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노회찬 "1987년식 자동차를 고수할 것인가, 최신형 2017년식 자동차를 구입할 것인가."

by 4기곽다영기자 posted Jan 25, 2017 Views 140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노회찬 정의당 원내 대표는 "1987년 식 자동차를 타고 5번의 운전자가 바뀌고 타이어가 여러 번 바뀌며 30년을 달려왔다. 다시 우리가 이 방식으로 갈 것인지 2017년 식 자동차를 새로 구입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 한다." 말했다.


170117노회찬의원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곽다영기자]


지난 17() 남해여성능력개발센터 대강당에서 '촛불민심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한 노회찬의 강연이 열렸다.


노 원내대표는 본격적인 강연 시작 전 " 우리 모두가 사상 초유의 경험을 하고 있는 촛불, 이른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고 불리는 사태가 어떤 의미가 있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 더 나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 우리 모두의 관심사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려고 한다." 고 말했다.


수많은 국민들이 두 달 이상 촛불을 들고 싸우고 있다. 1차 촛불집회에서는 2만 명, 2차 촛불집회는 20만 명, 그리고 3차 촛불집회에서는 100만 명이 모였다노 원내대표는 "3주 만에 100만 명의 사람이 모였는데 유리창 하나 깨지지 않았다는 것이 높은 시민의식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작년 129일 박근혜 탄핵 표결에서 총 300명 중 234명이 찬성, 그 중 63명은 새누리당이었다. 이를 두고 노 원내대표는 "촛불을 들고 외치는 사람들의 함성이 법원, 검찰, 경찰, 정치인들에게 전달되어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이 사태에 대한 조사가 검찰에서 특검으로 넘어갔다. 작년 9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등장했을 때에는 초범, 잡범, 파출소 사건 등을 담당하는 형사 8과에서 초임 검사 두 명만이 수사를 하고 있었고, 10월에도 마찬가지였다그러나검찰 수사 마지막 2달에는 검사 44명이 투입 되었다. 그는 이 이유가 '촛불을 든 국민'이라고 밝히며 "특검이 잘하고 있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사람을 변하게 만든 건 다른 이유가 아니라 우리 국민 때문이다. 우리 국민이 이 모든 변화를 만들어 낸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87년 방식과 달라야 하는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 민주화라고 생각한다. 모든 여론조사에서 국민들이 차기대통령, 20회 국회에게 바라는 바는 모두 경제민주화이다. 2017년은 30년 전부터 걸어왔어야 하지만 걷지 않았던 경제민주화의 길을 걸어가야 한다." 고 말하며 "촛불 한 자루 한 자루가 모여 뜨거운 열망, 판단으로 바뀌어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이고 더 좋은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남해에서, 더 어려운 환경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분들께서 더 힘을 내고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겨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국정 농단이 불거진 지 3달이 되었으나 여전히 촛불의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남해에서도 지난 19일 세월호 1000일 추모 시위를 비롯해 정기적으로 촛불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작년 11월 화제가 된 대구 여고생 자유발언을 비롯해 여러 학생들의 자유발언이 이어지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최순실 국정농단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오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관심도 끊이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논란이 있는 것만 알고 그 내막은 자세히 알지 못하면서 그저 웃고 즐길 비하거리로만 이야기하는 학생들도 종종 있다.

항상 학생들은 이야기한다. 의견을 존중 받고 싶다고. 그러나 존중받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단지 어렵고, 관심이 없다며 무시해버린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

무시당하고 싶지 않고, 그 인권을 지키고 싶다면 학생 신분으로 현재 시국에 관한 이해와 본인의 주관적인 생각이 필요하지 않을까. 적어도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 나갈 올바른 국민으로 자라기 위해서라면.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곽다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혜진기자 2017.02.03 01:37
    의견을 존중받기 위해서는 이해와 본인의 주관적인 생각이 필요하다는 말이 정말 와닫는 것 같습니다. 요즘 SNS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소식을 접합니다. SNS에서 왜곡되거나 비하하는 등 우리나라의 정치가 과도하게 웃음거리가 되어 무시당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에 학생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쉽게 휘둘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 국민의 정당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겉표면만을 보고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이해와 함께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정리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곽다영기자 2017.03.24 19:17
    뒤늦게 댓글을 다네요! 정말 sns에 있는 거짓정보에 휩쓸리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10대들도 어려서 모른다는 마인드를 가지기보다는 정치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난 후에 본인의 생각을 표현했으면 좋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6:43
    솔직히 선동하는 사람이 누군지 잘 모르겠지만 sns를 통해 선동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청소년들이 그 말만 듣고 많이 휘둘리는게 팩트인것 같아요 정말로 할 말이 있다면 모든일들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고 평가했으면 좋겠네요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곽다영기자 2017.03.25 12:12
    맞아요. 누가 선동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ㅜㅜㅜ 아무쪼롬 청소년들이 쉽게 휘둘리지 않고 자기 주관을 가지고 있었으면 좋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2.13 14:40

