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누가 '동장군'을 화나게 했나

by 4기권지민기자 posted Jan 14, 2017 Views 153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누가 ‘동장군’을 화나게 했나  4기 권지민 기자


겨울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손님, 한파는 주변을 꽁꽁 얼게 한다. 기상청은 1월 14일 오후 4시부터 강원도와 경상북도, 충청북도와 경기도 등에 한파주의보를 내려 주말 날씨도 심상치 않을 것임을 경고했다. 비록 불과 몇 주 전 까지만 해도 ‘이상 고온’으로 ‘화천 산천어 축제’, ‘평창 송어 축제’ 등의 겨울 지역 축제가 무산될 위기까지 처했었으나, 올해 겨울도 역시 인천 5도 등 대부분의 지방이 영하권을 기록하면서 한파는 우리에게 돌아왔다. 이러한 한파는 비단 대한민국만의 일이 아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25cm가 넘는 폭설과 강추위로 인해 학교들은 휴교에 들어갔다. 마찬가지로 120년 만에 혹한을 맞이한 러시아의 코스트로마주는 기온이 41도 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심지어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8명의 동사자가 발견되면서, ‘살인한파’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그렇다면, 매년마다 심해지는 추위의 원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asdAS.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권지민기자]


한파란 낮은 온도의 한랭기단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몰아닥쳐 급격하게 기온을 하강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 등 다양한 지리적 요인이 작용하는 한파의 발생은 정상적이지만, 그 세기가 점점 세지고 있기에 많은 학자들이 지구의 상태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갑작스러운 한파의 원인으로는 ‘북극진동’과 ‘우랄블로킹’ 현상을 들 수 있다.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 고위도 지방과 중위도 지방의 기압 차이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북극 주위를 돌면서 그 안의 차가운 기온을 가둬두는 제트 기류의 힘이 약해지게 되고, 이틈을 타 찬 공기들이 아래에 있는 지역으로 내려오면서 북극의 기온은 높아지나 중위도 지역의 기온은 낮아지는 ‘북극진동’이 생겨난다.


‘북극진동’ 자체는 이상 현상이 아니지만,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해 차가운 공기가 퍼지는 지역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살인한파의 피해를 보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가 대기권으로 올라가면서 제트기류의 힘이 약해진다. 그로 인해 경계가 느슨해진 차가운 공기들이 러시아 우랄산맥에 충돌하여 퍼지면서 한국과 미국, 유럽 등 주위국가들로 퍼지게 된 것을 ‘우랄블로킹’이라고 한다. ‘북극진동’이 교란되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우랄블로킹’까지 발생하며 최강한파를 만들어내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북극진동’의 교란과 ‘우랄블로킹’ 현상의 발생에는 지구온난화가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람이 화석연료를 마구 사용하고, 이산화탄소를 대거 배출한 결과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다시 인간에게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실제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피해는 함께 돌아가고 있다.

