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백두산이 폭발한다?

by 11기백지은기자 posted May 24, 2019 Views 104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f32c44e4d8dc82f3cb7d0d43a053c9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백지은기자]


최근 매체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백두산의 재분화 가능성이다. 1000년 전 밀레니엄 대폭발이라고 불렸던 백두산의 화산 폭발은 북유럽 그린란드까지 화산재가 날렸던 큰 화산 폭발이었다. 역사학계에선 백두산의 화산 폭발이 발해의 멸망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가설할 만큼 그 피해와 위력은 어마어마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백두산 주변에서 약 3000회 정도의 잦은 화산지진이 관측되며 백두산의 분화 직후가 포착되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백두산의 재분화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말한다.


2019년 4월 15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전문가들은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백두산 폭발 향후 대책 방법을 남북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946년 일본의 기록에 따르면 '하늘에서 흰 재가 며칠간 내렸다'라고 되어있다. 천 년 동안 잠들었던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남북한, 일본을 포함한 주변 동아시아 국가들은 물론 화산재의 피해는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도 큰 피해를 입힐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부터 영국과 미국의 전문가들이 '백두산 북-영-미-중 연구그룹(MPGG)'의 활동을 하고 있다. 제임스 헤이먼드 영국 런던대 교수는 "엠피지지(MPGG)는 그동안 쌓은 네트워크와 경험을 통해 북한과 남한의 새로운 연결을 구축하려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백두산 재분화에 대해 국제적 문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리 청소년들도 백두산 분화 시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알고 백두산의 분화가 세계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백지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5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8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137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360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358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358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352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342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338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332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328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322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318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316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315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315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314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312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309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302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301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300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297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295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294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292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288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287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287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0284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284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283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0281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275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275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275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275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269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269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267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265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264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259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259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258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258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256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255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254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254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