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학교소식

독도는 왜 우리 땅인가

by 3기천예영기자 posted Oct 29, 2016 Views 163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501-838 광주 동구 지산로 36 (지산동,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

독도1.JPG

(이미지 제공=(사)독도사랑운동본부)


 2016년 10월 11일 화요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이하 조대여고)에서 곧 다가올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특별한 강연이 열렸다. 사단법인 독도사랑운동본부의 김주영 강사님께서 직접 오셔서 이루어진 이번 강연은 독도의 역사부터 우리나라와 일본의 독도 명칭 변화, 일본의 독도 침탈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으로 시작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강연의 하이라이트인 독도가 대한민국 땅임을 증명하는 사실들에 대한 내용들이 나오자 학생들은 모두 집중했고, 이 내용은 독도가 우리 땅임을 당당하게 논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게 해주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이었다.

ehreh2.JPG

(이미지 제공=(사)독도사랑운동본부)


 먼저 독도가 대한민국의 땅이라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는 증거들은 신라시대 때부터 시작한다. 삼국사기(1145)의 기록에 따르면 ‘지증왕 13년(512년) 신라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복속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당시 우산국은 울릉도와 독도를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었다. 두 번째 증거는 세종실록지리지(1454)로, 우산도(독도)와 무릉도(울릉도)는 두 섬의 거리가 멀지 않아 육안으로 볼 수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그러자 일본에서는 갑자기 독도에 살던 주민들이 없어졌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조선시대 태종 때부터 중종(15세기 초~16세기 초) 때까지 행해진 공도(쇄환) 정책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왜구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내륙 땅 개척과 농사를 위해 섬 주민을 내륙으로 강제이주 시킨 사민정책 중에도 정부에서는 수시로 관리를 보내 3년에 한 번씩 섬을 관리했다고 한다. 네 번째는 17세기 다케시마 도해면허이다. 조경 수역이었던 이 부근을 우리나라의 어부들은 그냥 갈 수 있었지만, 일본의 어부는 국가에 반드시 허락을 맡고 가야 했었는데, 이 도해면허라는 말 자체가 독도가 일본의 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 번째는 우리들도 익히 들어 알고 있는, 17세기 말 일본으로 직접 건너가 정부 인사를 만나서 독도가 우리 땅임을 주장하고 직접 확인까지 받아내었던 안용복의 활약이다. 여섯 번째 증가는 바로 태정관 지령(1877)인데, 이는 최근 발견한 사료 중 독도가 대한민국의 땅이라는 사실을 일본이 절대 반박할 수 없게 만드는 증거이다. 1877년, 일본의 내무성(현 내무부)에서 영토 정리를 하던 중 태정관(현 국무총리 정도)에게 독도와 울릉도가 조선의 것인지 일본의 것인지 묻는 내용의 문서를 보냈고, 태정관은 이에 대해 질의한 섬들은 일본과 관계가 없음을 명심하라는 내용의 공문서를 보냈다. 이 문서는 일본이 100년 동안 비밀로 하여 공개하지 않았으나, 1987년 학문 연구자들에게만 제한 공개하였고 이를 본 교토대학의 호리 가즈오 교수는 이에 대한 논문을 써 세계에 발표하고 독도가 명백한 한국 땅임을 증명하였다. 마지막 증거는 1900년 10월에 있었던 고종황제의 칙령 41호인데, 고종황제는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독도는 대한제국의 것이라 칙령으로 내렸고 이 날은 현재 양력으로 바뀌어서 ‘독도의 날’이 되었다.


