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위안부' 할머니들을 지키고 평화를 가꾸는 우리는 피스가드너입니다.

by 4기이민지기자 posted Jan 18, 2017 Views 157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피스가드너2IMG_5946.JP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미지 제공=마리몬드 http://www.marymond.com/]


"우리 아이들은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아야 해요."


길원옥 할머니께서 하신 말씀이다. 여기서 착안하여 만들어진 피스가드너(Peace Gardener)는 할머니의 뜻을 이어받아, 할머니를 지키고 평화를 가꾸어나갈 존재들이다.


지난 7일, 피스가드너 3기가 마리몬드 라운지에서 발단식을 했다. 280명의 지원자 중 9.3:1의 경쟁률을 뚫고 30명이 선발됐다. 발대식은 마리몬드 소개, '위안부' 교육, 앞으로의 활동 안내 순으로 진행되었다.


마리몬드는 나비를 뜻하는 라틴어 마리포사와 새 생명과 부활, 회복의 뜻을 가진 고흐의 '꽃 피는 아몬드 나무'에서  '마리'와 '몬드'를 따온 합성어다. 존귀함의 회복을 위해 끝 없이 날갯짓하겠다는 뜻이다. 마리몬드가 존귀함의 회복을 위해 재조명할 첫 번째 동반자, 그들이 바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셨다. 피스가드너 역시 할머니의 뜻을 이어받은 재조명의 일환이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연행됐다. 위안소에 감금되어 조직적이고 반복적인 성폭행을 당했지만,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이 사실을 피하려고만 할 뿐 공식 사과와 합당한 배상은 없었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부르는 명칭은 정신대, 종군 위안부, 일본군 성 노예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 중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다는 뜻의 정신대와 스스로 군을 따랐다는 뜻의 종군 위안부는 적절한 명칭이 아니다. 국제 사회에서 쓰이는 공식명칭은 일본군 성 노예이지만 할머니들께서 거부감을 가지실 수 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위안'은 안식을 준다는 뜻으로 일본 측의 입장이지만 이 단어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살리기 위해 작은따옴표 안에 넣어서 사용한다.


2015년 12월 28일 한일 양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합의를 발표했다. 아베 정부가 배상금이 아니고 치유금이라고 강조한 10억 엔을 받은 한국 정부는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일본 정부의 우려를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까지 했다. 1주년을 맞아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후문 앞 인도에 놓인 평화의 소녀상은 경찰과 부산 동구청 공무원들에 의해서 강제로 철거 당하기도 했다. 이 후 철거된 소녀상은 30일에 재설치되었다.


