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by 7기황지은기자 posted May 24, 2018 Views 226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드루킹.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황지은기자]


  2018년 4월 13일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 수사대는 민주당 권리당원 김 모(48) 씨, 양 모(35) 씨, 우 모(32) 씨 세 명을 체포했다. 보수 측에서 댓글 조작을 하는 것 같다는 민주당 측의 고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 중 한 명은 '드루킹'이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드루킹의 자료창고'와 '경제적 공진화 모임(이하 경공모) 카페'를 운영하는 등 정치 경제 분야의 심도 있는 해석을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김 모(48) 씨였다. '드루킹 사건(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이라 불리는 것도 이곳에서 비롯된 셈이다.

 

이번 사건은 그가 대선 당시 경공모 회원들이 모인 단체 채팅방에 문 후보 관련 뉴스 기사 URL을 올리며 친민주당 성향의 댓글을 작성하도록 한 것에서 시작된다. 그 후 그는 김경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을 찾아가 '본인이 많이 도와주고 있다'며 접근하고, 문재인 대통령 당선 후에는 김경수 의원에게 지인을 오사카 총영사 자리에 앉힐 것을 요구했으나 청와대 측의 '정무 경험이나 해외 경험이 없다.'는 부적격 처리에 앙심을 품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김 모 씨는 자신의 인사 추천을 기각한 것에 대한 복수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구입하여 평창 올림픽 비판 댓글을 달기 시작했다. 그는 매크로를 이용하여 자신이 운영하는 경공모 카페 회원들의 614개 아이디를 확보하고, 비방 댓글을 달며 추천 수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크로란 한 번의 입력으로 특정 작업을 반복할 수 있도록 업무의 효율과 편리성을 위해 제작된 프로그램이다. 원래 암표 시장이나 온라인게임의 아이템 확보에서만 암암리에 사용되던 것이 이번 사건을 통해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큰 실망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방안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막으면 되지 않겠냐는 물음이 종종 보인다. 안타깝지만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방안은 없다고 한다. 포털사이트 측에서 현재 존재하는 매크로에 대한 보완책을 만들면 프로그래머들이 또 다른 매크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이에 포털사이트 관계자는 '가까운 미래에는 청와대가 관리하는 국민 청원 사이트도 매크로 프로그램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고 말했다. 국민 청원은 간단한 SNS 가입 절차만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연유이다.


  점점 더 많은 것들을 편리한 온라인으로 처리하려는 현 사회 움직임에 따르면 앞으로 이런 일이 또 벌어지지 않으리란 법은 없다.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필요하지만 국민 개개인의 판단력과 비판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밀려오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국민이 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일은 다른 사람의 의견과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신뢰성, 타당성 기준에 따라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7기 황지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238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9921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3478
코로나-19, 노인혐오로? file 2020.03.31 김서원 27996
코로나-19 사태 발발 4달, 지금은? 2020.04.08 홍승우 20306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21301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18878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19404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21180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18013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25744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28317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22443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22111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25369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19058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22422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30460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25704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20051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22300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32249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26299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24202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32582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28643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21811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29156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29341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17305
친환경 건축 전시관,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가보니 file 2024.12.01 김태영 14925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20878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21511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26408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21357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21958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44619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24941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36109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28438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32916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32268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23859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25417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36554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23963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37118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25149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23527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25791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229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