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by 8기김지민기자 posted Aug 30, 2018 Views 95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0825_2229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지민 기자]


BMW가 국내 수입차 사상 최대 규모의 리콜을 단행했다. 2015년부터 이어진 BMW 화재에 대한 차량 결함 의혹에 대한 것이다. BMW는 차량 화재의 원인을 EGR 모듈의 이상에 있다고 보고, 여기에 관련된 42개 디젤 차종 106317대에 대해 20일부터 리콜을 시작했다. 해당 차량들은 전국 BMW 공식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EGR 모듈 부품을 교체받고 EGR 모듈 연결 파이프에 대한 세척을 받을 수 있다.

 

리콜 계획을 발표한 당시는 리콜이 시작될 때까지 약 한 달을 남겨둔 상황이었으므로 사측은 727일부터 예방적 차원에서 긴급 안전진단 서비스를 시행하였다. 서비스센터로의 자발적 방문, 혹은 전문 기술자의 방문 진단을 통해 차량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에 더해 국토교통부는 BMW 차량의 리콜이 시작되기 전 이러한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운행정지를 명령했다. 14일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정부의 기본 임무는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는 국민의 지적을 엄중히 받아들인다, 사상 처음으로 리콜 예정 차량을 대상으로 운행 정지 명령을 전국 지방자치단체장에 요청했다. 당시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은 25%가량 되었으므로 충분히 국민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국토부의 명령에 의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 명령서를 보내어, 안전진단이 아닌 것을 목적으로 차량을 운행하였을 시 형사처벌할 계획이다.

 

BMW 차량 화재로 인해 차량 결함에 의혹이 제기된 것은 2015년부터다. 올해 들어 BMW 차량의 화재가 하루에 한 번꼴로 연이어 계속되자 공론화되어 BMW 사측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3년간 제기되던 의혹을 무시한 대가는 결국 사상 최대”, “한국 최초와 같은 수식어를 단 조치를 통해 BMW 자신에 오명을 남겼다.

 

BMW 차량 화재는 해마다 어느 정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한 BMW 차량은 201344, 201446대였으며, 차량 결함 의혹이 시작된 2015년에는 77, 201665, 201794대이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에는 최소 80건의 화재 사고가 일어났다.

 

심지어는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에서도 화재가 일어났다. 11대가 발화했으며, 이들 중에는 BMW가 발화 원인으로 지목한 부품이 없는 가솔린 엔진 모델도 포함되어 있어, 발화 원인에 대한 의혹은 아직 가시지 않았다.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들은 운행 정지 대상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 국민의 안전 위협 원인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BMW 화재사고 피해자들은 계속되는 화재에도 원인을 피해자에 전가하며,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BMW 관계자들을 포함하여 해당 회사의 독일 본사 회장 등 11명을 자동차 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였다. 고소장을 받은 경찰은 해당 사건을 지능수사대에 넘겨 집중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MW가 발화 원인으로 유추한 EGR(Exhaust-Gas Recirculation) 모듈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이다.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은 질소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질소산화물은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어 지구 환경, 곧 생태계를 오염할 수 있다. 세계는 이를 규제하여 대기 오염원을 줄여나가기로 하였다. 곧 규제는 자동차에도 적용되었으며, 디젤 자동차 생산업계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필요가 있었다. 여러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EGR 모듈이다. 기본 작동 원리는 질소산화물을 다량 포함한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으로 보내 연소하여 질소산화물의 비율을 줄여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순환되는 배기가스는 엔진에서 배출될 때 그 온도가 매우 높다. 고온의 가스는 EGR 모듈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EGR 쿨러가 이 가스를 냉각한다. 사측은 올해 계속되는 화재의 원인은 EGR 쿨러의 냉각수가 누수되어 연결 파이프에 침전물이 쌓이며, 정상적으로 냉각되지 않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이를 통과하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에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해 고온 가스가 누출되면 화재가 발생한다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EGR 모듈 자체의 문제가 있다는 것은 유독 화재가 한국에 집중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힘들다. BMW 에벤비클러 부사장은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BMW 디젤 차량은 동일한 EGR 모듈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말한 바 있다. BMW 차량의 결함률은 한국이 오히려 전 세계 평균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의 일련의 BMW 차량 화재는 비슷한 시기 전 세계에서도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같은 모듈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면 BMW 디젤 차량을 운행하는 모든 나라들에 비상이 걸렸을 것이다.

