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인터뷰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비트코인과 토큰화 혁명' 특강 개최

by 5기정희섭기자 posted Sep 26, 2017 Views 86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920_19341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정희섭기자]


지난 20,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는 포스텍 C5 컨퍼런스홀에서 크립토 비트코인 연구소 오태민 소장을 초청해 유레카 드림 콘서트 특강을 열었다.


오태민 소장은 비트코인과 토큰화 혁명이라는 주제에 대한 열띤 강연을 통해 재치 있는 입담을 선보였다. 그는 비트코인의 챕터 1은 끝이 났고, 챕터 2가 시작되었다.”, “비트코인이 살지, 죽을지 논하기는 그만하고, 우리나라 직업이 살지 죽을지, 기업이 살지 죽을지를 논해야 할 시기다.”라고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은 강하고, 언젠가 주류가 되어 소액 결제의 완벽한 수단이 될 것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어떻게 서버나 자금이 없는 비트코인이 화폐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설명하며 강연을 이어나갔다.


오태민 소장은 강연 중 청중들에게 질문을 하고, 강연이 끝나고 청중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지역 주민 및 고등학생, 포스텍 대학생과 소통하며 많은 호응 속에서 특강을 마쳤다.


이날 특강의 내용에 대하여 오태민 소장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Q. 특강 내용에 관한 질문 전에, 소장님에 관해서, 크립토 비트코인 연구소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 연구소에서는 비트코인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에 관한 이슈를 계속 추적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글을 언론에 매주 연재하고 있고, 각지에 강연도 다니고 있습니다.


Q. 오늘 강연 주제가 비트코인과 토큰화 혁명인데, 비트코인은 워낙 이슈가 되다보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겠지만 토큰화 혁명은 무엇인가요?

A. 토큰화 현상도 일종의 화폐현상입니다. 비트코인에 블록체인이란 기술이 사용되는데, 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서 토큰을 발행하고, 이 토큰을 암호화폐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토큰화 혁명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것에서 우리나라가 얼마나 이런 분야에서 뒤처져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 많은 경제학자들이 비트코인은 거품이라고 하는 등 비트코인에 대해서 비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소장님의 생각을 알고 싶습니다.

A. 저의 입장은 오직 이것입니다. ‘비트코인은 강하다.’ 제가 비트코인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그건 상관이 없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비트코인은 범죄의 수단, 거품, 튤립이라고 하지만, 저는 오직 비트코인은 강하다고만 생각합니다. 그에 대한 책도 저술했고요. 그리고 계속 살아남아 언젠가 주류를 이룰 것입니다.


Q. 비트코인도 4차 산업혁명의 한 흐름으로 경제 분야에서 화폐와 기술이 결합한 사례라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해 주실 말씀이 있으신가요?

A. 우선 4차 산업혁명의 사례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공학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이 진정한 혁명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혁명이라는 것은 두 가지 특징이 있어야 하는데, 첫 번째가 과거에는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유년기에 마징가Z를 보면서 자란 세대로서, 그 당시에도 걸어 다니고 뛰는 로봇을 다 예측했습니다. 다만, 그 등장 시기가 많이 앞당겨졌을 뿐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특징은 기존의 것을 파괴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사실 이 두 가지 특징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블록체인 기술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은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고, 기존의 신용카드나 금융 유통 경제를 파괴할 것입니다.


Q. 마지막으로 지금의 고등학생에게 한마디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학문의 경계는 없습니다. 모든 학문은 통합적입니다. 비트코인도 공학적인 측면이 많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70%는 인문학입니다. 요즘 학생들이 인문학적인 소양이 많이 부족해 보이던데, 여러 분야를 통합적으로 공부하시고 독서 많이 하시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5기 정희섭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학생들의 꿈과 희망의 시작, 제12회 전라북도 과학축전

    Date2017.11.07 Views10208
    Read More
  2. 안동고등학교의 과학 자랑 '사이언스 클럽'을 만나보다!

    Date2017.11.06 Views11167
    Read More
  3. "알면 사랑한다." 생물학의 거장 최재천 교수

    Date2017.11.06 Views14982
    Read More
  4. 서울상도중학교 영어토론동아리, TEDEBATE

    Date2017.11.01 Views10742
    Read More
  5. 학생 정치! 그 내면을 알아보다!

    Date2017.10.30 Views11464
    Read More
  6. 추운 날씨 속 따뜻한 봉사활동 - RCY 연탄 봉사

    Date2017.10.27 Views11119
    Read More
  7. [인터뷰] 미래의 방송인을 꿈꾸며 TBC PD님을 만나다!

    Date2017.10.27 Views9586
    Read More
  8. 학생들이 스스로 이끌어가는 동아리! 온산고 자율 동아리 3D&Law and social 인터뷰

    Date2017.10.25 Views10003
    Read More
  9. 송파중 동아리 UNSA, 위안부 소녀상 건립 추진 중

    Date2017.10.25 Views10180
    Read More
  10. 외교통일위원회 이종후 수석전문위원과 한반도의 외교에 대한 인터뷰

    Date2017.10.25 Views9613
    Read More
  11. [인터뷰]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알아보자

    Date2017.10.25 Views14774
    Read More
  12. 평등한 세상을 위한 평등한 캠프! '2017 강원 퀴어 캠프'

    Date2017.10.24 Views9974
    Read More
  13. 인천하늘고 학습동아리, FACTO를 만나다.

    Date2017.10.24 Views13566
    Read More
  14. 작은 선생님과 빛나는 제자들

    Date2017.10.24 Views8336
    Read More
  15. 성서중학교 탁구부 학생들을 만나다!

    Date2017.10.23 Views10861
    Read More
  16. 꿈이 모여 만들어진 동아리, 고등학교에도 있습니다. 2-1) 대신고등학교 환경공학동아리 그린레인져

    Date2017.10.20 Views12011
    Read More
  17. 서울시 최초의 남자 보건교사 김찬현 선생님을 만나다.

    Date2017.10.20 Views29226
    Read More
  18. 인천공항고등학교의 교칙, 새롭게 개정되다

    Date2017.10.16 Views119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