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찌라시 전쟁

by 5기김영인기자 posted Jan 26, 2018 Views 411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가 신문이나 인터넷에서 기사를 읽을 때, 그 기사의 내용을 모두 믿는 것이 가능할까? 기사의 내용을 모두 믿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아마 언론에 대해 엄청난 신뢰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언론은 조선 시대부터 국민들을 대변하여 공정하게 큰 목소리를 내는 역할을 맡아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각 언론사별로 정파성’(보수적, 진보적 등의 개별 성격을 가지는 것)을 가지게 되면서 이러한 성격이 기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래서 언제부턴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기자의 이미지가 달라졌다. 최근에는 기레기’(기자+쓰레기), ‘찌라시라는 말들이 생겨날 정도로 언론과 기자를 향한 국민들의 불신은 극에 달한 상태이다.

 

   그러면 어쩌다 언론이 이런 자리까지 추락하게 된 것일까? ‘나쁜 뉴스의 나라라는 책의 내용을 인용해보자면, 이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을 어뷰징이라고 말한다. ‘어뷰징이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언론사가 의도적으로 검색을 통한 클릭 수를 늘리기 위해 동일한 제목의 기사를 지속해서 전송하거나 인기 검색어를 올리기 위해 클릭 수를 조작하는 행동이다. 이렇듯 각 언론사는 자사의 이익만을 위해서 터무니없는 자극적인 기사를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취재하는 대신에 과거의 무관한 발언들을 다 엮어서 기사를 만드는 짜깁기도 언론의 위상을 추락시키는데 큰 몫을 했다고 말한다. 연예인 한 명이 인기 검색어에 오르기만 하면 과거의 온갖 발언들을 다 끄집어내어 제목만 살짝 바꿔서 기사를 쓰는 이러한 모습은 더 이상 참된 기자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전부터 언론의 이미지가 추락하고 있었긴 하였지만, ‘미디어스’(주로 미디어 관련 뉴스와 미디어 비평을 하는 인터넷 신문)가 네이버의 뉴스스탠드 기능을 비판하는 기사를 올리면서 국민이 언론을 불신하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또한, 지난 2008MBC TV ‘뉴스 후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에 대한 일부 네티즌들의 광고 방해 사태를 다룬 프로그램을 방영하면서, 근거 없이 비난하거나 의도적으로 주요 사실을 누락시키고, 한쪽 주장만 일방적으로 보도하면서 반론은 전혀 싣지 않는 등 짜깁기식 보도를 하였다. 이 사태는 당시 네티즌들에게 큰 반발을 일으켰다.


   본격적으로 기레기라는 용어가 국민들에게 알려진 사건은 바로 그 당시 우리나라를 충격에 빠뜨리고 지금까지도 충격이 이어져 오는 2014416일 대한민국 진도 해안에서 일어난 세월호 사건이다. 이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에 대한민국의 재난주관방송인 한국방송공사에서는 세월호 침몰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취재하는 데 있어서 짜깁기를 사용하여 현장에 있던 시민들과 네티즌들에게 큰 반감을 사게 되었다. 그 이후 지금까지 언론들이 비판받을 만한 행동을 할 때마다 국민들은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이후 여러 언론의 짜깁기 보도가 나왔고, 이제는 계속 이렇게 가다가는 기계가 기자의 직업을 대체해버릴 수도 있다는 말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빅데이터 전문가이신 송길영 전문가(다음 소프트 부사장)이제 기계가 인간을 뛰어넘는 시대가 왔기 때문에 우리는 기계를 인간의 협력을 위한 것으로 바꿔 가야 한다.”라며 가속화된 자동화와 인간 협력과의 관계를 언급하였다.


   위에서 계속 말해왔듯이 많은 사람들은 이제 더 이상 언론을 신뢰하려고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 실제로 부산광역시사회조사에서 지방 언론사의 신뢰도에 대해서 설문조사 해 본 결과, 신뢰(15.4%), 신뢰하지 않음(32.4%) 이라는 참혹한 결과가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그래프 참고)

 

대청기.PNG

(출처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사회조사, 2015)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영인기자]