    노희찬의원의 강연내용중에서 경제민주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말에 동의해요. 현재 대기업 중심으로 부가 편중되있는 현상을 완화시키기위해서는 다음 정치권이 나서서 경제개혁을 주도해가야 할것입니다. 부패한 경제구조의 틀을깨고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꽃길만 걸었으면 하네요. 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 ?
    4기곽다영기자 2017.03.25 12:13
    저도 경제민주화가 중요하다는 말이 공감이 되더라고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이제 좀 완화시켜나갔으면 좋겠네요. 비리 없는 사회가 온다면 얼마나 좋을까요!ㅜㅜ 댓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12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864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8713
나라 꽃 무궁화 수원축제-한여름 밤을 수놓은 꽃빛 향연 1 file 2017.08.06 한지선 14215
기부박수337, 얼어붙은 기부문화를 녹이다. 4 file 2017.02.16 이아영 14215
애완동물과 같이 자란 아이 질병 덜 걸린다? 2 file 2018.02.21 조성범 14213
[MBM Y 포럼] 청년들이여 꽃을 피우다! 15 file 2017.02.12 염가은 14213
설레는 수학여행! 지나친 부담여행..? 1 2017.04.29 김영은 14212
'브랙시트에 대한 학생의 생각은?' - 13th ESU Korea Public Speaking Competition file 2017.03.19 김세흔 14212
“양극화 사회에 전하는 공감과 소통” 푸른숲주니어, '네가 속한 세계' 신간 출간 file 2021.01.11 디지털이슈팀 14210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4210
함꼐 나누는 지구촌 문화 2 file 2017.07.15 조은가은 14208
2017 제9회 강릉 커피 축제 1 file 2017.11.01 고민정 14207
증권회사의 증권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에 가다! file 2019.08.26 윤다인 14206
맞물려 돌아가는 우리들... 청소년 자원봉사단 '톱니바퀴' file 2019.02.28 이수연 14204
자동차의 미래, 전기자동차! 3 file 2017.04.03 권하민 14203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4203
전 세계 아미와 함께하는 방방콘 file 2020.05.04 최민주 14200
'알라딘', 연기와 음악 모두 접수하다 1 file 2019.07.29 김민정 14197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196
V-POP과 K-POP 2 file 2017.12.15 이도경 14195
제 4회 Y-kiki 선한음악회 1 file 2017.03.26 정수민 14195
우리말 사랑 동아리 오름 마당! file 2017.07.18 최서진 14194
대학생들이 들려주는 진짜 대학생이야기 1 file 2017.11.15 이지현 14193
하림 푸드트럭, 동신여고·국제고 방문 무료 시식회 실시 6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4192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2 file 2017.04.19 이종은 14189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file 2017.04.18 주건 14189
상상중讀 -- 무한한 상상의 세계로 file 2016.10.25 김은형 14189
예쁜 추억을 만들려면 삼척맹방유채꽃밭으로 오세요~! 1 file 2017.04.18 정유진 14187
2017 경향하우징페어 In 킨텍스 file 2017.02.27 장지민 14186
계양 Wise 청소년 상상 캠프 file 2016.08.10 최찬영 14186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4185
굴러들어온 돌, 통합경비시스템 2 file 2017.03.27 이희원 14184
그 사태를 겪은 사람들은 덜 서러워야 눈물이 나온다고 말한다 2018.11.09 하예원 14183
씨앗의 신비, 먹지만 말고 바라보자 1 file 2017.07.15 백준채 14183
더운 여름, 도리를 찾아떠나는 시원한 바닷속 여행 file 2016.07.24 김주은 14180
KBO리그 S존과 퇴장... 선수와 심판 사이에 불신의 늪 깊어지나 3 2018.05.03 문준형 14179
페트병의 악몽을 깨다. '오호' file 2017.07.25 김민정 14179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4177
에어버스의 야심작, A350 file 2017.06.26 신준영 14176
"친구들이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돼요..." 6 file 2017.03.04 신예진 14176
한계를 이겨내고 싶다; 축구선수 권윤수 file 2020.02.04 이지훈 14168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6 강지희 14168
세상 밖을 볼 수 있는 마음, 박범신 작가를 만나다 file 2018.11.06 김다영 14167
'감성을 자극하는 상상속의 IT기기를 미리 만나본다' KITAS 2017.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file 2017.09.14 이성재 14165
네팔 아이들과 함께했던 꿈 같았던 9일 1 file 2017.06.25 이가은 14165
고종황제 대한제국을 선포하다 file 2017.05.26 강예린 14165
새로운 소비생활을 창출하다, 노브랜드. 1 file 2017.06.25 윤선애 14160
'클린데이' - 우리가 살 곳을 우리가 더 깨끗하게 1 file 2017.03.27 조영서 14159
대청도 지질 공원 인증 추진... 요새화 사업 본질적 복원 필요 file 2017.07.25 경어진 14157
모두 사랑으로 보살펴 주자-다사랑봉사단, 장애인 인권교육받다 file 2017.03.12 전태경 141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