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by 16기윤지영기자 posted Oct 26, 2020 Views 188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예방접종.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윤지영기자]


 국내에서 인플루엔자(독감백신을 맞은 뒤 숨진 사고가 22일 (오전 10시 기준) 13건 발생했다보건당국은 사망 원인과 독감 백신 접종 간 인과관계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보건당국은 이들이 각각 다른 회사의 제품을 맞았고동일 제조번호 백신을 맞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이상 반응이 없었던 점을 고려해 백신과 사망 간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독감백신 예방접종 사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다만질병관리청은 보고된 9건 중 7건에 대한 역학조사와 사인을 밝히기 위해 부검 등을 진행 중이다하지만 며칠 새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가 연이어 나타나자 곳곳에서는 예정됐던 접종을 취소하거나무료 접종 대상자가 유료 접종을 선택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어 불안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지난 16일 오전 인천에서 17세 고등학생이 숨진 사례가 보고된 이후 전북대전대구제주서울고양성주창원 등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이 중 일부는 접종 뒤 사망 시간이 빠르다는 점에서 독감 주사의 부작용인 급성 과민 반응의 가능성이 있고 나머지는 독감 백신과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게 질병관리청의 설명이다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잇따라 발생한 경우는 2005년 6, 2008년 3, 2009년 8건 등 과거에도 있었지만올해처럼 일주일 새 10명 이상 발생하진 않았다.


 2009년 가을 독감 접종 후 고령자 8명이 숨졌지만 질병관리청 산하 예방접종 피해 보상 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독감 백신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인정받은 경우는 단 1건이다. 65세 여성 한 명이 접종 후 두 팔과 두 다리의 근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났고입원 치료 중 폐렴 증세가 겹치면서 사망해 독감 주사 부작용으로 인정받았다


 보통 백신의 부작용은 접종 직후 접종 부위가 붓거나 열과 몸살 기운이 드는 가벼운 전신 반응이 나타난다하지만 아주 드물게 중증 이상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아나필락시스와 길랭바레 증후군이 대표적이다아나필락시스는 일반적으로 접종 직후혈압이 떨어지면서 의식이 혼탁해지고 쓰러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길랭바레 증후군은 사람 몸속 면역체계가 바이러스가 아닌 몸속 신경계를 공격하면서 발생한다보통 다리부터 기운이 빠지면서 전신으로 마비가 진행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독감 백신을 둘러싼 우려가 지나친 공포로 확대될 경우 트윈데믹’(두 가지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예방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국내에서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연평균 2900명 정도이며 이 중 90% 이상은 65세 이상 고령자다. “접종으로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을 안 하는 상황이 벌어져선 안 된다고 말했다그러나 일각에서는 사망자가 잇따라 나오는 상황에서 백신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접종을 늦추고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윤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2:04
    정부에서 괜찮다고 하지만 불안한건 사실이니까.... 정부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줘야할거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5418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6566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22042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17723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21787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18451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23967
IT 기술의 발달과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 file 2021.01.27 류현우 21751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18756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21318
백신 안전성...결정의 기로에 놓인 프랑스 국민들 file 2021.01.26 정은주 19582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25991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19305
“Return to MAX” 2021.01.22 이혁재 23593
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나고 있는가? file 2021.01.21 김광현 22261
1월 18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어떻게 달라질까? file 2021.01.20 신재호 22696
인류의 제2의 재앙 시작?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변종 발견되다 file 2021.01.19 김태환 22307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19299
의학적 홀로코스트, 코로나19 위기에 빠진 한국을 구해줄 K 방역 1 file 2021.01.18 김나희 19311
양산 폐교회 건물 인근에서 훼손된 사체 발견 file 2021.01.11 오경언 25374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염려 사실 아니니 국민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1 file 2021.01.11 백효정 18569
온두라스, 한 달 기간에 두 번 잇따른 허리케인으로 인해 "초비상 상태" file 2020.12.31 장예원 19648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23438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19794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20327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20695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결심 file 2020.12.28 명수지 19616
‘코로나19’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된 배경은? 1 file 2020.12.24 정예람 30253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31944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16548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16325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18065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와 1조원대 공급계약 체결 후 테슬라와도 `NCMA 양극재 배터리' 계약체결 2020.12.21 송성준 22385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file 2020.12.15 장예원 24237
영국 노딜 브렉시트와 유럽 회의주의의 파장 file 2020.12.15 박성재 26252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20398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19098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26116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21151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22471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16085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18768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43558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20200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17609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22696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15808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36566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17060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16659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21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