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by 11기김사랑기자 posted Jan 29, 2019 Views 201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 작년 한 해 대한민국은 2월에 진행되었던 세계인의 축제 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힘찬 새해를 맞이하였다. 정치에서는 2007년 이후 접점이 없었던 남북의 정상들이 만나 세계적으로 이슈가 된 남북정상회담이 진행되었고, 사회적으로는 서지현 검사의 검찰청 내부 성 추문으로부터 미투운동이 확산되며 대한민국 사회 전반을 뒤흔들어 놓았다. 기상에서는 최악의 폭염으로 인해 유난히도 힘겨웠던 여름을 보냈다.


작년 여름, 대한민국을 포함한 지구촌 전체는 사상 최악의 폭염이 찾아오며 이례적으로 무더운 여름을 맞이하게 되었다. 201881, 대한민국은 역사상 최악의 폭염을 기록하였다. 이날 오후 강원도 홍천은 41, 서울의 온도는 39.6도를 기록하였고 이날 기온은 1907년 서울에서 근대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111년 만에 가장 높은 역대 최고 기온을 달성하였다.


뜨거운 폭염으로 인해 곳곳에서는 피해가 속출했다. 작년 여름에는 최악의 폭염과 더불어 가뭄까지 찾아오면서 많은 농작물들이 타들어 갔다. 또한 에어컨과 선풍기 등 전기제품 사용으로 인한 전력 사용량이 대폭 늘어남에 따라 곳곳에 정전 사고도 속출했다. 수산업계도 수온이 27도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피해를 피할 수 없었다. 살을 뜨겁게 태우는 힘겨운 더위는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열대야로 계속 이어져가며 시민들은 밤낮으로 무더운 더위의 고통을 겪었다. 해외에서는 캐나다 퀘벡주에서 147년 만에 폭염이 찾아와 90명이 넘게 사망하였고, 스웨덴에서도 역대 최악의 가뭄과 폭염으로 60여 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다. 온 지구가 뜨거운 폭염과 그로 인한 피해를 피할 수 없었다.


KakaoTalk_20190125_21450427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김사랑기자]


그렇다면 왜 매번 여름은 버티기 힘들 정도로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는 것일까? 폭염의 대표적인 이유로는 지구의 평균 기온이 증가하는 현상인 지구온난화가 대표적이다. 지구 온난화는 산업 혁명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와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화석연료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온실가스란 지구 대기를 오염시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가스이다. 온실가스 증가와 더불어 공기를 정화시켜주고 맑게 해주는 숲을 우리는 무분별하게 사용하며 자연을 훼손하였다. 그에 따라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는 더욱 증가하였고 공기는 더욱 오염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는 갈수록 더 뜨거워지고 있다. 지구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마다 빙하의 면적은 점점 더 줄어들어 간다. 빙하가 녹아가면서 증가한 해수면의 높이는 일부 섬 지역을 물에 잠기게 만들었다. 또한 폭염, 폭설, 가뭄 등 여러 자연재해와 기상재해가 지구촌 전체를 위협하며 나날이 심해져 가고 있다.


2018년 여름, 지구를 강타한 무서운 폭염은 그동안 한반도의 폭염 최고 기록을 모조리 갈아치우는 역대급 기록을 남겼다. 작년 폭염 현상을 다른 해의 폭염보다 더 집중해야 하는 이유는 일부 나라만 폭염을 겪은 것이 아닌 지구 전체가 폭염을 겪은 사실을 집중해야 한다. 북극권 나라인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은 30도 이상의 온도를 달성하며 폭염 최고기록을 기록했다. 기상학자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못함에 따라 미래에 지구는 추운 겨울은 줄어들고 더운 여름은 5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작년 여름과 같은 무서운 더위가 올해에는 더 심하게 이어질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뜨거운 폭염이 계속됨에 따라 앞으로 일어날 피해도 상당히 우려되는 부분이다. 지구의 시간은 빠르게 흘러가고 있으며 우리가 지구를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도 사라지고 있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발생한 이 모든 상황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며 국제사회는 하루바삐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9기 김사랑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백광렬기자 2019.03.01 16:45
    마치 기사가 지난 1년을 돌아보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주는 느낌이네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작은 실천이라도 해야겠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24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9925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3558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18394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88685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24201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23004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20568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28852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21324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63723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24579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22354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17274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17736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18293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22951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19219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22233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23062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20134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18020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19191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22960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21055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24189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20308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18009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24003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18478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31947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127420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27882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23683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25155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20886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24618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124057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23135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28560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19711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122820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17702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119609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31209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20397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26968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18283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18048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22067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180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