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by 4기구성모기자 posted Sep 25, 2016 Views 169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오늘 (12) 자정을 넘긴 시각 국회에서는 국무의원 농림축산식품부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이 야당의 단독으로 가결(통과)되었다.


국회의사당 사진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구성모 기자대한민국기자단]


국회의장은 차수를 변경하였고, 야당은 단독적으로 처리를 강행 하였으며, 여당은 향후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또한, 청와대는 수용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반대하는 청와대와 여당, 찬성하는 야당의 대립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번 김재수 장관 해임결의안에 대한 문제로 지금 우리 정치의 문제점을 청소년의 눈으로도 살펴볼 수 있다.


- 김재수 장관의 해임안 건의 배경

먼저, 김재수 장관 해임안이 건의된 배경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대통령의 임명 강행이다. 김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부동산 특혜 의혹을 받아 결국 부적격으로 인사 청문 보고서가 올라갔으나 대통령은 임명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김재수 장관의 야권 자극 발언이다. 임명 직전 김재수 장관이 대학 모교 SNS"국회 청문회에서 온갖 모함, 음해, 정치적 공격이 있었다.", "시골 출신 지방 학교를 나온 '흙수저'라서 나를 무시한 것이 분명하다"라는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청와대에 대한 야당의 견제 의식이라는 분석이 있다. 최근 미르재단 의혹, 우병우 수석 문제 등으로 정치적으로 민감한 상황에서 청와대가 야당의 주장을 무시하자 여소야대의 힘을 보여준 것이라는 이유도 있다.


- 청와대 수용할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 2016 장, 차관 워크숍 사진.jpg

[이미지 제공=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의 해임건의안 통과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36개월 만에 치러진 장-차관 워크숍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해임 건의가 요건도 갖추지 않았다며 국회에 유감의 뜻을 밝혔다. 하반기 국정 방향을 논의한 이 자리에는 김재수 장관도 함께 참석하였다. 이어서 박 대통령은 취임한지 아직 19일 밖에 되지 않은 장관에 대하여 해임 건의를 내는 것은 정치적 공세를 한 것이라고 말했고, "우리 정치는 시계가 멈춰선 듯하고, 또 민생의 문제보다는 정쟁으로 한 발짝도 못 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라고 국회를 비판했다. 또한, 야권이 제기하는 의혹들과 공세를 정면 돌파 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장·차관들에게 어떤 일이 있어도 흔들리지 말고 국민을 위해 뛰어달라고도 당부했다. 국회의 김재수 장관 해임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청와대의 단호하고 강경한 입장에도 문제가 있다. 바로 이런 비상시국일수록 여당과 야당을 막론하고 청와대는 소통을 해야 했지만 소통보다는 대립을 택했기 때문이다. 청와대부터 소통이 아닌 대립을 선택한다면 결국 국회까지 대립하게 되는 부정적인 상황이 될 것이다. 박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자신을 위하고 일하는 사람을 지켜야 한다는 사명과 책임이 있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개인적인 사명과 책임으로 인해 국가적인 사명과 책임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비판과 비난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부분에 있어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청와대로서는 더 체계적인 조직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 여당 향후 국회 일정 거부한다.’


새누리당 로고 1.jpg

[이미지 제공=새누리당]


