? 설움이 있는 방송! 2 file 2016.05.25 이세빈 15002
서울의 이색 대회 '멍때리기 대회' 1 file 2016.05.25 최찬미 14795
서울삼육고등학교배 축구대회 개최! 2016.05.25 임은석 14511
기성용의 현재날씨는 '구름많음'입니다. [한국인 프리미어리거 총결산 ?기성용] file 2016.05.25 이진호 14349
뜨거웠던 오월의 그날을 우리는 이렇게 기억해요! ? 제 16회 518마라톤대회 file 2016.05.25 오지은 13692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가 열리다! 2 file 2016.05.25 강예린 14914
소신을 실천으로! 서산학생자치연합동아리 '너나들이' 1 file 2016.05.25 김승원 25728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6 강지희 14206
2016년 공정무역 축제를 다녀오다 2 file 2016.05.26 이지은 14580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14662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6210
지구촌이 한마음 한뜻으로 벌이는 즐거운 축제 file 2016.05.27 박가영 14065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6729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29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