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by 3기류나경기자 posted Oct 25, 2016 Views 174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156-807 서울 동작구 여의대방로36길 79 (대방동, 숭의여자중고등학교)

수백여명의 학생들이 동시간대에 붐비는 등하교길. 중학교와 다르게 근거리배정이 아닌 고등학교배정의 특성상 도보로 등하교하기가 무리인 학생들이 많다. 이런 학생들이 선택하는 이동수단은 무엇일까? 학교와 집이 도보로 20분 이상인 학생 10명 중 4명은 버스, 3명은 부모님의 승용차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집에서 학교까지 걸어서 적어도 30분은 걸린다는 숭의여고의 김ㅇㅇ학생은 "작년 초, 같은 동네에 거주중인 친구들끼리 사설 통학버스를 신청해서 타고 다니기도 해봤지만 비용부담도 컸을 뿐만 아니라 불법으로 학교에서 금지했기 때문에 이마저도 불가능하다" 고 전했다. 등하교시 버스를 이용하는 E여고의 장ㅇㅇ학생은 "하교때는 여유가 있기 때문에 버스정류장까지 걸어가는게 무리가 없지만 등교때는 정해진 시간까지 복잡한 버스를 타는 것도 일이고 버스정류장에서 학교까지 또 걸어가는 것도 일" 이라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위와 같은 이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들로 많은 학생들이 등하교시에 부모님의 승용차를 많이 이용한다. 부모님의 승용차를 타고 등하교 함으로 학생들은 시간도 단축하고 체력소모도 덜하며 등하교 할 수 있지만 다른 학생들의 안전이나 주민들의 민원 상의 문제를 피할 수는 없다.


승용차 하교길.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3기 류나경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첫째, 승용차가 교문 앞에서 급정거를 하고 또 빠르게 유턴을 하는 등 그 길을 걸어서 다니는 학생들이 차에 치일 위험이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숭의여고의 고ㅇㅇ학생은 "등교하는길에 보도블록과 보도블록사이 공간이 있는데 많은 부모님들이 그곳에서 차를 멈추시고 유턴을 하시곤 한다. 갑자기 멈추는 차에 걸어서 등교하던 중에 치일 뻔 한적이 있다. 학생들의 등교길에 차를 대는 것은 너무 위험하다고 친구들끼리 종종 이야기하곤 한다" 고 불만 섞인 목소리를 높이기도 하였다. 둘째, 학교 앞 도로는 그 학교의 사람들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D남고앞에 거주중인 주민은 "아침마다 그 좁아터진 교문 앞에서 엄마들끼리 빵빵 거리는 소리 때문에 시끄러워죽겠다" 라며 "자가용 등교때문에 D학교에 민원을 수차례 넣었다."고 답했다. 또한 잠깐이지만 도로에 불법으로 정차해놓는 차들때문에 그 길을 지나다니는 다른 차들이 불편하다는 것이다. 택시기사 최모씨는 "아침 등교시간에 학교앞은 되도록이면 안가려고 한다. 차가 지나갈 수가 없을 정도로 막혀서 기름값만 더 나간다. 간혹 아침에 늦어서 택시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그 학생들한테도 되도록이면 교문보다 살짝 떨어진 곳에서 내리라고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까지 위협하는 자동차 등하교에 대한 해결방안은 없을까?
E여고의 안전지킴이선생님께서는 "자가용이용학생 등교시간을 정해주면 좋겠어요. 도보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붐비는 시간에 자가용등교를 하니까 위험이 몇배로 늘어나는 겁니다."라며 자가용이용학생 등교시간을 정해놓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서문여고의 이ㅇㅇ학생은 "이와같은 안전 문제때문에 저희학교는 학교근처 정해진 거리내에 주정차를 금지시켜요. 그래서 정해진 거리 바깥에서 하차하기 때문에 좁은 골목이 늘 막히지만 학생들이 다치는 것보단 낫다고 생각해요"라며 학교 근처 정해진 거리 승용차 주정차를 금지시키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학교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자, 교통지도선생님이 교문앞에 서있자 등 다양한 해결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각 학교들의 활발한 해결방안 활용으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등교길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류나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35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16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931
대재앙 코로나19, 논란의 일본 코로나 학생 재난지원금 차별 file 2020.05.27 송승연 17461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9022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6965
대세론과 상승세, 문재인과 안희정의 공약은 무엇일까 4 file 2017.03.09 손유연 13576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9773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8978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6904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205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11977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346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045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942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9290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068
대구시민의 관심이 집중된 신청사 건립, 대체 무엇일까? 1 file 2019.05.29 김민정 9473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6904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1802
당진시장, 시민들의 소리를 들어 1 2017.01.24 박근덕 16859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132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4515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6321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4536
당사자 없는 위안부 합의, 미안하지만 무효입니다. 4 file 2017.02.12 윤익현 15855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310
담배로 인한 피해는 누가 책임지나. 6 file 2016.03.26 김민주 18164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099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333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53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7808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4572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441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1888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205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293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063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304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078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213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0934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573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071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1698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139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3723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4764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431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0863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