여당은 김재수 장관 해임안이 처리되기 전 가결을 막기 위해 대정부 질문에서 국무위원들이 답변을 오래 하게 하는 지연 전술을 썼고, 통상 질의 시간의 3배가 넘는 1시간 40분간 질의한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이른바 필리밥스터를 실시하여 정 의장에게 밥 먹을 시간을 30분 요구하였다. 정 의장은 이를 받아들여 30분을 주었지만, 여당은 정 의장의 차수 변경이라는 권한을 막지는 못하였다. 정 의장은 자정 직전 차수 변경을 통해 다음 안건들 중 처리되지 못한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을 본회의로 다시 이어가려고 하자, 여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야당의 단독처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여당 의원들은 여소야대 정국의 야당의 독단적 횡포라며 전체 의원이 퇴장하였다. 또한, 중립 의무를 저버린 정세균 의장과 야당이 합작해 날치기 처리한 해임건의안은 무효라고 반발했다. 그 이후 김 장관 해임안이 찬성 160으로 과반인 1519표차 앞서 가결되었고 여당은 야당을 비난하며, 향후 국회 일정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 의장에 대한 사퇴 결의안을 내기로 결하였다. 또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원내대표직에서 사퇴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여당은 여소야대 정국에서 많은 힘을 상실했다는 사실을 절감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새누리당의 모습들도 문제가 되는 것이 있다. 첫 번째로 어떻게 해서든지 야당과 대립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펼쳐 건의안을 막으려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붕당 정치가 실현될 즈음 그 붕당의 시작 의미는 서로의 견해를 인정하며, 비판과 견제를 통해 정치를 하는 것이라고 풀이되고 있다. 여당과 야당은 결코 서로 비난하는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정치는 비판이 아닌 비난으로 서로를 깎아내리고, 인정 대신 대립으로 서로에게 벽을 쌓고 있는 상황이다. 아무리 입장의 차이가 다를 지라도 대한민국의 정치가 붕당이라는 의미를 더욱 무의미 하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야당과 대립하는 것도 좋지만, 정확하고 확실한 근거를 뒷받침하여 주장을 하면 좋겠다. 두 번째로는 새누리당의 퇴장 모습이다. 새누리당만의 모습이 아닐 것이다. 당의 주장이 무산되거나 할 수 없게 되면 줄지어 퇴장하고 일정을 거부하며, 국회를 마비시키는 것이 우리나라 정치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과연 이런 퇴장 행동이 옳다고 할 수 있을까? 국회법 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회의가 끝나지 않았는데도 그냥 퇴장하는 것은 회의에 대한 예의가 아니자 상대를 무시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정치는 비판을 하여 성장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언제든 그 비판은 이해와 인정으로 출발되어 왔다. 이번 여당에 모습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이런 모습들은 출발은 하였어도 전진할 수 없게 하는 정치의 브레이크나 같은 것이다. 이런 모습들이 고쳐져야 한다.


- 야당 여소야대 정국 확실히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 로고 1.png


[이미지 제공=더불어민주당]


야당은 단독으로 김 장관 해임건의안을 가결시켰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민주적인 국정 운영 방식이 되도록 청와대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국민의 경고라고 생각하고요라고 말했고,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대통령께서 역대 해임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적은 없다. 그것이 국민의 뜻이기 때문에 당연히 받아들이신다고라고 말하여 거부 의사 밝힌 박 대통령을 압박하려는 발언을 했다. 여당을 향해선 몽니 부리지 말고 국회에서 민생을 챙겨야 한다고 맞섰다. 국정 감사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단독 국정 감사 얘기도 나오지만, 그러면 여야 대치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여당이 복귀해도 정국은 혼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야당은 비판과 설득을 반복하며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야당도 여당과 마찬가지로 야당만의 입장이 아니라 진정한 국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주장해야 한다. 현재 청와대 조직 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많이 보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국민들은 여당, 야당 둘 중 하나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여당의 의견이 조금 더 나으면 야당이 여당에게 한 발자국 더 물러나 줄 수 있고, 반대로 야당의 의견이 더 나으면 여당이 한 발자국 물러나 줄 수 있는 그런 정치를 바라고 있다. 결코 정치의 본질을 잊고 망각해서는 안 된다. 야당은 여소야대 상황 속에서 정말 야당이 할 수 있는 것은 단독이 아닌 협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우리는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대한민국 정치의 그 누구도 그리고 그 어떤 당도 믿지 못하게 될 것이다. 함께 하는 야당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래본다.


-김재수 장관 해임결의안만이 이렇게 대한민국의 정치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정말 답답한 것은 아마 해야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일 것이다. 앞으로는 대한민국 정치가 신뢰 받을 수 있는 정치가 되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구성모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05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70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0394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346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0344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343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339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10335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332
행정안전부 주관, 2017 을지연습 실시 file 2017.08.25 김성연 10332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331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326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325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10323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314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311
문재인 정부의 광복절 경축사는? file 2017.08.20 이주현 10310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310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309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307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306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305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305
문재인의 대한민국 file 2017.05.23 최우혁 10300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295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294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10292
난민법과 무사증 폐지를 촉구하는 시민들..'난민 수용 반대' 청원 70만 돌파 1 file 2018.07.19 김나경 10290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289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283
[속보] ‘포항 지진' 여파로 수능 연기… 23일 시행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028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대북제재결의안 3 2017.09.27 황준엽 10282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280
스타링크 프로젝트 시작되... 스타링크 위성 60기 발사 성공 file 2019.06.05 김병국 10278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270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267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266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소송 승소, 기대와 우려 사이 file 2017.10.10 원종혁 10265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26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10261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260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258
기억해야 할 소녀들 file 2018.12.26 강이슬 10257
文 대통령 , "5·18 민주화 운동 시민 향한 폭격준비설·헬기사격" 관련 특별조사 지시 1 file 2017.08.24 현준이 10254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254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2 file 2017.03.22 최우혁 10254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249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244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242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237
파격적인 최저임금 두 자릿수 인상, 과연 좋은 일일까? 1 file 2017.07.22 이승희 102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