‘동장군’을 화나게 한 당사자는 바로 인간이다. 그리고 그 영향을 받는 것도 바로 인간이다. 지금부터라도 작은 노력부터 해 나가며 북극과 지구의 회복을 위해 많은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권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황수미기자 2017.01.16 16:45
    추우면 춥다고만 생각했지 이렇게 추운 원인 속에 ‘북극진동’과 ‘우랄블로킹’ 현상들이 있는 줄은 몰랐네요.. 또 이런 현상들이 우리 인간들에 의한 것이라니 새삼 그동안 추운 날씨를 불평하기만 했던 제 자신이 부끄러워집니다..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지구온난화 예방에 참여해야겠어요..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었던 유익한 기사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해요^^
  • ?
    4기백혜원기자 2017.01.16 22:08
    평소에 많은 관심이 있던 분야는 아니였는데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야겠어요.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 ?
    4기유림기자 2017.01.17 15:02
    외국의 살인한파, 북극진동,우랄블로킹 등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어가네요. 동장군을 화나게 했기 때문에 더욱 지구의 회복에 노력해야된다는 문구가 인상깊습니다. 좋은 기사와 정보 감사합니다. 추운 겨울 감기 조심하세요.
  • ?
    5기정예진기자 2017.01.17 15:42
    단순히 춥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고 가네요 ㅠㅠ 앞으로 좀 더 관심을 써야 할 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정지용기자 2017.01.17 18:07
    어후~ 추워
  • ?
    4기박민선기자 2017.01.18 08:44
    갑자기 추워져서 단지 강원도라 추운줄 알았는데 북극진동과 우랄블로킹 현상이 있었다는 몰랐던 사실을 기사를 읽으면서 알게되었습니다.
  • ?
    4기김혜진기자 2017.01.18 22:00
    평소 관심없는 분야였는데 하나하나 알려주셔서 유익한 것 같습니다. 인간의 영향으로 더워지고 추워지는 것인데 마냥 불평만 하고 산 제가 부끄러워지네요. 앞으로는 지구온난화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막기위해 노력해야할 것 같아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D
  • ?
    4기정진하기자 2017.01.19 10:30
    확실히 지구온난화가 문제인것같아요. 몇 년 전까지 만해도 느끼지 못했던 현상들이 최근에는 많은 불편을 끼치고 있어서 지구온난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사실 관심은 가져도 노력하려고 하지 않았는데 이 기사를 보니 환경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어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1.23 16:53
    인과응보 처럼 인간이 너무 자연스럽게 사용하는것 같아 마음이 아프네요ㅜ 앞으로는 절약하면서 살겠습니닷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6 22:47
    '북극진동'과 '우랄블로킹'에 대하여 처음 알게 되었네요~~ "동장군을 화나게 한 당사자는 바로 인간이다" 라는 마지막 한마디가 정말 공감되고 부끄럽네요. 물론 사람들의 인식도 중요하지만, 나 자신부터 에너지 아껴쓰기와 같이 작지만 여럿이 모이면 큰 효과가 나는 일들을 실천하여 조금이라도 환경문제 해결에 이바지 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820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79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561
누구나 쉽게 참여하는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캠페인 1 file 2017.04.29 4기기자전하은 15262
봄의 끝물에서 본 문수사 겹벚꽃 3 file 2017.04.30 서지은 15262
잊지 못할 또 하나의 아픈 우리 역사, 제주 4.3 사건 1 file 2018.02.27 강진현 15263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file 2017.11.07 김다은 15266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IT의 신세계 file 2017.09.11 신효정 15267
2017 천안 북페스티벌, 책과 함께 어우러지다 file 2017.10.31 김유진 15269
수면·명상 앱 코끼리, 10월 세계 정신건강의 달 ‘감정 일기 쓰기’ 캠페인 진행 file 2022.10.24 이지원 15270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15271
Volunteer for your community! 2 file 2016.03.25 천예영 15272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276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5277
3월 서울코믹스와 다가오는 5월 부산,서울 코믹스 file 2017.04.16 조민재 15280
우리는 필드 위에 있다; 한국 축구 유소년 선수 file 2020.01.15 이지훈 15280
예술적인 끼를 마음껏 발산하라, 동부중학생 음악경연대회 1 file 2016.11.07 오시연 15285
'맛있으면 0칼로리!' 2017 서울 디저트 페어-초코전 열려 14 file 2017.02.14 유현지 15286
발전할수록 어려운 문제를 내는 인공지능 file 2017.07.27 장예진 15286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5286
2018 카트라이더 쇼케이스 Show me the New generation file 2018.11.30 고은총 15289
올해의 프로야구, 누가누가 잘했나~ file 2016.12.23 김나림 15292
쏟아지는 ★들 성추문 스캔들, '현혹되지 마라' 1 file 2016.07.26 이봄 15292
‘보이스’ 정말 15세 관람가여도 괜찮을까? file 2017.02.24 임해윤 15292
5월의 밤을 아름답게 밝히는 역사 등불 축제 file 2016.05.08 명은율 15293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5293
99년전, 동경 유학생들의 외침 1 2018.02.21 최운비 15293
두산베어스,21년만의 정규시즌 우승 file 2016.09.24 김나림 15294
무심코 쌓아둔 이메일이 지구온난화를 부른다? 3 file 2020.12.11 이채림 15295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5297
영화 '범죄도시'에 등장하는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12.22 김민지 15298
계속 되는 무더위, 도대체 언제까지? 1 file 2016.08.26 지예슬 15301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적신호 4 file 2017.05.03 김나림 15304
영화 <검은 사제들> 촬영지, 계산성당 file 2021.03.03 한윤지 15307
어린이들의 날! 다양한 체험과 함께하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5312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5312
죽은 아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준 한 여성 1 file 2016.03.23 정희진 15313
지나치게 '가성비' 좇는 우리 사회,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까? 2 2017.03.28 마가연 15315
시원함 전에 안전을 먼저 확인하자. 2 file 2017.06.08 김나림 15316
무너져가는 블루레이 시장, 이래선 안 된다. file 2017.10.16 손종욱 15317
일제의 탄압을 이겨낸 민족의 목소리 file 2016.06.12 전지우 15320
육군, 동성애자 군인에게 군형법 제92조의6 위반으로 구속영장 청구 file 2017.04.15 최문봉 15320
노벨문학상의 대혁명 file 2016.10.27 김나림 15321
투타 균형 류중일의 LG, 안정적 2위 수성 가능할까 file 2018.06.27 이준수 15323
"열려라, 청주읍성" 탈환 425주년 기념 청주읍성큰잔치 성료 file 2017.09.05 허기범 15324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5325
소프트웨어, 체험하면서 배워요! '2018 광주SW 체험축전' file 2018.11.02 손민경 15326
2017년 평택시 청소년국제해양캠프,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오다 1 file 2017.07.20 화지원 15328
신태용 감독의 '신나라 코리아'… 현실 될 수 있을까? 1 2017.09.01 윤은서 15332
진정한 국경일의 의미, 역사로 찾자! 4 file 2017.02.21 정채린 15340
꽃들의 축제, 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2019.06.05 김수현 15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