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챌린저들의 챌린지

by 3기김은아기자 posted Apr 18, 2016 Views 2713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220-100 강원 원주시 봉화로 1 (강원 원주시 단계동 1123) (단계동, AK플라자)

그들의 도전은 계속 됩니다.jpg

[이미지 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은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우리의 일상속에서 챌린저라는 단어는 꽤 생소하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챌린저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정확한 뜻을 알아 맞추지 못한다. 얼핏보면 Challenge (도전하다)에서 파생된 말로 도전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순수하게 단어의 뜻을 해석한다면 틀린 풀이는 아니다. 하지만, 챌린저라는 단어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다.

챌린저란, 장애인을 지칭하는 새로운 단어로, 자신에게 닥친 '장애'라는 시련에 도전하는 사람들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런 챌린저들이 도전을 하기도 전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할 요건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10일 전국 3월 모의고사가 끝난 5시경쯤, 원주 에이케이 백화점(AK PLAZA)앞에는 큰 트럭과 함께 노란색 조끼를 입은 사람들이 시위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차차차 현장 투쟁단(우리는 차별을 걷어차는 부릉부릉 자동차)로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주장하고 있었다. 현재 제정되어있는 장애인복지법에는 문제가 많다. 일단 이 법의 조건에 충족하기 위해서는 가족이 가난해야하고, 장애등급도 높아야한다. 만약 장애3급이라 생활에 지장이있어도 장애1.2급이 아니라는 이유로 마땅한 연금과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가 없다고 한다.




이러한 엄격한 조건에 충족하지 못해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장애 3급판정을 받았던 송씨는 장애 복지시설에서 나와 자립생활을 염원했지만 장애등급이 낮다는 이유로 일상생활보조를 배정받을 수 없었다.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었던 송씨는 홀로 있던 시간에 발생한 화재를 피하지 못하고 침대에서 누운 채 죽음을 맞아야 했다고 한다.

또한 2014년 송파에 사는 세 모녀는 아파서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세 모녀가 신청할 수 있었던 복지제도는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유서와 함께 세상을 쓸쓸히 떠나고 말았다.




법이란 국민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올바르게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엄격한 조건들로 인해서 도움을 마땅히 받아야 할 사람들이 도움을 받지 못해 죽어가고 있다.? 이들의 요구는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장애1급에게만 주던 혜택들을 장애 3.4등급까지 준다면 몇배에 달하는 예산이 들 것이고, 보조를 해줄 사람들도 갑자기 구하는데에는 문제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큰 변화가 아니더라도 많은 챌린저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생활이 보장 될 수 있도록 개선이 되야하고 시민들의 인식 또한 넓어져야한다.




차차차 현장 투쟁단은 서울-원주-경북-전북-대전-인천-서울을 돌면서 장애인 인권에 대해 시위를 하고 있는 중이고, 페이스북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페이지를 운영중이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김은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36
    첼린저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이번기회에 알게 되었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30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999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4293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32028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32019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32018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32012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32004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31998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31983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31975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31970
시험 기간 청소년의 카페인 과다 섭취, "이대로 괜찮을까?" 16 file 2019.05.03 윤유정 31964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31959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31958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31940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31937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3191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31893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31883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31852
미세먼지의 주범, 질소산화물이 도대체 뭐길래 1 file 2019.02.18 임현애 31852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31836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3181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31803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31749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31728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31710
"나는 오늘도 운 좋게 살아남았다"…강남역서 여성 혐오 살인 공론화 시위 11 file 2017.08.07 김서희 31655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31650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31640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31619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31586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31578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31571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31565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file 2019.07.11 송수진 31561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31556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31546
[현장취재] 1.14 부산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고 박종철 열사 30주기 추모. 박원순 부산서 대권행보 4 file 2017.01.22 박진성 31537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31532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31500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31482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31479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31442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31400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31376
[토론광장] 문화의 상대성인가, 인간의 존엄성인가 1 file 2017.11.01 위승희 31354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31322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31308
안산 단원고등학교 기억교실, 이대로 괜찮은가? 11 file 2016.02.25 서예은 312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