 

EGR 모듈 외에도 한국의 기록적인 폭염이 문제가 되었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BMW와 국토부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기록적인 폭염은 한국뿐이 아니었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열돔현상으로 인해 북유럽과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등 북반구의 많은 지역이 폭염에 시달리며 여러 국가가 사상 최고 기온을 경신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는 폭염으로 인해 희생자가 속출하고 있다. 이례적인 북반구의 고온 현상에도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BMW 화재가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에 화재가 집중되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소프트웨어나 과격한 디젤 규제 등을 지목한다. 2015년 독일 자동차 기업 폭스바겐의 디젤 엔진 배출가스 조작 정황이 확인되어 당시 우리나라의 디젤 차량에 대한 규제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유럽이 실시한 유로 61년 늦게 도입했다. 바뀐 규제에 의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필요가 있으므로 한국이 수입하는 자동차의 EGR 모듈 개도율을 높여 무리를 가게 했다는 말이다. 혹은 기존에 한국이 수입하는 자동차의 부품을 바꾸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임의로 조정하여 EGR 모듈에 과도하게 부하했다는 말도 있다.

 

EGR 모듈을 한국의 부품업체에서 공급받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는 말도 있다. 되도록 수입국의 부품을 사용하겠다는 BMW의 입장에 따라 한국만이 그들만의 부품을 장착한 차량을 수입하므로 해당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한국만이 피해를 입는다는 이야기이다.

 

결국 BMW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EGR 모듈에 문제가 생긴 것이 현재로서는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EGR 모듈 홀로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라, 해당 부품의 문제를 유도한 외부 요인이 존재할 것처럼 보인다.

 

현재의 BMW 차량 화재 문제를 속히 해결하고 앞으로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막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현재 명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정부 당국의 움직임이 보인다. BMW 사측은 국토교통부의 조사가 있다면 성실히 응하고 리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책반을 마련해 특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교통수단을 이용할 권리를 위협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국토부는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엄격한 조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BMW는 고객이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도록 긴급 안전점검을 면밀히 행하고, 필요한 경우 렌터카 지원에 힘써야 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후 서비스가 중요하다. BMW의 발 빠르게 대응하고자 하는 태도가 중요할 것이다.

 

한편 BMW코리아 대표가 참석한, 더불어민주당의 BMW 화재 관련 긴급간담회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징벌적 손해 배상제 도입 등의 대응 대책을 꾸리기로 한 바 있다. 징벌적 손해 배상제는 재작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 당시 공론화된 바 있다. 악의적이거나 반사회적인 불법 행위에 대하여 피해액보다 훨씬 더 많은 보상을 하는 것이 제도의 핵심이다. 이 제도가 시행된다면 민사상 처벌을 가중하여 이중 처벌이 될 수 있다는 것, 판사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 기업에 심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 등의 위험성이 따른다. 이번 일을 계기로 이 제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법적 허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협의를 통해 도입된다면 앞으로의 화재 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자동차 회사들에 있어서 각성의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젤 자동차에 대한 과격한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하더라도 과도한 규제로 자동차 회사에 부담을 주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이번 화재 사고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규제의 규모를 조정하고, 친환경 자동차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같이 추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현재 전기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대한 논의가 여러 회사에서 진행되는 만큼, 친환경 자동차 충전소와 같은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업들에 핵심 기술 개발 지원, 친환경 자동차 구매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면 과격한 규제를 가하는 것 이상의 환경보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한국이 탈핵을 진행하는 중이므로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여 전기에너지 자급률을 높이고 자원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어 전기자동차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화재사고에 늑장 대응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국토부 관계자 중 BMW와 유착 관계에 있는 사람이 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에 대해 신속하고 완벽한 진상규명을 하여 회의론을 종식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자기편 봐주기로 인해 국토부는 국산 자동차 회사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관대하게 대할 수 있다. 팔이 안으로 너무 굽으면 깁스를 하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지난 제천 화재 참사 때 소방안전 관리 관계자가 건물주 아들이었다는 것이 그 실례(實例) 중 하나이다. 관계를 중요시하는 관행을 근절하고 공정한 공무수행이 필요하다.

 

결국 BMW 차량 화재 문제의 해결도 BMW만이 노력하는 것이 아닌, 공공기관도 나설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인재(人災)를 막기 위해서는 우리도 안전불감증을 극복하는 등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 하루빨리 범국민적 위기와 불안감이 종식되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8기 김지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8기채유진기자 2018.09.26 15:19
    모든 사건사고에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진실규명과 적절한 해결방안들을 잘 마련하는 사회로 변화해갔으면 좋겠네요!기사 잘 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6679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3346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548342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8539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7455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9399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9131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결심 file 2020.12.28 명수지 6251
‘코로나19’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된 배경은? 1 file 2020.12.24 정예람 15868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6993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6539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6659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7519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와 1조원대 공급계약 체결 후 테슬라와도 `NCMA 양극재 배터리' 계약체결 2020.12.21 송성준 10264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file 2020.12.15 장예원 10688
영국 노딜 브렉시트와 유럽 회의주의의 파장 file 2020.12.15 박성재 10861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7733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7549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2864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8178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9028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7108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7796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1213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6730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6863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8198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6232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17806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7065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6678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1299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9986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6750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6815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7829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7568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6844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8060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6457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7115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6742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7602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0772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7258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6521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6911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7746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8017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3832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83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