 독도가 대한민국의 땅이라고 당당히 주장할 수 있는 많은 근거들을 배운 후, 강사님께서는 이러한 일본의 만행을 앞으로 멈추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더 많은 사람들이 국제기구의 인재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하셨다. 우리나라 대표가 없는 수많은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운명이 결정된 안타까운 현실에서 우리가 알아야할 점은 국제회의 기구에서 우리나라 사람이 많이 있는 것이 곧 국력이라는 것이다. 또한 아무리 말로만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주장해도, 실제 독도에 대한 홍보예산은 2014년 기준 일본은 100억으로 20억을 증액한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20억을 삭감하여 48억만이 투자되고 있는 상태로, 실제 독도를 대한민국의 땅으로 굳히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일본에 비해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분쟁과 모순들로부터 독도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해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천예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은형기자 2016.11.07 23:53
    독도 문제에 있어서 우리는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강연들이 많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서 냉철하게 이성적으로 일본에 대응할 수 있어야 겠다는 생각입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은아기자 2016.11.22 22:40
    저도 부분부분씩만 알고 있었지 우리나라 땅인 독도에 대해서 잘 인지하고 있지 못한 것 같네요. 저희 학교에서도 이런 강연을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해서라도 독도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저를 깨닫게 해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문수연기자 2016.11.24 23:45
    말로만 우리땅이라고 외치는것이 아니라 이렇게 정확한 지식을 배우는게 참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멋지십니다 ~~~!
  • ?
    3기윤지영기자 2016.11.25 20:33
    이와 같은 강연들을 통해서 단순히 독도가 우리땅임을 외치기 보다 자세한 이유를 알고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즣은 글 잘 읽고 갑니다~
  • ?
    3기박채운기자 2016.11.30 00:29
    독도 관련 책을 읽고 정치외교학과를 가고 싶어했던 학생이었는데 꿈이 바뀌어 독도에 관해 많이 무관심해진 것 같네요. 반성하고 갑니다. 확실히 많은 학생들이 독도가 왜 우리땅이냐고 물으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합니다. 이에 대해 확실히 교육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정부에서도 일본에 강경대응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성균관대학교 경영학회 'SSC'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5.03 변수빈 217516
[PICK] 비대면 시대, 무대를 향한 열정은 계속... 연세대학교 락밴드 ‘소나기’ 1 file 2021.11.08 이성훈 316202
현대고등학교, 6일만에 156.4km를 걸은 이유는? 2017.09.19 이서정 16681
꿈을 위한 날갯짓, 대구동부고등학교 승무원동아리 '렛플'을 만나다 1 file 2017.04.18 김도영 16668
힘찬 도약의 시발점, '호남제일고등학교'를 아시나요? file 2021.01.19 문청현 16656
변화하는 국제 사회의 정세 따라 잡기! 대구외국어고등학교의 특색 있는 포럼, 그리고 DYMUN까지 2017.09.26 김가영 16647
신입생들만을 위한 공연, 외대부고 신입생환영회 6 file 2016.03.05 이의진 16641
천안중앙고 정치외교학 동아리 '아고라', 동문초청강연 실시 3 file 2016.10.20 이우철 16627
김해외고 댄스 동아리, '장미'를 만나다 file 2019.08.30 박서하 16617
친구야! 사랑해!-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친구사랑 캠페인 개최 1 2017.04.25 윤예주 16607
울산 강동중학교 제54회 졸업식 1 file 2019.02.18 백휘민 16597
2018학년도 '대구 화원고등학교'의 힘찬 새 출발! 1 file 2018.02.28 서효재 16593
우리 모두 참여해요~ 미사강변중, 영어 대 축제 R U Creative? 5 file 2016.06.23 이시영 16591
김포외고 사회문제토론동아리를 만나다 4 file 2016.03.24 임세은 16587
선일여고의 생태환경 동아리 '수피아' 3 file 2017.02.20 고선영 16573
'졸업빵' 없이도 행복한 졸업식 7 file 2017.02.08 문지원 16561
올바른 역사를 알리자! 반크(VANK) 동아리의 거리극 축제 캠페인 file 2017.05.22 김명진 16553
해강중학교 과학 동아리 '사이언스 펜타' 2 file 2017.08.08 김소정 16540
네 꿈을 펼쳐라! 부원여자중학교 ‘솔향제’ 오디션 현장에 가다 2 file 2016.08.25 박소윤 16521
거제고현중학교 속 싹 트는 호기심, O2 2 2018.03.06 하유경 16514
2016 대흥 축제 2 file 2016.11.25 이민정 16494
부유세에 관한 학생들의 생각과 인식 file 2017.09.12 박유진 16480
수능 D-100 맞아 모교(홍성여자고등학교) 찾은 올림픽 영웅 이성진 선수 4 file 2016.08.28 김혜림 16473
물건도 사고, 기부도 하고! 학성여고의 '플리마켓' 1 2017.07.29 정채영 16456
대구외국어고등학교 '샤프론'봉사단 신천을 밝히다 1 file 2016.10.25 장보경 16453
동화고 예술제, 그 화려한 막을 올리다. 1 file 2017.09.05 정유경 16439
길고 긴 주말리그의 끝, 그리고 영원히 ‘제일~고!’ file 2016.10.23 최호진 16430
벚꽃으로 시작해 폭우로 끝난 '백신중 2017 체육대회' 2 file 2017.04.22 권윤주 16425
토론도 글로벌 시대, 남해해성고등학교 동아리 EED file 2017.09.13 강민석 16409
선생님과 함께하는 장유고등학교 독서릴레이 3 file 2016.05.12 최우석 16408
2016 E3 한일고 축제 (2016.8.26 ~ 27) 열려 1 file 2016.09.24 오세훈 16407
독도는 왜 우리 땅인가 5 file 2016.10.29 천예영 16384
선유고등학교에 경제탐구반이?! 5 file 2016.03.25 임지민 16357
대송고등학교에서 영어 스피치 대회가 열리다! 5 file 2016.04.24 지다희 16351
발명의 산지식인, 전남 여도중학교 임왕빈 교사를 만나다. 2 file 2017.04.24 정보경 16343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메이커 동아리 10 file 2016.03.24 황지혜 16340
하늘고등학교, TEDxHaneul Preview강연회 개최 9 file 2017.02.14 정지용 16335
영파여자고등학교의 정치외교시사동아리를 소개합니다. 2 file 2016.07.24 김보현 16331
자.체.제.작 졸업앨범 '별고.zip', 한번 만나보실래요? 6 2017.05.26 이승은 16319
재활용으로 국제 경제 살리기, 인천국제고등학교와 Recycle Across America 4 file 2017.11.20 유채원 16317
제4회 수원외고 교내 모의유엔대회 개최, 긴 대장정의 시작 4 2016.06.16 정가영 16299
창원경일고등학교 상담실(Wee-Class)을 방문하다!! 2 file 2018.03.05 정혜욱 16246
꿈을 찾는 활동, 경북 구미중학교 두드림 북 만들기 file 2018.08.03 이재혁 16236
대구외고인들의 축제; 2016 JEC Day 3 file 2016.09.25 박수연 16217
탕탕탕! 지산중 '자치 법정'을 소개합니다! 2016.05.25 원혜성 16216
풍덕고등학교의 즐거운 체육대회 file 2016.05.24 홍지예 16191
수원 창현고등학교 방송부, CBS를 만나다 4 file 2017.02.23 변정현 16158
진선여중, 연화제 오디션 '슈퍼스타 J' 개최해 3 file 2016.09.25 김승겸 16154
송도고등학교 체육대회는 누구를 위한 체육대회였나? 2 file 2017.05.15 하재우 16152
반송중학교 현장체험학습 6 file 2016.05.01 이채린 161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5 Next
/ 35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