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by 2기김현우기자 posted Feb 07, 2015 Views 509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81859_33761_3418.jpg

<▲급발진 사고로 추정되는 사고차량의 모습 출처=시민일보>


  지난달 4일 서울 용산구 삼각지에서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한모씨는 딸과 함께 자신의 승용차를 몰고 집에 향하는 길이였다. 한씨의 승용차에서는 타이어를 점검하라는 표시등이 켜졌지만 주행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한씨는 원효대교를 지나 삼각지 고가도로에 진입하였고, 오르막이 끝나는 지점에서 갑자기 RPM(엔진 분당 회전수)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차가 앞으로 돌진하였다.

브레이크를 아무리 밟아도 차가 멈춰서지는 않았다. 한씨는 겁에 질렸고, 보조석에 앉아 있던 딸이 핸들을 자기 쪽으로 꺾었다. 차는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인도로 돌진해 지하철 환풍구에 부딪힌 후에 멈춰 섰다. 큰 피해는 면했지만 딸은 어깨와 허리가 부러지고, 코뼈가 내려 앉았다. 운전자인 한씨는 갈비뼈에 금이가고 목과 어께에 타박상을 입었다.


급발진 의심 사고는 매년 1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이 집계한 급발진 신고 건수는 2012년 136건, 2013년 139건, 2014년 113건 등이었다.


그러나 급발진으로 최종 판명된 사고는 없다. 이유는 증거 불충분. 어느 한 교수는 “실제 급발진 발생 건수는 통계에 잡힌 신고 건수의 10배 이상 될 것”이라며 “급발진 사고에 대한 정부와 자동차 업계의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MG_2205.JPG

<▲사진=김현우 기자>


급발진이란 자동차가 운전자의 제어를 벗어나 의지와 관계없이 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말 그대로 운전자가 시동을 건 상태여서 가속 페달이나, 변속의 조작행위가 없었는데도 자동차가 마음대로 후진, 전진 등 움직이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급발진은 정지 상태나 저속상태, 정속 주행상태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다.


급발진의 원인은 아직 운전자의 운전미숙인지 자동차의 기계적 전기적 결함이 있는지 정확하게 검증된 사항은 없다. 하지만 많은 엔지니어들이 밝혀낸 근접적인 원인은 ECU 기본출력보다 더 많읜 힘을 필요로 할 때 ECU에서는 엔진 출력 보정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엔진 출력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이때 프로그램의 실행오류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도 계속 출력이 높아지면서 급발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시동을 껏다가 다시 작동하면 고장증단을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ECU(electronic control unit) : 여러 가지 센서에서 보내진 정보를 토대로 엔진의 최적 작동 조건을 계산하여 적절히 출력 액추에이터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급발진이 발생한 차량은 전자제어식 차량에 한정되어 있다. 즉, 대부분의 오토차량이 해당된다. 현재의 수동차량에서는 발생되지 않고 있다.

그동안 급발진 사고로 접수된 차량은 전부 자동변속기 차량이지만 차종은 소형차에서 대형승용차, 국산차 뿐만 아니라 고급 외제승용차까지 다양하다.


최근 급발진 의심 사고가 급증한 가운데 급발진을 막기 위해 대책 마련 필요하다.


이에 대림대 자동차과 김 교수님의 인터뷰 발언이 눈길에 끈다.


"먼저 정부는 국민을 위해 있는 조직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급발진 사고는 판도라의 상자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관련 담당자들이 이를 두려워해선 안 되고, 더 늦어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국민을 위해 모든 조사를 개방적으로 했으면 한다. 정부에서 우리 자동차급발진위원회에서 최근 개발한 장치를 이용해서 직접 실험해줬으면 좋을 것 같다. 일각에서는 이 장치 개발이 금전적인 이익을 취하기 위한 개발이었다는 오해의 여지도 있으나 오로지 공공의 목적을 위한 것임을 알아줬으면 한다." -글로버이코노믹뉴스 대림대 김 교수님 인터뷰 전문-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김현우 기자]

