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진학&진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직업계고 취업활성화 정책의 근본적 변화 필요”

by 이지원기자 posted Jul 01, 2022 Views 186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1017998_20220627170412_8935861529.jpg

[이미지 제공=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률은 갈수록 낮아지는 반면, 진학률과 진로미결정 비율은 높아져 직업계고 취업활성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6월 28일(화) ‘KRIVET Issue Brief’ 제236호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 동향 및 경기지표와의 관계’를 통해 2008년 이후의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 등 진로 동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 결과(붙임 KRIVET Issue Brief 236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직업계고 취업 활성화 정책으로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7년에 50%대까지 이르렀으나, 그 뒤로 하락해 2021년에는 20%대까지 떨어졌다.

정부의 취업활성화 정책의 영향으로 2010년 18.7%에 그치던 취업률이 2017년 52.4%까지 상승했으나, 그 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21년 기준 29.2%까지 감소했다(취업률=취업자/졸업자×100).

반면 진학률은 2017년에 30.9%로 저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1년에는 40%대까지 올랐다.

2010년 71.3%에 달했던 진학률은 2017년 30.9%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44.4%로 증가하는 등 상승하고 있다(진학률=진학자/졸업자×100).

진학률 상승은 산업의 빠른 변화와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중등 직업교육에서 기초 학습과 고등교육과의 연계를 강조하는 기조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진로 미결정 비율(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졸업자 비율)은 2008년 8.5%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8년부터는 20%를 넘었고 2020년에는 29.8%에 달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진로 미결정 비율=(졸업자-취업자-진학자)/졸업자×100).

이에 따라,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 목표와 요구를 바탕으로 한 진로 정책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경기지표와 취업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졸자 취업률과는 달리 직업계고 취업률은 경기지표와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취업률은 경기 자체보다는 정부의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민간부문에서 고졸 채용에 관한 요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분석을 수행한 안재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과 김세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좋은 고졸 일자리 부족, 고졸자의 사회 정착 및 경력개발의 어려움 등은 직업계고 취업에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제”라며 “앞으로의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은 취업의 질 제고와 고졸자의 장기근속 및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서경배과학재단, 용산 아모레 사옥서 'SUHF 심포지엄' 개최

    Date2023.10.23 Views6140
    Read More
  2. D-40 향해가는 수능 시험일...반입 금지 물품은?

    Date2023.10.05 Views6438
    Read More
  3. [포토] 식약처, 의약 분야 안전관리 정책토론회 개최

    Date2023.09.30 Views5961
    Read More
  4. 롯데자이언츠 구단, 고등학생들 위해 직원 체험투어 행사 선보여

    Date2023.08.30 Views11565
    Read More
  5. 삼성호암재단, 삼성금융캠퍼스서 '펀앤런 토크페스티벌' 개최

    Date2023.08.30 Views7047
    Read More
  6. 책 ‘김상욱의 양자 공부’, 양자 역학을 이해하다

    Date2023.08.22 Views6666
    Read More
  7. 삼성호암재단의 여름맞이 청소년 강연회...현장 열기도 뜨거워

    Date2023.08.10 Views7639
    Read More
  8. 공부 유튜버 구슬쥬, '구슬쥬네 공부의 숲' 도서 출간 강연회 개최

    Date2023.08.09 Views7664
    Read More
  9. 나의 도전을 상기하다...책 '열아홉 독립일기'를 소개합니다

    Date2023.06.24 Views6288
    Read More
  10. 청소년 작가 이재은, 첫 역사기행 '선비의 케렌시아, 정자' 출간

    Date2023.05.24 Views7163
    Read More
  11. ‘KB인재양성’ 장학금 전달식 열려

    Date2023.04.07 Views11012
    Read More
  12. [포토] 2023년 첫 전국연합 필적란 “온 세상이 너를 닮은 꽃빛으로”

    Date2023.03.27 Views11812
    Read More
  13. 용산구, '청소년 디지털월드' 3월 개관...VR 체험공간 마련

    Date2023.02.28 Views8129
    Read More
  14. 퀄컴 후원 로봇챔피언십 대회, 대전서 성황리에 마쳐

    Date2023.02.10 Views7438
    Read More
  15. 서울시교육청, KT와 청소년 AI 전문가 육성 나선다

    Date2023.02.07 Views7452
    Read More
  16. 용산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요리조리 베이커리 진행

    Date2023.02.01 Views5549
    Read More
  17. 한화, 우주 영재 육성 프로젝트 ‘우주의 조약돌’ 1기 수료식 완료

    Date2023.01.09 Views10521
    Read More
  18. 서울시립문래청소년센터,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2023 그린로드’ 운영

    Date2023.01.06 Views1044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