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김복동 할머니 별세, 위안부 문제의 현주소는?

by 12기박은서기자 posted Feb 26, 2019 Views 190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011fd8e0f16caae5a46c8f5bb85bf1c.PNG

 [이미지 제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박은서기자]


지난 2019년 1월 29일, 위안부 피해자이자 평화운동가인 김복동 할머니가 향년 9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김복동 할머니는 1926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났고 어린 나이인 15살에 일본군에게 속아 위안부로 끌려갔다. 많은 나라들을 돌아다니며 김 할머니는 위안부(일본군 성 노예)로 고통을 받았다.

김 할머니는 시간이 지나 진실을 세상 앞에 고하게 된다. 고 김복동 할머니는 1992년 제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에서 처음으로 위안부의 피해 사실을 밝혔고 그 이후 다른 할머니들의 증언이 이어지게 됐다. 대단한 용기를 냈고, 피해 사실 공언 후에는 보상을 받고 싶어 했다. 할머니의 '소망'이었다. 김 할머니가 생전에, 별세하기 전까지 원하던 보상은 그저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 "였다. 매일 같이 수요 집회에 참석해서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에게서 돌아온 것은 진심이 아니었다. 결국 할머니는 일본의 사과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제 김복동 할머니가 별세하고 남은 정부 등록 위안부 피해자는 총 23명. 김 할머니만큼 다른 할머니들도 고통이 큰 만큼 사과를 받고 싶다는 소망이 크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자들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그래도 일본의 대응은 계속해서 안일할 뿐이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나아지지 않는 상황과 일본의 태도에 힘이 빠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럴수록 우리는 우리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때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을 잊어서는 안 된다. 기억해야 한다. 관심을 가지고 위안부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 일본이 계속해서 이해되지 않는 주장을 펼치더라도 진실은 항상 승리하는 법, 우리 모두가 피해자들의 옆에서 함께 해야 할 것이다. 이 작은 '소망'을 고통을 받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서라도 이뤄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훨훨 나비가 되어서 온 천지 세계로 다 돌아다니고 싶어" -김복동 할머니의 말씀 중에서-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0기 박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047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9716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1414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1811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23855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22668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19180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2560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20907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30508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18697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19260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23857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20765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17343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19129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19544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25894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36418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27585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20767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28177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22305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21119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17516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27108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16691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15613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23820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23256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18778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27133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18976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17731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20182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25938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21816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18843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30794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17498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25216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23987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17184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16080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32745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28499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22660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20541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20187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34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