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by 18기김률희기자 posted Mar 08, 2021 Views 291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로봇 이용의 증가>

실생활에서 로봇을 이용하는 일들이 잦아지면서 로봇세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자신은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지니'나 '시리' 같은 AI도 로봇의 한 종류이다. 병원에서는 로봇을 통해 어려운 수술을 대신하기도 하고 농사에도 로봇을 이용한다. 공장에서 부품을 조립하는 역할도 대부분 로봇이 하고 있다. 이렇게 생활 전반에 로봇의 역할이 커지며 로봇세가 부각되고 있다.


<로봇세란 무엇인가?>

로봇세란 로봇을 소유한 사람이나 기업으로부터 걷는 세금으로 로봇세는 로봇 도입으로 인한 실직 속도를 늦추고 실직자의 재교육 등을 지원할 재원으로 활용된다. 로봇세 논쟁은 유럽 의회가 AI 로봇의 법적 지위를 전자인(electronic person)'으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20172월에 통과시키며 시작되었고 빌 게이츠가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지 쿼츠와의 인터뷰에서 인간과 같은 일을 하는 로봇의 노동에도 세금을 매겨야 한다.”고 주장하며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지금까지 찬반 여론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로봇세 찬반 입장>

국제로봇연맹(IFR)로봇세가 경쟁과 고용에 부정적인 충격을 주고 혁신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로봇세를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뿐만 아니라 다른 로봇세 반대 주장 측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주범으로 로봇만을 지목할 논리적 근거가 없고 키오스크(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 탐말기)나 워드프로세서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모바일 뱅킹 등도 인간의 노동력 활동을 줄였지만 이런 기술에는 과세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다양한 로봇 중 로봇세 적용 대상을 맞추기가 어렵고 그렇게 되면 로봇세를 내는 로봇들은 수용대상에서 멀어지게 된다는 것과 기업들이 로봇세를 걷지 않는 국가로 공장 시설을 이동한다는 오류들을 꼬집었다. 이와 반대로 로봇세 찬성 측은 첨단 기술과 플랫폼을 독점한 기업들이 국민의 견제와 감시를 받을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해 기술혁신이 가져올 문명의 변화에 맞춰 새로운 정치 사회 제체를 만들자고 주장한다. 또한 조세부담률이 감소하고 기본소득제도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사회적 기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여러 장점들을 열거했다.


<머신택스의 등장>
머신택스(Machine Tax)는 사회보험제도로 로봇 도입으로 인한 피해를 상쇄하려는 의도로 제기되었다. 로봇세가 세금을 기반으로 한다면 머신택스는 사회보험제도를 기반으로 한다. 보험은 미래 위험을 대비한다는 개념이지만 세금은 정부가 강제로 받아 가는 돈이자 사라지는 돈이라는 성격이 짙기 때문에 사회보험재정 충당이라는 명목에서 등장한 머신택스의 프레임이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다.


2번째 크기조정.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률희기자]


머신택스를 처음 제기한 것은 유럽이었다. 사회보험제도는 노동자가 내는 보험료를 통해 유지되기 때문에 돈을 버는 이들이 많아야 탄탄하다. 그러나 로봇이나 기계 등이 도입되며 노동자가 감소하자 유럽은 사회보험금을 납부해야할 주체를 노동자에서 로봇이나 기계로 대체하였다. 이는 기업들의 반발을 막을 수 있을뿐더러 세계로봇연맹(IFR)201620개국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노동자 1만 명당 로봇 도입률이 가장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로봇세보다 훨씬 획기적인 대안이다. 그럼에도 여러 시사에서는 여전히 로봇세에 대해서만 논쟁을 하고 있다. 조금만 고개를 돌려 머신택스의 다양한 면모가 다뤄지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8기 김률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6060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725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29937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85107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21639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19639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18237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26489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18805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60464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21566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19657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15680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15930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16853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20586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16961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20293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20573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18340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16093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17198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20777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18810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22125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18490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16368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21087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16534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29190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124065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24506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20354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22368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18636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20777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121189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20596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26445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17718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119924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15859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116840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27704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18213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23557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16429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16360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20132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15936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182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