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by 16기임윤재기자 posted Nov 19, 2020 Views 170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작년 말, 중국 우한 시로부터 전파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 전 세계로 퍼진 상태이다. 세계적으로 여전히 하루에 4,000명가량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도 여전히 하루 평균 200명 수준의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을 막기 위한 백신 개발에 중요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한민국 정부가 국내 인구의 60% 수준인 약 3,000만 명 분량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9개의 백신 중 4개가 중국산이고, 그중 한 정부 관계자는 현재 중국 제약사 시노팜(國藥集團)의 백신을 적극 도입 검토 중이라고 발언하여 화제이다.


KakaoTalk_20201118_0915271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임윤재기자]


각각의 백신들의 면모에 대하여 파헤쳐 보자면 우선 중국 측의 4개의 불활화 백신은 국영 제약사 중국의약집단(시노팜) 산하 중국생물기술집단(CNBG)과 베이징과흥생물제품(시노백 바이오테크), 강희락생물(칸시노 바이오로직스)이 각각 개발한 것이다. 그중 CNBG와 시노백의 백신은 이미 중국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긴급 사용 허가가 났고, 또한 칸시노의 백신은 중국 군인들을 대상으로 현재 접종 중이다. 이 백신들은 모두 중국 국외에서 실험된 것으로 중국 내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외국에서 참가자들을 섭외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중 칸시노가 개발한 백신 후보 물질은 ‘Ad5-nCoV’는 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수의 과학계 전문가들은 많은 사람이 일반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Ad5-nCoV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칸시노는 이러한 지적을 반박하였고, 이는 충분한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도 백신은 개발 중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여러 백신에서 부작용들이 검출되며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사의 아데노 바이러스를 활용한 백신은 임상 참가자에게 희소 질환인 척수염이 발견되어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외에도 mRNA를 활용한 미국의 모더나 사의 백신, 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한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 백신, 그리고 현재 실제 사용되고 있는 렘데시비르, 덱사메타손, 올루미언트 등이 있다.


이렇듯 위와 같이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코로나 감염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지만, 코로나 종식 전까지 경계심을 잃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본적인 생활 수칙을 계속해서 지켜나가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임윤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1.30 14:09
    아무쪼록 좋은 품질의 좋은 백신이 국민에게 접종 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5740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694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26704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20226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16815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17241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16582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19283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19797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22817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21519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18476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18608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21940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20689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22786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21907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25820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22068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file 2021.03.18 김은지 21859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23265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21757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2021.03.08 김률희 29106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21137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22023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20732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16789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21342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1725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24802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23692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17779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15825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23156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15516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23417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17230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16966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17681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29251
허울뿐인 ‘딥페이크 처벌법’… ‘딥페이크’ 범죄, 막을 수 있을까 3 file 2021.02.23 장혜수 24142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43053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17403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25984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24988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16999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18531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20173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25083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23273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19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