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by 4기최영인기자 posted Jan 22, 2017 Views 209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새해의 첫날을 기념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와 함께 설 연휴를 앞두고 한껏 분주한 국내 소비자들의 개인 신용카드정보를 노린 택배업체 사칭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Photo Blur_Jan212017_18512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영인기자]



 스미싱은 문자메세지(SMS)와 피싱(fishing)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의 문자 기능을 이용한 휴대폰 해킹을 의미하는데, 이는 스마트폰으로는 문자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음을 악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소비자를 택배수령 주소 변경 등의 이유로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그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내장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스마트폰은 감염되어 공인인증서 정보나 개인 신용카드정보를 빼 오는 것까지 가능해지는 것이다.


 신뢰 있는 기관이나 업체로 속여, 눌러서 확인하지 않을 수 없게 하여 더 문제가 되고 있는 스미싱. 이에 대처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알 수 없는 번호로부터 링크가 첨부된 문자가 왔을 때는 의심부터 해보아야 한다. 스미싱의 형태와 종류는 날이 갈수록 더 다양해지고 있다는 건 사실이지만 결국 타 스마트폰을 악성코드에 감염시키겠다는 본질적인 목적인 같으므로 이러한 행동만으로도 어느 정도 피해는 예방할 수 있다. 만약 아는 번호로 왔다 하더라도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면 누르지 말고 바로 지우는 것이 좋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출처(미인증) 앱 설치' 기능을 해제하고 스미싱 차단 앱이나 모바일 백신 앱을 설치해야 한다. 실제로 스미싱에 속아 URL을 눌러 접속까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인증 앱 설치 기능을 해제해 둔 덕분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 깔리지 않아 피해를 막은 사례가 다수 있으며 스미싱 차단 앱은 수시로 문자를 걸러주기 때문에 스미싱 예방에는 탁월한 방법이다.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어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만약 이미 스미싱 피해를 본 상태라면 118(사이버 민원센터)에 신고하여 사후 대처방법을 안내받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최영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전은지기자 2017.01.22 15:35
    나날이 스미싱 수법의 지능이 점점 높아지네요, 잡기도 힘드니 스미싱이 더욱 늘어나서 피해자들 또한 늘어나는 것 같아요. 잡으려고 해도 대부분 IP가 중국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잡을 수가 없다더군요... 스스로가 조심해서 피하거나 경찰청 앱 등을 사용해서 피하는 것만이 답이라고 하니... 범인을 잡을 수 있는 다른 정책이나 해결책이 빨리 생겼으면 좋겠네요
  • ?
    4기김채원기자 2017.01.23 01:25
    세상 무섭네요... 이런 범죄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강예원기자 2017.01.23 15:12
    기사 잘 읽었습니다.
    나중에 이런 범죄도 잡을 수 있는 경찰이 되도록 노력하게끔 생각을 할 수 있던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강예원기자 2017.01.23 15:13
    기사 잘 읽었습니다.
    나중에 이런 범죄도 잡을 수 있는 경찰이 되도록 노력하게끔 생각을 할 수 있던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황수미기자 2017.01.23 16:35
    아직 이런 문자를 받아본 적은 없지만 받게 된다면 굉장히 당황스러울 것 같아요.. 무심코 누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기사로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ㅎㅎㅎ
  • ?
    4기이현기자 2017.01.23 18:22
    이런 범죄가 빨리 사라져야 할텐데 걱정이네요....ㅠㅠ 문자하나도 조심해야 되겠어요..!!
    기사 잘보고 가요~ㅎㅎ
  • ?
    4기김가은 2017.01.24 10:01
    마침 저도 어제 이런 문자를 받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링크 들어갈 뻔 했네요ㅠ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김가은 2017.01.24 10:01
    마침 저도 어제 이런 문자를 받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링크 들어갈 뻔 했네요ㅠ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김민준기자 2017.01.24 11:56
    특히 곧 설연휴여서 혼동되는 문자가 많이 올텐데, 설연휴에 스미싱 피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기사에 나와있는 대처방법을 준비해두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박미소기자 2017.01.24 14:39
    곧 가족, 친지들을 만날 설인데 그걸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니 충격적이네요. 피해도 엄청날텐데.. 스스로 먼저 조심해야겠어요. 기사에 나온 것처럼 스매싱 차단 앱이나 모바일 백신 앱을 깔아야 겠네요.
    좋은 기사 정말 잘 보고 갑니다. :-)
  • ?
    4기김혜진기자 2017.02.05 01:43
    갈수록 스미싱 피해가 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변분들에게도 스미싱피해와 대처방법을 알려야겠어요! 스미싱을 잡을 수 있는 해결책, 기술등이 생겼으면 좋겠고 스미싱을 피하기 위해 문자를 받게 된다면 조심하고 주의해야할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1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56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8817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516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821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123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539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909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172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220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083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131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936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609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1011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423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176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917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933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617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831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499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025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062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353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171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292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520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333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388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343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098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587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8941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736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409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4885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7831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419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139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054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556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3835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914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599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038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279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730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419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769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9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