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by 4기안유진기자 posted Jan 22, 2017 Views 277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해 하반기 <삼성 전자>가 갤럭시 노트7, 갤럭시 s7의 잇따른 발화사고에 이어 애플 아이폰7 및 6S 배터리 폭발 사태로 인한 이집트 여객기 추락 사고로 전 세계가 사상 최악의 위기에 처한 가운데 LG의 HG2 제품의 배터리를 지닌 전자담배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상.jpg  [이미지제공 =  facebook 'Andrew Hall']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 남성이 전자담배를 피우다 무려 7개의 치아를 잃은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16일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전자담배를 피우다 생명을 잃을 뻔한 남성의 사연을 전했다.
지난 14일 아침 미국 아이다호 주 포커 텔로에 사는 자동차 판매원 앤드류 홀(Andrew Hall)은 출근 준비를 하면서 화장실에서 담배를 물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펑’하는 소리와 함께 입에 문 전자담배가 폭발했고, 급하게 병원을 찾은 그는 치료를 받으며 목과 입술에 박힌 플라스틱 조각을 제거했다.
이 사고로 앤드류는 치아 7개를 잃었고 뺨과 목에 2도 화상을 입었다. 사고 현장인 화장실의 천장은 검은 연기로 그을려 있었고 세면대는 처참하게 부서져 있었다.


사고현장.jpg

  [이미지제공 =  facebook 'Andrew Hall']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남성이 사용했던 전자담배의 기종은 알려진 바가 없으나 배터리는 <LG>HG2 제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앤드류가 자신의 facebook을 통해 공개한 사진에는 27만 개의 댓글이 달리면서 폭발적인 관심과 응원의 메시지를 받았고, 그중 몇몇은 '조작'이 아닌지 의심하는 네티즌들도 더러 있었다.


이 사건으로 <삼성>, <애플> 사의 의도치 않은 싸움에 <LG>까지 끼게 되며 네티즌들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삼성 갤럭시노트7의 보조배터리 폭발사고의 근본 문제는 결국 배터리 결함 문제로 발표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삼성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노트 7 단종 이후 <삼성 전자> 자체 조사와 별도로 미국 안전 인증 회사인 UL을 포함해 해외 연구기관 세 곳에 조사를 의뢰했다면서 오는 23일 오전, 조사 결과를 종합해 발표한다고 밝혀졌다.

It 전문매체인 아이테크 포스트는 애플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이 폭발을 일으킨 사례를 보도하며 분명한 점은 양사가 리튬 이온 건전지를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아이폰의 정확한 폭발 원인은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아이테크 포스트는정보기술 전문매체 BGR 보도를 인용해 지난해 9월 28일 한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에 넣어두었던 아이폰 6s가 폭발을 일으켜 2도 화상을 입었다고 전했다. 또한 30일에도 뉴저지 주 로완 대학에서 수업 도중 한 대학생의 바지 뒷주머니에 있던 아이폰이 폭발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당시 사용자는 정품 충전기로 충전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지난해 세계에서 손꼽히는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최강 기업인 <삼성>과 <애플>이 폭발사고로 홍역을 치러 많은 사람들의 실망이 커짐으로 인해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불이 잘 붙지 않는 물질인 ‘난연제’를 넣은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 막을 개발하는 등 스마트 기기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을 해결해주는 기술을 곳곳에서 개발하는 중이다.
하지만 이번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사고로 인해 네티즌들은 'LG가 삼성을 키웠으니까'. '예술은 폭발이다', 폭탄 돌리기가 아니냐 등의 비난, 분노와 함께 사람들의 공포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안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민준기자 2017.01.24 11:53
    전자 기기를 믿고 사용하는 시대가 왔으면 합니다. (언제 터지질 모르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면 좋지 않으니까요.)
    LG는 피해자 앤드류 홀에게 이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알리고, 제대로된 피해보상을 해줬으면 합니다.
    삼성, 애플 그리고 LG까지 배터리가 터지니, 기사에 나왔듯이 배터리 문제에 대한 기술이 빨리 개발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기사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박미소기자 2017.01.24 14:59
    삼성의 노트7과 s7의 발화사고, 애플의 아이폰 7과 6s 의 폭발사태가 일어나고 전자기기에 대한 걱정이 커졌는데, LG까지 폭발사고가 일어나다니 충격적이네요.. 기사에서 나왔듯이 폭발 가능성을 해결해주는 기술이 어서 개발되어서 불안감 없이 전자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정말 잘 보고 가요. : )
  • ?
    4기김혜진기자 2017.02.03 01:52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만큼 기계와 관련된 사고들이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삼성과 애플, LG 폭발사건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들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는 것 같아 각 회사들이 왜 문제가 일어났는지에 관해서 사용자들에게 확실히 알릴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기술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그 만큼 안전을 조금 더 생각해야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689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60416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8666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32132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32124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32106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32104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32099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32097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32085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32074
시험 기간 청소년의 카페인 과다 섭취, "이대로 괜찮을까?" 16 file 2019.05.03 윤유정 32042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32040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32032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32022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32011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32003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31993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31988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31982
미세먼지의 주범, 질소산화물이 도대체 뭐길래 1 file 2019.02.18 임현애 31960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31954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31924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31901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31876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31817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31781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31775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31742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31732
"나는 오늘도 운 좋게 살아남았다"…강남역서 여성 혐오 살인 공론화 시위 11 file 2017.08.07 김서희 31730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31707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file 2019.07.11 송수진 31695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31677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31676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31655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31650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31635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31625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3161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31598
[현장취재] 1.14 부산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고 박종철 열사 30주기 추모. 박원순 부산서 대권행보 4 file 2017.01.22 박진성 31585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31581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31569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31553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31531
[토론광장] 문화의 상대성인가, 인간의 존엄성인가 1 file 2017.11.01 위승희 31479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31468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31440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31429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31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