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by 3기박정선기자 posted May 25, 2016 Views 359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완서 작가는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이라면 한번쯤은 읽어봤을 소설들을 쓴 작가이다.

대표작으로는 <자전거 도둑>, <나목>,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겨울 나들이> 등이 있다. 아마 바로 위에서 거론한 작품들 중 하나는 학교에서 배웠을 것이다. 그 외에도 훌륭한 문학 작품들이 많다. 그 중에 필자가 추천해주고 싶은 책인 <나목>을 소개하고자 한다.


 <나목>은 한국전쟁에서 두 아들을 잃은 뒤 인생에 무상감을 느낀 엄마와 자신 때문에 두 오빠가 죽었다는 생각을 가진 이경이라는 인물이 나온다. 이경은 미군 부대에서 초상부에 근무한다. 여기서 이경은 옥희도를 보고 이경은 옥희도를 사랑하게 된다. 이경은 옥희도를 보기 위해 그의 집에 찾아가고 거기서 고목 그림을 본다. 이경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 미군 부대에서 일하는 황태수라는 사람과 결혼한다. 한국전쟁이 끝난 후, 이경은 옥희도의 나무 그림을 다시 보게 되는데, 그 때 이경은 고목 그림이 아니라 나목 그림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작품은 박완서 작가의 데뷔 작품이다. 실제로 박완서 작가는 한국전쟁 때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미8군 초상화부에 취직을 했다고 한다. 여기에서 박수근 화백을 만나고, 훗날 등단 작품인 <나목>의 영감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이 소설에서 주로 사랑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다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황폐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엿볼 수 있다.

IMG_20160525_205409.jpg

(사진-박완서 작가 장편소설<아주 오래된 농담>)

 박완서 작가는 1944년 숙명고등여학교(현 숙명여고)에 입학하였다. 숙명고등여학교가 6년제 숙명여자중학교로 개편되고, 5학년 때 담임이었던 소설가 박노갑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50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과에 입학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중퇴하였다. 1970년, 당시 자식들을 기르는 어머니였던 박완서 작가는 자신의 장편소설 <나목>이 <여성동아>현상모집에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문학상, 1998년 보관문화훈장, 2011년 금관문화훈장 등 기사에 옮기지 못했지만 문학 분야에서 많은 수상 내역을 보유하고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정선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박정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지우기자 2016.06.12 22:22
    자전거 도둑이라는 소설을 재밌게 봤었는데, 박완서 작가님의 다른 작품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자님의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98420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308734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3454476
세상을 알리는 새로운 눈이 되다, 로이터 사진전 2 file 2016.09.15 민원영 34714
제 16회 부천 복사골 청소년 예술제 개최 file 2016.09.14 백재원 35647
[ 청소년 + 정치 ] 1000만 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청소년들 ?! file 2016.09.12 황지연 30824
[ T I F Y 특집 ] 티파이와 함께한 냠냠축제, 행복을 전달하는 마을행사 ! 2 file 2016.09.05 황지연 34847
청소년들의 꿈의 실현, <배우의 꿈> 뮤지컬 헤어스프레이 1 file 2016.09.04 임하늘 34588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36689
서울 북 페스티벌, 이번엔 로봇이다!! file 2016.09.03 박성우 36714
[ T I F Y 특집 ] 서대문구의 청소년 봉사동아리, 요리로 봉사를 실천하다 1 file 2016.09.01 황지연 36253
우리가 북촌을 지켜야 할 수많은 이유 file 2016.08.31 김형석 37671
기다려도 오지않는 엠블런스 1 file 2016.08.30 최호진 37071
한국철도시설공단, KR 홍보대사, KR SNS 레일싱어, 청소년 홍보대사 합동 워크숍 개최 file 2016.08.30 박성수 37049
서문시장야시장, 밤까지 식지않은 열기를 이겨낼 방법! 1 2016.08.26 서지민 34299
궁극의 자유를 향해 2 file 2016.08.26 김민아 32177
계속 되는 무더위, 도대체 언제까지? 1 file 2016.08.26 지예슬 34283
부르카와 부르키니로 생각해보는 진짜 존중 1 file 2016.08.25 한서경 39812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34467
아픔의 역사를 간직한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에 가다 1 file 2016.08.25 양소정 36106
서울도서관! 지식과 정보를 전해준다. 1 file 2016.08.25 강기병 32797
무더운 날씨 속 과거 '석탄' file 2016.08.25 김민지 36587
민간 외교 사절단 반크 --- 거리로 나서다 1 file 2016.08.25 김은형 34377
유럽여행 이젠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 file 2016.08.25 김규리 34553
새학기 시작,해돋이 명소 강원도로 떠나요! file 2016.08.25 김은비 35438
리우 올림픽, 정말 끝일까? 4 file 2016.08.25 신수빈 37208
누구든지 그림 동화책 작가가 될수 있어요! file 2016.08.25 이도균 33920
잠은 보약이다 file 2016.08.25 목예랑 33151
한 생명을 위한 다른 생명을 이용하는 일, 당신은 동의합니까? file 2016.08.25 전지우 39141
'자살', '살자' 1 file 2016.08.25 최호진 34561
동화같은 스위스마을로 떠나보자! file 2016.08.25 손제윤 35317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33879
UNICEF 아동친화도시를 향해~ 인천광역시 서구! file 2016.08.25 이준성 34378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찾아서,서대문형무소 1 file 2016.08.25 이다혜 36843
새로운 시장의 형태, 신자유주의 1 2016.08.25 유승균 40280
간판 교체, 도로 정비, 배수로 설치...현대화로 한층 새로워진 상계중앙시장 file 2016.08.24 김태경 39680
레슬링 김현우, 오심에도 값진 광복절 세리머니 1 file 2016.08.24 장은지 35825
청소년들이 모르는 ‘청소년증' file 2016.08.24 정현호 37924
쇠소깍에서 외돌개까지, 제주 올레길 6코스 걷기 file 2016.08.24 박정선 37485
흐름 속에 알찬 지식 의왕 철도산업홍보관 1 file 2016.08.24 박도은 39548
한국에서 외국문화 즐기기 1 file 2016.08.24 강예린 36983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35543
도시 속 숨쉬는 역사; 단종과 정순왕후의 사랑이야기 part 1 file 2016.08.25 최원영 36820
국회탐방,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16.08.24 조민성 33472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33916
방치하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1 file 2016.08.22 박지혜 34974
청소년들의 꿈이 있는 곳, 여수 국제 청소년 축제! file 2016.08.22 민유경 34039
굿네이버스, 가족그림편지쓰기대회 개최를 시작하다 file 2016.08.22 김가흔 36846
[오피니언] 바보야, 문제는 법이야. 법은 생명(동물)을 존중하지 않는다. file 2016.08.22 오성용 38476
뜨거운 올림픽의 열기. 식어가는 민족의 열기 4 file 2016.08.21 한종현 27687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35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