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쩍벌 없는 바람직한 지하철 문화...작은 시작이 불러온 변화

by 3기이상훈기자 posted Feb 25, 2016 Views 35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민들의 빠르고 편안한 발이 되어주는 교통수단인 지하철. 그러나 많은 지하철 탑승객들의 눈살을 찌뿌리게 하는 행위가 있으니 바로 맨스프레딩(대중교통에서 다리를 넓게 벌리고 앉아 옆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행위)’, 일명 쩍벌이다. 지하철 쩍벌남, 쩍벌녀들은 지하철 대표 민폐 승객으로 꼽힌다. 쩍벌 행위 외에도 다리를 꼬고 앉는 행위 역시 옆 사람에게 엄청난 불편함과 민폐를 끼치곤 한다.


 그러나 최근 몇 달간 서울지하철 3호선 일부 열차에서는 쩍벌남, 쩍벌녀는 물론 다리를 꼬고 앉는 사람들을 잘 볼 수 없었다. 열차에 탄 사람들은 가지런히 다리를 모으고 앉아 탑승 매너를 잘 지켰다. 그 비밀의 열쇠는 발 아래 부착된 오렌지하트 스티커.



201512081633_61120010142744_1_99_20151208163404.jpg

 지하철 바닥에 부착된 오렌지하트 스티커의 모습 〔이미지 제공=서울시 공식 페이스북〕



 ‘하트 위로 발 모으면 더 행복한 지하철이라는 문구가 적힌 이 스티커는 대학생들의 작은 아이디어로부터 시작하였다. ING생명이 주관한 '넛지 마케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학생들이 오렌지하트 스티커 캠페인의 아이디어를 냈고, 서울시가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난해 12월부터 코레일, 서울메트로와 협력해 지하철 3호선에서 시범적으로 오렌지하트 스티커를 부착하는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오렌지하트 스티커 캠페인의 결과는 놀라웠다.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은 좌석과 비교해보았을 때 다리를 벌리거나 꼬고 앉은 승객의 수가 줄어든 것은 물론 승객들과 누리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어서 바람직한 좌석 매너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코레일은 이번 달 2월 1일부터 약 3달 간 이 캠페인을 분당선 차량에까지 확산할 계획이며, 추후 결과에 따라 타 노선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하철 3호선 사용자인 이 모 학생(18)은 "발 밑에 있는 오렌지하트 스티커 모양을 보면 자연스럽게 그에 맞춰 발을 모으게 된다"고 말하며 "단순해 보이지만 승객들의 의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며 캠페인의 긍정적인 공익적 영향에 대해 언급했다.


많은 지하철 탑승객들이 다리를 벌리거나 꼬지 않게 된 것은 강력한 법적 규제도, 단속도 아니었다. 그것은 시민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작은 시도가 낳은 기적이었다. 어쩌면 우리 생활 속 변화의 시작은 이처럼 작은 시도로 부터 나오는 것이 아닐까? 앞으로 오렌지하트 스티커 캠페인의 공익적 확산과 더불어 바람직한 지하철 탑승 에티켓 확립을 기대해 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상훈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오지은기자> 2016.02.25 22:52
    대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정말 참신하네요!! 오렌지하트스티커 캠패인으로 많은사람들이 매너있게 지하철이용했으면 좋겠네요~~
  • ?
    온라인뉴스팀 2016.02.27 04:38
    (댓글) 3기송채연기자

    오렌지하트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은 굉장히 효과적일 것 같아요. 인터뷰처럼 뭔가 다리를 벌리면 안될 것만 같은 기분이 들 것 같네요. 평소에 지하철 자주 이용하는데 다음에 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3호선 말고 사람들이 붐비는 다른 호선에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
    4기이채린기자 2016.02.28 10:58
    저도 발대식을 참석하기 위해 지하철을 탔었는데 앞에 앉아있는 쩍벌남이 참 아니꼽더라고요. 이런 기발한 생각을 한 대학생들이 존경스럽네요. 하트 발판이 다른 지하철에도 빨리 실행됐으면 좋겠어요^^ 잘 읽고 갑니다, 수고하셨어요^0^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8 22:15
    저도 다리를 벌리고 앉으시는 분들 옆에 앉으면 자리가 좁아서 불편했는데, 오렌지하트 스티커가 생겨서 그런분들이 줄어들게 되었다니 더 편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오렌지하트 스티커가 다른 지하철에도 생겨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좋은 기분으로 지하철을 이용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은경기자 2016.02.28 22:43
    역시 작은 아이디어가 사회를 바꾸는거 같아요!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9 15:39
    오렌지하트 스티커라는 아이디어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된것 같네요!! 3호선 말고도 다름 지하철에도 보편화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6804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278114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3171002
지구촌이 한마음 한뜻으로 벌이는 즐거운 축제 file 2016.05.27 박가영 29451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32747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29533
2016년 공정무역 축제를 다녀오다 2 file 2016.05.26 이지은 27926
소신을 실천으로! 서산학생자치연합동아리 '너나들이' 1 file 2016.05.25 김승원 42976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6 강지희 26907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가 열리다! 2 file 2016.05.25 강예린 28777
뜨거웠던 오월의 그날을 우리는 이렇게 기억해요! ? 제 16회 518마라톤대회 file 2016.05.25 오지은 30332
기성용의 현재날씨는 '구름많음'입니다. [한국인 프리미어리거 총결산 ?기성용] file 2016.05.25 이진호 34678
서울삼육고등학교배 축구대회 개최! 2016.05.25 임은석 29797
서울의 이색 대회 '멍때리기 대회' 1 file 2016.05.25 최찬미 31944
느낌이 있는 방송? 설움이 있는 방송! 2 file 2016.05.25 이세빈 31868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1 file 2016.05.25 박정선 33351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30947
압구정중학교 영자신문반 살리기 프로젝트 file 2016.05.25 박지우 32439
세종대왕 탄생일을 아시나요? 1 file 2016.05.25 강기병 31265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32502
[5.17~5.19] '약속의 땅 포항' 삼성, 한화에 위닝시리즈 1 2016.05.25 백소예 32747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35680
현대인들의 운동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6.05.24 김나연 41168
놀자 페스티벌에서 놀자!! file 2016.05.24 김보현 31117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32726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40843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32917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27665
부산 세계인과 함께하는 어울마당 개최 file 2016.05.24 노태인 30799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31287
이해찬 선거사무소 조상호 실장을 만나다 file 2016.05.23 최선빈 31713
당신의 역사 상식 수준은? 2 file 2016.05.23 이민정 29187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31033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31253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29519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32509
제 2의 윤동주를 찾는다! 제 9회 구로구민백일장 file 2016.05.22 백현호 31470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33192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34058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31131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31133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31553
자연과 먹거리,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2 김현승 30931
수원의 자랑, 외국인들을 위하여 file 2016.05.22 김현구 28942
우리시대의 전태일을 응원한다! file 2016.05.22 이강민 31307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34065
인천 남동구 소래도서관, 원화전시 시행 file 2016.05.22 박은진 31787
C페스티벌 file 2016.05.24 박상민 33574
향수를 부르는 대구문학관 향촌문화관 file 2016.05.22 박지영 31321
학생들은 왜 성당 독서실을 이용하지 않을까...? file 2016.05.22 신정효 33664
아름다운 장미꽃들의 축제 1 file 2016.05.22 신경민 293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