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by 16기박재훈기자 posted Oct 08, 2020 Views 153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서아프리카의 말리에서 군사 쿠데타로 22년간 집권했으며, 역시 또 다른 쿠데타로 축출된 전(前) 말리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가 향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이드리사 트라오레가 죽음을 밝혔지만, 사망 시점과 장소, 사인은 밝히지 않았다.


20201007_191226마.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박재훈 기자] 


그는 프랑스 군사학교에서 재학했으며, 프랑스군에서 복무한 트라오레는 말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지 8년이 지난 1968년, 초대 대통령 모디보 케이타에 불만을 품고 집권했다. 케이타는 말리를 집단 농장을 운영하며 소비에트 연방, 중국, 중국의 국영 기업과 교류했다.


트라오레와 다른 장교들은 국민 해방군사 위원회를 창설해 국가의 헌법을 폐지하고 정권을 수립했다. 그는 1979년까지 군 지도자로 있었으며 일당제 국가의 대통령으로 군림했다. 1985년에 열린 대선에서 유일한 후보이기도 했다.


1988년 그는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백악관으로 초청하는 영예를 얻은 흑인 아프리카계의 두 번째 국가원수였으며 미국인들에게 친 서방 행보로 지지를 받았다. 트라오레는 과거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각별히 “우리의 고대 자산”이라고 언급한 자국의 금광에 대해 서방의 투자를 원했다. 


3년 후 잇따른 경기 하락이 200명 이상 사망한 시위를 촉발하며 트라오레는 야밤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두 명의 열렬한 지지자가 분살(殺)된 가운데, 50명 이상이 쿠데타로 사망했다. 트라오레는 시위자들의 살해로 재판에 회부되어 사형이 선고됐지만 알파 우마르 코나레 대통령이 선고를 종신형으로 감형했고 2002년 사면했다.


트라오레의 사망은 군 지도자들이 쿠데타를 전개해 3년의 임기를 남긴 이브라임 케이타 대통령을 퇴임시킨 지 한 달여 만에 발생했다. 현재 말리는 지난 8월 18일 군부가 일으킨 쿠데타로 과도 정부가 들어선 상태이며, 그로 인해 주변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박재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573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6936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26660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20226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16815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17241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16581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19283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19797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22817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21519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18476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18608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21939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20687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22786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21907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25819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22067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file 2021.03.18 김은지 21859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23265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21757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2021.03.08 김률희 29105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21136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22021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20730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16789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21340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1725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24802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23691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17777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15825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23156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15516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23416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17230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16966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17681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29249
허울뿐인 ‘딥페이크 처벌법’… ‘딥페이크’ 범죄, 막을 수 있을까 3 file 2021.02.23 장혜수 24141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43052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17402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25984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24987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16999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18531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20172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25082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23271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19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