비주얼 다이브(http://www.visualdive.com/)에 따르면 2012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고교생 86%가 '위안부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전혀 모르고 있다'라고 응답했다고 한다. 아직도 피해 할머니들께서는 수요 집회에 참석하고, 예술 작품을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이를 알리려고 노력하고 계신다. 피스가드너는 현재진행형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바르게 기억하고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앞으로 이들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견학, 수요집회 참석, 전국의 소녀상 방문을 비롯하여 여러 활동을 할 계획이다. 또한 직접 이벤트를 기획하여 2월 중에 시행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민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3.png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8 19:01
    우리말 배움터 사이트를 통하여 띄어쓰기 검사를 완료하였습니다.
  • ?
    4기추연종기자 2017.01.18 20:13
    피스가드너라는 단체가 있었군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께서 고령의 연세로 한분 두분 떠나가시는데 이런 상황에서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피스가드너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9 08:05
    어제 복숭아꽃할머니, 박차순할머니께서 돌아가셨어요 ㅜ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4기옥승영기자 2017.01.18 23:42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이 있었는데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활동 중인 프시가드너에 대해서는 잘몰랐어요. 기사를 통해 이러한 단체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유익한 정보 담긴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9 08:06
    저희는 그냥 마리몬드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단체구요 , 이 문제를 위해 정의기억재단 정대협 등 여러 단체에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누셨으면 좋겠어요 ! 특히 할머니들께서요 ㅎㅎ
  • ?
    4기김지수기자 2017.01.18 23:48
    단체의 이름과 그 의미가 참 이쁜 것같아요, '위안부' 할머니분들께 많은 위안과 도움이 돨것같네요! '피스가드너'란 이름처럼 멋진 활동기대하겠습니다!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9 08:06
    네 ㅎㅎ 이름 정말 이쁘죠 감사합니다 ! 앞으로 열심히 활동할게요
  • ?
    4기이현주기자 2017.01.19 11:30
    이번 기사로 피스가드너를 처음 알게되었고 좋은기사 잘 보았습니다~!!
  • ?
    4기이민지기자 2017.01.19 19:43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이 문제에 대해서 마노은 관심 부탁드릴게요
  • ?
    4기오경서기자 2017.01.20 01:24
    이렇게 좋은 단체가 있었다는것을 덕분에 알게되었어요. 이번에 정말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되셨네요? 할머니들을 위해 앞으로 멋진 활동들 부탁드립니다~
  • ?
    4기김다연기자 2017.01.20 22:44
    이번 기사를 보고 피스가드너라는 단체가 있는지 알게되었네요 다음에 저도 기회가 된다면 정말 같이 참여하고 싶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멋진활동하세요!
  • ?
    4기하재우기자 2017.01.21 19:54
    일본이 진정성있는 사과를 해야할텐데요.. 피스가드너의 행보가 그 시발점이 되길 바랍니다. 청소년의 86%가 위안부 문제를 모른다는 점은 정믈 아쉽네요. 이런단체가 앞으로도 많이 생겨서 청소년들의 인식신장에도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 ?
    4기안옥주기자 2017.01.21 21:07
    마리몬드의 취지가 너무 좋은거같아요 ! 대한민국의 다음세대인 중고생들이 역사를 바로 알고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행동을 하고 대한민국의 미래가 기대되네요 !! 저도 이번 3기 피스가드너 지원했었는데 결과가 아쉬웠지만 앞으로 한 달간 피스가드너 분들의 활동을 기대하고 응원할게요 !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
    4기김혜진기자 2017.01.22 21:34
    기사를 통해 피스가드너라는 단체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저와 저의 주변만 보아도 '위안부'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앞으로는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민지 기자님 정말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활동 열심히 하시고 저도 잊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1.23 16:55
    이렇게 멋진 단체가 있는줄 이제 알았어요 앞으로 이 단체의 활동에도 참여해보고싶네요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황수미기자 2017.01.23 19:40
