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Oct 30, 2016 Views 185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경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1978년 기상청이 계기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에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였다.이후로도 48분후인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하였고, 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사람들이 느낄 정도로 중진이였다.

지진 발생 후 이틀 뒤인 9월 14일 국민안전처는 경주 지진으로 인한 부상자가 23명, 재산상 피해는 1,118건이라고 발표했다. 다음날인 9월 15일 집계된 재산상 피해는 5,120건으로 증가했고 경주시와 울산시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밖에도 지붕·담장·차량 파손과 건물 균열, 수도배관 파열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 후인 9월 19일 오후 6시 33분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또 다시 발생했고, 9월 24일 현재까지 424차례의 여진이 발생하였다.


경주 지진의 원인은 인도판이 움직이면서 태평양판을 침으로써 그 충격으로 경북 영덕군에서 경남 양산시를 지나 부산광역시를 잇는 양산단층대를 쳐 발생하였다.


이제 더이상 한반도는 지진의 위험에서 벗어난 안전 지대가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발생 할 수 있는 지진에 대비해야 한다.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10가지를 소개하겠다.

1.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1~2분정도 이므로 우선 큰 테이블 밑에 들어가 그 다리를 꽉 잡고 있거나 방석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2. 약한 흔들림이 느껴지면 즉시 가스레인지나 난로등의 불을 끈다. 미처 끄지 못했을 땐, 흔들림이 멈춘 후 꺼야 한다.

3. 큰 흔들림이 멈춘 후엔 공터나 공원등 간판등의 떨어질 위험이 있는 물건이 없는 넓은 장소로 대피해야 한다.

4. 현관문이 비뚤어져 갇힐 수 있으므로 현관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야 한다.

5. 재난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계단으로 대피해야 한다.

6. 백화점,극장 등에 있을 경우 큰 혼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안내자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7. 엘리베이터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내려야하며,만약 갇혔을 경우 인터폰을 눌러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8. 지하철 안에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 화물선반이나 손잡이를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9. 운전 중 발생시 도로 우측에 정차후 내려 대피해야 한다.

10. 등산 중 발생했을 경우 위험지역으로 부터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earthquake_action02.jpg

지진 발생시 장소별 행동 요령 [이미지 출처=국민안전처 홈페이지http://www.mpss.go.kr/home/safetys/earthquake/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10.30 14:41
    (댓글) 3기조해원기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현실로 직면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법이 큰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되겠지요, 사고 발생후 대책 마련도 중요하지만 사전 예방책에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4기사회부기자신유나 2016.11.14 17:59
    학교내에서 안전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듯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의진기자 2016.11.23 22:13
    우리나라가 처음 지진을 접하고 보여준 태도는 어찌본다면 너무 미숙했던 것 같습니다. 아마 예상치 못했왔던 상황이었기 때문이었겠죠. 지금이라도 여러 대처법을 익히고 사전에 방지하는 여러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96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73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0516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19183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167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61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145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145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140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135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134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130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128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127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105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103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073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047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021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002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999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8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7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963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944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907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901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894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8888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75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869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856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854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848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838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82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806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791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790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785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78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762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712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710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704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69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671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656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637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632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6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