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진학&진로

변화하는 고등학교 시스템, 고교학점제

by 18기우선윤기자 posted Aug 24, 2020 Views 107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고교학점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고교학점제란 필수 수업을 제외한 다양한 수업을 학생들이 희망하는 수업을 들은 후 기준 학점을 넘으면 졸업을 할 수 있는 제도이다. 2020년에 마이스터고에 시행되며 2025년, 모든 고등학교에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것이다. 고교학점제의 취지는 상대평가로 인한 치열한 입시경쟁을 완화시키며 학생들의 진로에 맞추어 수업을 듣게 하려는 것이다.


8월 진짜진짜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우선윤기자]


 고교학점제와 고교학점제가 아닌 기존 방식의 학교 운영체제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먼저 고교학점제는 절대평가이며 기존 방식은 상대평가라는 것이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된다면 성취도의 기준치만 넘는다면 그 성취도가 인정된다. 단 성취기준을 넘지 못한다면 보충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기존 방식은 성적이 높은 학생부터 등급 순서로 메겨진다. 또한 고교학점제는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두 번째로는 졸업 방식이 달라진다. 고교학점제는 학점의 기준치가 넘어야 졸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 방식은 학교에 출석 일수만 채워도 졸업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교학점제가 도입된 이후부터는 고등학교 졸업이 본질적인 학력 인정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게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반면 기존 방식은 학생이 원하지 않는 수업도 교육과정에 있다면 꼭 들어야 했다. 학생들은 개개인마다 학습의 속도와 목표 등이 다르다. 따라서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희망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함으로써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게 한다. 중학교 3학년 조은영 학생은 ‘듣기 싫은 과목을 안 들어도 되고 잘하고 관심 있는 과목만 들으면 되니까 고교학점제가 괜찮다’라며 의견을 밝혔다. 또한 중학교 3학년 왕서현 학생은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면 그전의 방식들과는 많이 다른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될 테니 학생들이 잘 적응할 수 있을 지가 중요할 것 같다’라며 고교학점제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새로워진 교육시스템인 고교학점제가 도입됨으로써 학교, 학생, 교사들이 그 시스템에 적응해야 하고많은 것이 변하겠지만, 그만큼 학생들의 입시 부담이 덜어지면서 장점도 많이 있을 것이다. 기존의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새 시스템을 도입하는 만큼 두 개의 시스템이 혼돈되지 않도록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우선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최준서기자 2020.09.14 10:53
    고교학점제가 25년도부터 시행되는게 개인적으로는 안타깝네요. 조금 더 빨리 시행됬었으면 학습의 자유도가 올라갔을텐데요. 잘 운영되길 기대합니다.
  • ?
    16기전민영기자 2020.09.18 18:42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의지인 것 같네요. 대한민국 청소년과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1:48

    경기도 지역은 22년도부터 실행한다고 해서 기대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1. 맥세스컨설팅, 제36기 맥세스 실무형 프랜차이즈 전문가 과정 모집

    Date2022.07.25 Views10346
    Read More
  2. 유스내비, 서울시 청소년 900개 기관의 온·오프라인 체험 프로그램 100선 선보여

    Date2022.07.25 Views6211
    Read More
  3. ‘2022 지역사회 탄소중립 환경교육리더’ 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Date2022.07.21 Views10237
    Read More
  4.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7월 23일 ‘청소년이 바라는 지역정책 토론회’ 참가자 모집

    Date2022.07.15 Views6463
    Read More
  5.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직업계고 취업활성화 정책의 근본적 변화 필요”

    Date2022.07.01 Views18683
    Read More
  6. 서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청소년을 위한 1:1 맞춤형 진로·진학 상담 제공

    Date2022.07.01 Views8068
    Read More
  7. 한국보건교육학회, 보건교육센터 도입 관련 2022 학회 온라인으로 개최

    Date2022.06.28 Views10539
    Read More
  8. 웹툰스쿨, 웹툰 입문반부터 작가 데뷔반·취업반까지 온·오프라인 웹툰강좌 개시

    Date2022.06.23 Views6410
    Read More
  9. '2022년 제2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온라인 생방송 개최

    Date2022.06.21 Views10479
    Read More
  10. 성북문화재단,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진로 강연 ‘내 일로 on off’ 개최

    Date2022.06.16 Views5679
    Read More
  11. 2022년 청소년 기상위성 여름캠프 참가자 모집

    Date2022.06.16 Views11608
    Read More
  12. 강남구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2023년 학교밖청소년 대학입시설명회’ 개최

    Date2022.06.14 Views8112
    Read More
  13. SK행복나눔재단, 2022 하반기 ‘청년장애인 인재육성 및 채용연계 프로그램’ 훈련생 모집

    Date2022.06.09 Views6773
    Read More
  14. 건국대학교, 2023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 수능최저 폐지

    Date2022.06.09 Views9010
    Read More
  15. 서울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학교 밖 청소년 대상 '5월 전문인 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Date2022.06.07 Views6118
    Read More
  16. 2022년 건강장애 학생 대상 스쿨포유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Date2022.05.31 Views5690
    Read More
  17. 창립 50주년 기념 제181차 KEDI 교육정책포럼 '현장에서 정책으로'

    Date2022.05.23 Views9957
    Read More
  18. 이젠 익숙한 드론, 하지만 우리가 몰랐던 이색 직업들!

    Date2022.02.25 Views676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