    의미있는 활동을 하는 단체군요!! 앞으로도 왕성한 활동 기대하겠습니다ㅎㅎㅎ 마음이 따뜻해지는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
    4기이건학기자 2017.02.06 23:00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5707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5568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471973
[MBN Y 포럼] 2030 젊은 세대를 위한 글로벌 청년 포럼 4 file 2017.02.08 신예진 12362
[ MBN Y 포럼] 장충체육관에서 열리는 MBN Y 포럼 "불가능을 즐겨라"! 3 file 2017.02.08 박준우 9751
[MBN Y 포럼] Enjoy The Impossible! 4 file 2017.02.08 김지원 10089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그게 대체 뭔데? 4 file 2017.02.07 박수지 9101
<7년-그들이 없는 언론> 관객과의 대화…"일시적이지 않고 꾸준한 언론을 기대해야" 6 file 2017.02.07 백민하 10630
벚꽃이 필 때도, 배구하자 6 file 2017.02.06 방가경 9900
용인시 여성 안전 위해 안심 택배 서비스 실시 16 file 2017.02.05 오수정 12490
팬들의 기부행렬, 사회적 이슈로 화제모아 6 file 2017.02.05 최연우 12594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0696
진로에 고민이 많은 10대를 위한 꿈수레 전공체험박람회 8 file 2017.02.04 이현지 15758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2 교토 (1) 8 file 2017.02.03 박소이 10529
7년이란 세월을 버텨온 당신께, 이제는 웃는 7년을 선물하고 싶습니다. 11 file 2017.02.03 임하은 10535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1354
국제 사회에 한 발짝 더 가까워 지는 문, 모의유엔(MUN) 7 2017.02.03 박소희 17454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 7기” 해외캠프 실시 4 file 2017.02.03 이태양 13564
'도깨비'후속작 '내일 그대와' 그 뒤를 이을 수 있을 것인가. 14 file 2017.02.03 정원희 11494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22 file 2017.02.03 강건화 10775
대한민국 청소년을 열정으로 불태우게 만들 책 8 file 2017.02.02 옥승영 11242
전세계를 덮친 최강 한파???그 원인은 지구온난화? 4 file 2017.02.02 장현경 10942
세계 최대의 인구와 광대한 국토를 가진 나라, 중국 10 file 2017.02.02 4기송주영기자 11904
강력 한파로 환자 급증해… 4 file 2017.02.01 이유정 9225
전쟁의 제물로 희생된 수많은 진실, 연극 <벙커 트릴로지> 8 file 2017.02.01 김단비 12745
건축학교 아키, 꿈을 짓는 건축캠프 개최 8 file 2017.02.01 오승민 11331
죽기 전에 가봐야 할 나라, 싱가포르 12 file 2017.01.31 고아연 11594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우리도 한국인 8 file 2017.01.31 김세흔 12845
손 끝에서 자연을 창조해내는 예술가, 훈데르트 바서 6 file 2017.01.31 최다인 10330
[현장취재] 100주년을 향해 도약하자. "우리, 횃불되리라." 16 file 2017.01.30 김유진 9896
영화..그리고 청소년 [MOV동아리활동] 10 file 2017.01.30 김윤서 9829
대마도에서 '대한민국'을 엿보다. 7 file 2017.01.27 서상겸 13176
드론의 끝없는 변화 '수중 드론' 6 file 2017.01.27 임경은 13320
빅뱅콘서트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17 file 2017.01.26 형지민 11242
방학? 그게 뭐야? 먹는 거야? 25 file 2017.01.26 김수민 11550
영화, `모아나' 논란 10 file 2017.01.25 전인하 14243
노회찬 "1987년식 자동차를 고수할 것인가, 최신형 2017년식 자동차를 구입할 것인가." 6 file 2017.01.25 곽다영 10062
도심 속 눈, 아름답지만은 않았습니다. 9 file 2017.01.25 송인준 9194
화려한 막을 내린 도깨비 18 file 2017.01.25 옥승영 14496
연세대학교, YMUN 2017을 성공적으로 마치다 6 file 2017.01.25 최이윤 17451
'도깨비'가 남긴 것들 8 file 2017.01.25 주은채 10506
초롱초롱 제4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 file 2017.01.25 김소희 10233
안양 한라, 폭발적인 13연승 5 file 2017.01.25 김연수 11242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와 시민들이 함께하는 '겨울철 야생동물 먹이주기 행사' 열려 8 file 2017.01.25 박소윤 10401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1052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14268
한국과 다른 듯? 같은 듯! 일본의 가정과 학교 9 file 2017.01.24 박수연 20027
코앞으로 다가온 설 연휴... 차례상 잘 차리는 법은? 13 file 2017.01.24 박미소 11455
김제동의 만민공동회, 시민들에게 귀를 기울이다 2 2017.01.24 박찬웅 9439
서울역사지킴이, 새싹들에게 일월오봉도를 알리다 4 file 2017.01.24 박수연 15403
‘속초는 이제 안가도 되’ <포켓몬 GO> 한국 출시 8 2017.01.24 이현승 101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5 Next
/ 95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