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by 18기김률희기자 posted May 21, 2021 Views 115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소재 산업의 중요성>

한일 무역 분쟁은 201971일 일본이 한국에 단행한 공업 소재 수출 규제 조치로부터 시작된 분쟁을 일컫는다. 당시 일본 경제산업성은 일본 3대 수출규제 품목, 즉 플루오린 폴리이미드(PI), 에칭 가스(고순도 플루오린화수소)와 디스플레이 감광액 재료(EUV 포토레지스트)의 한국에 대한 수출 우대 조치를 취소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수출 규제조치로 인하여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과 관련된 한국의 기업들은 예상하지 못했던 경제적 타격을 받게 되었으며, 특히 소재 기술과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높게 대두되었다. 2020324, '소재·부품·장비 특별조치법'(소부장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되었으며 시급한 일본 3대 수출규제 품목 국산화를 진행해왔다. 올해 초 2021124, 21년 들어서 본격적으로 한국 측의 소부장 국산화 사업에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고순도 불산액은 솔브레인, SK머티리얼즈가 국산화하였으며, EUV 포토레지스트는 유럽산 수입 비중 확대하며, 국내기업 설비 구축 및 시제품 테스트로 양산 준비하고 있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의 경우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중국에 수출 중이며, SKC 자체 기술로 생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에도 소부장산업에 대한 탈일본화 및 국산화는 계속 진행 중이다그렇다면 향후 한국의 미래를 열 새로운 꿈의 소재는 없을까?

 

<꿈의 소재라 불리는 그래핀과 보로핀>

그래핀(graphene)이란 탄소(C)의 동소체 중 하나로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 벌집구조로 결정을 이룬 물질이다. 2010년에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팀이 스카치테이프로 흑연에서 그래핀 층을 벗겨낸 물리적 박리법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그래핀 층은 분자 1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100억 분의 2m 정도(1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로 매우 얇지만, 물리적·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성이 뛰어나다. 또한 현재 반도체로 사용되는 실리콘 단결정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키고 구리보다 100배 많은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량이 매우 낮아 550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한 투과율이 97.7%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이 물질을 나노미터(nm) 크기 입자로 줄여 그래핀 양자점(퀀텀닷, Quantum Dot)’을 만들면, 전류를 흘려주거나 빛을 쪼일 경우 발광하는 특성까지 더해진다.


그래핀과는 달리 보로핀(borophene)은 홀로 존재할 수는 없고 금속 기질(substrate) 위에 증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보로핀은 기본적으로 금속 기질에 증착된 형태이기 때문에 그래핀 물질보다 강하며 유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붕소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래핀 물질보다 전자 밀도가 높고 열전도율도 높다. 우수한 이온 수송 특성을 가진 전기 전도체로 수소 발생 반응에서 뛰어난 촉매 성능을 보였으며 수소 저장에서 유망성이 높은데 재생 에너지로 뽑힌 수소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에 중요한 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글 파일과 찍은 물질 구조 자료 (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소재 물질 활용 사례>

현재 그래핀은 실리콘보다 효율적인 반도체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조명 등 다양한 산업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보로핀 물질은 리튬황전지(Lithium-surfur battery) 및 알칼리 금속 이온 배터리에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화학적으로 안정성 있는 구조 때문에 전자, 배터리, 센서, 양자 기술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양자 기술은 5차 산업혁명이 떠오르며 더욱 중요해진 기술이다. 5차 산업혁명은 4차 산업혁명의 사물인터넷의 부정적 영향으로 제기된 해킹을 고려해 핵심 요소로 보안을 택했다. 이 보안과 관련된 기술이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 통신, 양자 센서 등이고 이를 넓은 의미로 '양자 기술'이라고 말한다.


한글 파일과 찍은 양자 기술 자료 (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신소재 산업화를 위한 기술적 해결과제>

신소재와 관련해서 해외 유명과학 잡지인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나 사이언스(Science)에서 발표되고 있는 괄목할 만한 과학적인 연구 성과가 소개되고 발표될 때마다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큰 기대를 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 그래핀의 탁월한 특성과 소재 활용 가능성에 관련된 많은 양의 연구 성과가 있었고 앞으로도 더 획기적인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발표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들이 실제 산업화에 있어서도 큰 원동력이 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신소재 상용화에 앞서 그 소재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해야 만이 우선 실용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최우선적인 장애물은 신소재공학 연구 인프라(infra) 구축과 신소재공학 연구전공자 양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그래핀의 실용화를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장애물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핀 소재의 생산과 산업적 응용을 위해서 첫째, 경제적이고 일관성 있는 고품질 그래핀의 대량 합성 기술이 필요하며, 둘째, 산업적 기술 적용이 가능한 그래핀의 가공 방법 개발과 기술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그래핀 소재 및 응용/가공 소재 품질과 특성을 구현하고 적용하는 방법 개발 등의 기술적인 문제들이 선결돼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8기 김률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84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9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0412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457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7458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460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465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467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7468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468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7474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475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477
끊이지 않는 아동 성범죄, 사회는 강력한 처벌을 원한다 2020.05.04 한채연 7479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487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7492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7494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7506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7516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517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7532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535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7550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566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7569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580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7586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588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589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7589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7596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596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598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612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621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623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629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630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636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647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651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653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655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656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658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662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663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671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676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7678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