  이러한 사태를 보아하니 이제는 이 문제를 더 이상 방관하기만 하면 안 된다. 이 문제를 우리 모두의 노력으로 해결해야 할 때가 되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주류 언론사들이 자사의 이익과 자신의 소속감보다는 국민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기사를 써야 한다. 물론 이 일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서로 타협하며 해결점을 찾아가야 한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도 기사를 읽을 때 그냥 그 기사를 받아들이거나 아예 그 기사를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사가 진실 되고 공정하며 진정 가치가 있는 것인지 비판적인 수용의 자세를 취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을 키우며 기사를 읽어야 언론에 대하여 좀 더 나은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김영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용환기자 2018.01.30 00:47
    유사 언론이나 가짜 뉴스에 대한 이슈가 많은데, 요즘에는 인공지능으로 그런 것들을 걸러내는 기술도 개발 되고 있다 하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9754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307895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3446830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34668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26894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이제는 하다 하다 김치를? file 2021.02.25 김민성 37638
5G, 내 귀에 전자레인지? file 2021.02.24 이지민 39918
저는 공짜 음악은 듣지 않습니다 file 2021.02.24 송서연 34152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35819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33874
"점점 늘고 있는 청소년 흡연" 2 file 2021.02.23 노윤서 28493
2021 LCK 스프링 스플릿 1라운드 Review file 2021.02.22 김형근 28308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전격 폐지... file 2021.02.22 이지연 34114
국민만 디지털 시대? 이제는 정부도 디지털 시대다! file 2021.02.22 정예람 42949
한일교류회, <82년생 김지영>을 말하다 file 2021.02.19 김연주 28874
'스포티파이', 드디어 대한민국에... 여전히 없는 '아이유' file 2021.02.18 최다빈 32737
'코사무이' 랜선 여행 2 file 2021.02.16 서지수 32581
NBA를 흔드는 선율, 유타 재즈의 상승세 2021.02.15 이대성 37813
“이번 설은 집에서 영상통화 무료로 즐기세요!” 1 file 2021.02.15 김태림 30039
'코로나 시대' 설 명절 선물로 나마네카드 각광..."가족사진 담아 선물했어요" file 2021.02.10 디지털이슈팀 32126
다이소-나마네카드, “부모님 힙한 과거사진을 담아 즐거움 선물하세요” 설 이벤트 진행 file 2021.02.10 디지털이슈팀 36275
나는 생각한다, 고로 물류한다 <한국청년물류포럼 20기 물류콘서트> 1 file 2021.02.08 김민희 41384
우리 반에 다문화 학생이 10명이라면? '2021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 발전 방안 토론회' file 2021.02.08 김성희 33586
4차 산업혁명의 떠오르는 별 희토류의 문제 file 2021.02.05 김나영 41350
백신,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 지는 것일까? file 2021.02.03 김해승 34767
2020년 정부 기관이 바라본 국내외 게임 동향은 어떨까? 1 file 2021.02.01 김동명 36943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36973
2021년 새해를 여는 국내와 해외 기업들의 협업 컬렉션! file 2021.01.27 권유경 34305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32520
팬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세븐틴의 온라인 콘서트 file 2021.01.27 김민결 37160
당신 팀의 전력은 안녕하십니까? 2021 프로야구 전력 분석 file 2021.01.26 문청현 35506
1월의 '충남도서관' 탐방 file 2021.01.26 노윤서 34552
백신을 맞아도 우리는 마스크를 벗지 못한다 1 file 2021.01.26 김자영 31660
2021 도쿄하계올림픽과 패럴림픽 개최 혹은 취소, 정답은? file 2021.01.25 박수영 37210
친환경 기업임에도 정상에 선 '앱솔루트 보드카' 이야기 file 2021.01.25 권태웅 32702
발전하는 전기 재료 file 2021.01.25 정시언 37926
한옥 체험 리얼리티, 힐링 예능 <윤스테이> file 2021.01.25 권나원 30377
주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다…유쾌하고 유익한 ‘개미는 오늘도 뚠뚠’ file 2021.01.25 김진영 31153
“전자담배 광고인 줄”... 보건복지부 ‘노담’ 광고에 여론은 ‘싸늘’ file 2021.01.25 박지훈 38719
취임사에서 '통합' 강조한 바이든…샌델은 '능력주의 극복'을 말한다 1 file 2021.01.25 김도원 31384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 올해 달라진 점은? 1 file 2021.01.25 이유진 32070
언제, 어디서나 영어 공부를 할 수 있다고? TED 강연 2 file 2021.01.22 김나희 32746
온라인으로 떠나는 핀란드 여행 1 file 2021.01.22 김상현 35529
내가 쓰는 스마트폰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2 file 2021.01.20 강대우 35894
플라스틱의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3 file 2021.01.20 이지민 37460
연등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file 2021.01.20 김서진 31175
'복면가왕' 8연승의 주인공 부뚜막 고양이의 정체는..하이라이트 양요섭 file 2021.01.19 오혜인 32337
강미강 작가와 “옷소매 붉은 끝동”의 만남 file 2021.01.19 정주은 48546
더불어민주당 청년 TF, 미소대화 ‘청소년과 정치활동 - 18금 정치를 넘어 민주시민으로 서기’ 개최 file 2021.01.19 김찬영 28872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과연 누가 결정할까? 1 2021.01.15 이채영 41140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332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