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진학&진로

자퇴, 무조건 나쁜 것일까?

by 18기문서현기자 posted Jan 08, 2021 Views 197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자퇴생, 스스로 학교를 그만둔 학생. 자퇴생이라고 하면 흔히 주변에서 부러움과 걱정이 섞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그 이유를 물어보자, 자퇴하면 사회에서 차별을 받을 것이라고 한다. 그들이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통계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KESS(교육통계서비스)에서 각각 2012년, 2019년에 학업중단자를 대상으로 사유를 조사한 것이다.


기사기사 2012자퇴.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문서현기자A]


 이것은 2012년 자료다. 조사자 33,553명 중 17,454명. 약 52%가 부적응으로 인해 자퇴를 하였다. 이보다 몇 년 전인 통계를 보면 부적응으로 인한 자퇴가 더 많다. 이렇게 오랜 세월 자퇴는 부적응하는 자들이 하는 선택으로 인식되어왔기에 우리는 자퇴자들에게 편견을 갖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는 어떨까?


기사기사 2019자퇴.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문서현기자A]


 위의 자료는 2019년 자료다. 2012년 자료에서는 52%를 차지했던 부적응이 29%로 줄고 24%였던 기타는 53%로 늘었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부적응으로 인한 자퇴보다 기타사유가 많다. 그렇다면 자퇴 후에 이들은 무엇을 할까?


진짜최종.PNG

윤철경, 성윤숙, 유성렬, 김강호(2015).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인용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문서현기자A]


 위의 자료를 보면, 전체의 반은 학업을 준비한다. 더 이상 자퇴는 부적응의 회피 수단이 아닌 또 다른 입시 전략인 것이다. 학교에서 다른 과목이나 수행평가 등으로 시간을 쓰는 대신 응시 과목에 집중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턱대고 자퇴해서는 안 된다. 자퇴 후 사회와 단절이 되고 은둔형으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한 자퇴 후 생활을 위해서는 확실한 목표와 계획이 있어야 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아니면 자퇴는 독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퇴생을 나쁜 편견으로 보지 말고 하나의 선택을 한 것으로 보는 색안경 끼지 않는 사회가 왔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문서현기자A]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문청현기자 2021.01.08 14:49
    좀 더 다른 시각에서 자퇴를 접할 줄 아는 사회가 찾아왔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잘 보고 가요.
  • ?
    18기김성희기자 2021.01.11 14:01
    그래프와 표가 있으니 더 이해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주변에서 가끔 자퇴하는 학생들을 볼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자퇴를 무조건 나쁘게만 보는 인식은 아닌 것 같아요. 자신의 미래를 계획해서 공부보다 꿈을 이루기 위해 자퇴하는 것은 오히려 더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19기김태희기자 2021.04.01 23:09
    자퇴를 한다고 하면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시선이 개선 되었으면 좋겠네요.

  1. 맥세스컨설팅, 제36기 맥세스 실무형 프랜차이즈 전문가 과정 모집

    Date2022.07.25 Views10345
    Read More
  2. 유스내비, 서울시 청소년 900개 기관의 온·오프라인 체험 프로그램 100선 선보여

    Date2022.07.25 Views6211
    Read More
  3. ‘2022 지역사회 탄소중립 환경교육리더’ 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Date2022.07.21 Views10237
    Read More
  4.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7월 23일 ‘청소년이 바라는 지역정책 토론회’ 참가자 모집

    Date2022.07.15 Views6463
    Read More
  5.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직업계고 취업활성화 정책의 근본적 변화 필요”

    Date2022.07.01 Views18683
    Read More
  6. 서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청소년을 위한 1:1 맞춤형 진로·진학 상담 제공

    Date2022.07.01 Views8068
    Read More
  7. 한국보건교육학회, 보건교육센터 도입 관련 2022 학회 온라인으로 개최

    Date2022.06.28 Views10538
    Read More
  8. 웹툰스쿨, 웹툰 입문반부터 작가 데뷔반·취업반까지 온·오프라인 웹툰강좌 개시

    Date2022.06.23 Views6410
    Read More
  9. '2022년 제2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온라인 생방송 개최

    Date2022.06.21 Views10479
    Read More
  10. 성북문화재단,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진로 강연 ‘내 일로 on off’ 개최

    Date2022.06.16 Views5679
    Read More
  11. 2022년 청소년 기상위성 여름캠프 참가자 모집

    Date2022.06.16 Views11607
    Read More
  12. 강남구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2023년 학교밖청소년 대학입시설명회’ 개최

    Date2022.06.14 Views8111
    Read More
  13. SK행복나눔재단, 2022 하반기 ‘청년장애인 인재육성 및 채용연계 프로그램’ 훈련생 모집

    Date2022.06.09 Views6773
    Read More
  14. 건국대학교, 2023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 수능최저 폐지

    Date2022.06.09 Views9010
    Read More
  15. 서울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학교 밖 청소년 대상 '5월 전문인 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Date2022.06.07 Views6118
    Read More
  16. 2022년 건강장애 학생 대상 스쿨포유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Date2022.05.31 Views5689
    Read More
  17. 창립 50주년 기념 제181차 KEDI 교육정책포럼 '현장에서 정책으로'

    Date2022.05.23 Views9957
    Read More
  18. 이젠 익숙한 드론, 하지만 우리가 몰랐던 이색 직업들!

    Date2022.02.25 Views676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