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by 18기심승희기자 posted Jan 25, 2021 Views 193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심승희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심승희기자]


글로벌 누적 확진자 8072만 명누적 사망자 176만 명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는 70억 인류에게 커다란 쇼크 그 자체였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저지를 위해 국경을 봉쇄하고 이동을 제한하는 등의 여러 노력을 했지만, 지구촌은 팬데믹에 빠졌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류 역사상 가장 최악의 한 해였다.

1.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지구촌 보건, 경제 붕괴되다

코로나192019년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병되고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했다. 전염력이 강하고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전염병이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피해가 컸다. 어쩔 수 없이 각국은 국경을 봉쇄하고 이동 제한 조치를 강제로 했다. 이 때문에 마비된 경제 활동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이어졌다. 

2. 트럼프 대선 불복과 승리한 조 바이든

1113일 열린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꺾으며 조 바이든 시대가 열렸다. 미국의 정권 교체는 매우 어수선한 상황이다. 자신이 승자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전례가 없는 불복 행보를 이어가고 있고 부정 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대선 결과 자체를 무효로 하려는 소송을 남발했다. 그러나 미국 법원은 트럼프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선거인단 공식 투표에서도 306232로 조 바이든의 당선을 확정했다.

3. 미국 한인타운 폭동과 인종차별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함께 살고 있는 국가이지만 여전히 인종 차별의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525일 미네소타주 미니에폴리스에서 발생한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은 인종 차별 문제를 폭발시킨 계기가 되었다. 백인 경찰은 바닥에 엎드린 흑인 플로이드의 목을 누르며 사망에 이르게 했다. 미국 전역에서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시위는 폭동과 상점 등의 약탈로 이어졌고 L.A. 한인 타운도 이로 인한 피해가 약 200억 원이나 되었다.

4. 미국과 중국의 갈등 심화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서 국제 사회의 공조가 무엇보다 절실했으나 강대국 미국과 중국은 주도권 다툼을 지속했다. 미국의 뉴욕 증권 거래소는 새해가 시작되기 전 중국 기업 세 곳을 퇴출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트럼프 현 정부가 중국에 대한 규제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도 당하고 있지만은 않았다.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기업과 사업하는 것에 제재를 가한다면 미국도 반드시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는 내용의 경고를 중국 상무부가 발표했다.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 바이든도 중국에 대해 강경함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미국과 중국 사이에는 기술, 무기, 경제, 이념, 외교의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5. 극단적인 날씨 관련 재해

신년 초부터 한파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균형이 무너져 기상 이변과 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대서양의 열대성 폭풍이나 초강력 허리케인, 폭우, 가뭄, 폭염 등의 기상 이변은 전 세계 지역을 불문하고 날씨 재해로 이어졌다. 각국 정부도 기후 변화에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파리 기후 변화 협약을 체결했으나 현실적으로 목표 달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6. 2020 도쿄 하계 올림픽

작년 724일부터 8 9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32회 하계 올림픽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연기되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2020325일 일본과의 공동 성명을 통해 도쿄 올림픽 연기를 발표했는데, 감염병으로 올림픽이 연기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올림픽 조직 위원회는 2021년 올림픽이 열리더라도 대회 명칭은 여전히 2020년 도쿄 올림픽이 될 것이라고 합의했다. 도쿄 올림픽 연기 결정은 4년 주기로 짝수 해에 열리던 올림픽의 전통도 깨지게 되었다.

7. 인류의 대반격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무엇보다 백신 개발이 필요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류에게 견디기 힘든 고통과 피해를 주었고 세계 각국은 무너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13조 달러 이상의 돈을 쏟아부었다. 글로벌 제약 회사들은 역대 최단기간에 백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고 특히 미국의 제약 회사인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 개발 소식은 높은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되었다. 까다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을 일 년 만에 만들어냈다는 사실은 인류의 놀라운 쾌거이다. 그러나 그 뒤에는 자본주의 세계의 국제적 경쟁과 막대한 자원이 투자되었기 때문이다.

2021년 인류는 여전히 코로나바이러스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그리고 여전히 지구촌은 국가 간, 인종 간의 불평등과 지구 온난화 등 해결해야 하는 수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선진국은 모두 백신을 선구매한 상태이고 강대국은 자국의 경제력으로 백신을 개발했지만, 개발도상국과 빈민국은 선진국에서 남은 백신을 구걸해야 하는 입장이다. 불행하게도 백신과 관련된 지구촌의 불평등 또한 심각한 상황이다. 2020년 지구촌을 돌아보며 기억해야 할 것은 인류의 모든 생명은 소중한 가치를 갖고 있고 동시에 보호를 받아야 하는 존엄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심승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590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7100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28373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16763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21563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16670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18552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17338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18068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21242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18522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19139
美 보건당국, 실내 '노마스크' 허용 file 2021.05.24 양연우 17876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23248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열흘 만에 휴전 합의 맺어 file 2021.05.24 고은성 17448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17458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15319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file 2021.05.21 김률희 24124
文 대통령 "5.18의 마음이 민주주의가 되고, 코로나 극복 의지가 돼" file 2021.05.21 김현용 17799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18696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17304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18496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15150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15862
강제로 뺏어 간 자연을 다시 되돌려주는 일, 환경과 기후 변화 협약 file 2021.05.03 박연수 26501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23121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18023
KAI의 국산 수송기 개발 계획 어떤 수송기 만들려는 건가 file 2021.04.29 하상현 138931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18715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23573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17445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의 미얀마 군부 대표 참석을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위대 file 2021.04.27 김민경 17227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23290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33802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15547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22044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18886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15616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16144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18421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file 2021.04.14 한건호 18299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18556
방글라데시 여객선 사고 26명 사망 2 file 2021.04.12 이정헌 19740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14210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17106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19775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16943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20717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16373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17260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22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