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by 9기류주희기자 posted Jan 14, 2019 Views 254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827e14a105f955699df02f28f801b97c.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류주희기자]


인천 청소년 추락 사건,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등, 청소년 범죄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일어난 인천 사건으로 소년법이 개정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여기서 소년법이란 만 14세 이상부터 만 19세 미만의 자를 소년으로 규정하고 반 사회성이 있는 소년에 대한 보호 처분 등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을 말한다. 이에 관한 두 가지 설문조사를 경기도 광명고등학교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6c61d0457a6339e70bbcefd46f43a65f.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류주희기자]


첫 번째는 '소년법을 알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65%'알고 있다'라고 답했고 35%'른다'라고 답했다.


11823bad4ad780b49afac570385a50db.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류주희기자]


그리고 두 번째 질문은 '알고 있다'라고 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소년법이 어떻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개정해야 한다' 77%, '폐지해야 한다' 54%, '유지해야 한다' 1%로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럼 왜 개정을 해야 할까?를 주제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광명고등학교 2학년 주oo 학생은 "미성년자도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서 하는 일이고 단지 미성년자라는 이유만으로 형벌을 낮춘다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보호한다고 해도 지금의 형벌은 너무 적다."라고 답했다. 또한 2학년 김oo 학생은 "미성년자들을 너무 많이 보호하게 된다면 어른이 돼서 똑같은 범죄를 저질러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아직 성장할 나이이고 충동적이고 미성숙한 건 사실이기 때문에 폐지보단 개정이 낫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그렇다면 폐지 의견은 어떨까? 광명고등학교 2학년 허oo 학생은 "오히려 미성년자들은 형벌을 덜 받는 걸 알고 그걸 이용해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부산 여중생 사건 때 가해자들이 한 내용에 자신들이 형벌을 덜 받는다는 걸 알고 있었다는 듯 '감옥 몇 년만 갔다 오지 뭐'라는 문자 내용을 보고 폐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지금의 청소년 범죄는 성인 범죄만큼 심각하기 때문에 폐지를 해 성인과 같은 형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답했다. 이처럼 지금의 미성년자들도 소년법을 바꿔야 하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는 어떤 결정을 내릴지 여론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류주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7006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864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50736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2 file 2019.01.14 류주희 25419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31362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26087
미·중 무역협상은 무역전쟁의 피날레를 결정짓는 결정타가 될 수 있을까 2 file 2019.01.11 한신원 27369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27604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20322
백악관에서 출입금지시킨 CNN기자 백악관 귀환 file 2019.01.07 강신재 22611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23188
음주운전과 윤창호법 1 file 2019.01.07 조아현 24743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24776
플레디스 유튜브 계정 통합. 팬들의 의견은? file 2019.01.03 김민서 24788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25155
버려져야 하는, 난민에 대한 고정관념 1 2019.01.02 권오현 31866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26626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31331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23539
기억해야 할 소녀들 file 2018.12.26 강이슬 23715
베트남은 지금 '박항서 감독'에 빠졌다 2018.12.26 김민우 22236
보이지 않는 임산부 1 file 2018.12.26 황규현 22568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26591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21077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23708
국민의 청원이 가진 양면성 file 2018.12.24 박예림 23102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25310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33823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23412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23330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20694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25892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23681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23861
선진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 대한민국을 우주 강국으로 4 file 2018.12.10 백광렬 21589
여자아이들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지켜주세요 2 file 2018.12.06 강민정 25834
또 다른 재난, 미세먼지 file 2018.11.30 서민석 26501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26993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21233
페미니즘. 이제는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2 file 2018.11.28 백종욱 25451
문 대통령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만나다 file 2018.11.28 이진우 19522
세종시이전과 '세종시 빨대효과' 1 file 2018.11.27 강동열 22416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22640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29687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23987
이주노동자에 대한 청소년 인식 개선 시급 file 2018.11.26 여인열 23809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23552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39974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22897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37428
방탄소년단의 일본 무대 취소사건, 그 이유는? file 2018.11.22 조윤빈 21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