gksdn_123@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이아림기자 2015.02.07 22:27
    님이 훨씬 잘 쓰셨으면서...저를 두번 죽이시네요^^
  • ?
    2기백두대간 2015.02.08 01:53
    기사 잘 읽었습니다.
    새롭게 알아가는 사실이 많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급발진 사고의 진실규명이 하루 빨리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소비자가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하여
  • ?
    2기정범윤기자 2015.02.09 19:10
    기사 잘 읽었습니다.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라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로 판명된 것이 한 건도 없다니 놀랍습니다.
  • ?
    2기이나흔기자 2015.07.20 15:06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급발진 사고라는 말만 들어도 무서운데 빨리 진실규명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98432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308748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3454601
푸른 빛과 함께 열리는 새로운 시공간, '블루룸' 2021.10.28 조지환 24291
풍겨오는 꽃내음을 그리너리와 함께 file 2017.03.19 방가경 31232
풍성한 가을, 문호리 리버마켓에서 2017.10.31 장나은 32965
풍성한 거리예술축제 '2019 목포 세계마당 페스티벌' 4 file 2019.10.02 조햇살 38349
프랑스 작가 필립 파레노, 삼성 리움미술관 택했다 file 2024.07.22 김진영 27771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105573
프로듀스 101 시즌 2 출신 주학년, ‘더보이즈(THE BOYZ)’ 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도약 4 file 2017.08.16 박지연 34155
프로듀스 101 시즌2 연습생들의 정신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7.05.25 이아영 34960
프로듀스101 시즌2 최종 11인 워너원 데뷔에 한걸음씩 다가가는중 2 file 2017.07.24 이아영 32832
프로야구 FA 미계약자들, 이대로 미아 되나? file 2018.01.15 손종욱 35579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33895
프로야구 로봇심판의 도입? file 2020.06.17 김기용 39482
프로야구, 최악의 위기를 맞이하다 1 2016.11.14 김지현 31564
프로야구의 9번째 심장. NC 다이노스의 창단 첫 우승! file 2020.11.25 김민채 27608
프로야구의 응원 변화! 1 file 2017.05.07 김지헌 33661
프리러너 뉴먼의 갑작스러운 죽음 1 file 2017.02.25 최선 28972
프리미어리그 개막, 빅6의 시작은 어땠을까? file 2021.08.19 윤서원 25910
프리미어리그, 또 한번 푸른색으로 물들다 file 2019.05.17 배준희 35145
프리미엄 치약 그릿메이드..."추석 선물로 마음을 전해요" file 2023.09.16 정윤서 22690
프리온, 단백질성 감염인자 file 2017.03.25 백준채 41347
프리콘돔데이, 청소년에게도 사랑할 권리가 있어요! 6 2017.08.24 진선우 34081
플라스틱 소비량 1위 대한민국...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으로 변화할 수 있을까? file 2021.09.27 서예은 42217
플라스틱 제로와 더불어 '에너지 절약'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file 2021.05.20 남서영 30081
플라스틱의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3 file 2021.01.20 이지민 37566
플랩 운동복-함께 숨쉬는 살아있는 옷 1 file 2017.05.28 조영서 34228
플레이더월드, 제3회 인터랙티브 공모전 개최 file 2022.12.06 이지원 23843
플레이오프 1차전 MVP ‘대한민국 최고의 센터’ 박지수 file 2018.03.12 허기범 33481
피 터지는 8월 가요계 1 2017.08.21 남승훈 32344
피로 회복, 포천 허브아일랜드에서 만끽하세요! 1 file 2016.04.25 김은비 33874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효율적인 낮잠을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file 2020.08.31 김정원 37058
피부 노화의 주범 자외선 file 2016.06.19 김수미 35231
픽사가 전하는 30년의 희망과 감동 1 file 2017.06.22 강건화 29023
핀란드의 산타마을 3 file 2019.01.03 계진안 35348
필리핀 보라카이 잠정폐쇄, 그 이후는? file 2018.05.28 박지현 41355
필리핀 인터넷 쇼핑의 변화 file 2022.01.26 최윤아 28738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81308
핑크 카펫 길만 걸으세요! file 2018.03.02 김서현 29062
핑크빛 노을은 오존층 대기오염일까? 2 file 2016.07.20 조해원 46770
핑크카펫은 과연 임산부의 것일까? 4 file 2017.03.21 임수연 35267
하교 후, 갈 곳 없는 학생들을 위한 '청소년 이동 상담실' file 2019.11.25 어율 30719
하나 되어 울리는 우리들의 마음, '제41회 고등학교 합창발표회' file 2019.09.27 김지우 36776
하나되는 내일을 꿈꾸다, 느티나무 가족봉사단 1 file 2017.03.20 오가연 29692
하나되는 내일을 꿈꾸다, 느티나무 가족봉사단 file 2017.03.22 오가연 29356
하노이의 문화를 엿보는 '이색 카페' 1 file 2020.04.08 정진희 31276
하늘 위 노란 리본 4 2017.03.27 서지은 32068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29624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34394
하림 푸드트럭, 동신여고·국제고 방문 무료 시식회 실시 6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30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