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by 3기이봉근기자 posted Apr 17, 2016 Views 112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MyPhoto_1139686417_001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봉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음식을 알면 그 나라를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이것은 그 나라의 음식 속에는 그 나라의 문화, 시대상황, 자연환경 등이 반영되어 있어 음식에 대해 알게 되면 그 나라의 문화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우리가 사는 데 있어 가장 첫 번째로 필요한 음식은 다른 나라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 또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나라들은 그들만의 독자적인 음식과 식사예절을 가지고 있는데, 세계 여러 나라의 음식문화를 파헤쳐보자!


  한국

  한국의 음식은 온난기후에 사계절이 존재해 예로부터 벼농사를 짓기 시작하여 밥이 주식이 되었고, 겨울이 되면 식량을 구하기가 힘들었던 탓에 절임음식 또한 발달하였다. 또한, 다른 나라들과 달리 음식을 한 접시에 놀고 나눠먹는 것에서 공동체 의식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웃어른이 식사한 후 식사한 것은 조선시대를 지배했던 유교적 질서를 잘 보여준다.


  러시아

  러시아는 과거부터 낮은 기온으로 그에 맞는 음식문화가 발달했는데, 러시아는 채소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육류 위주의 음식이 발달하였고, 추운기온에서 살아가기 위해 높은 열량의 음식이 발달 하였다. 또한, 낮은 기온에 음식이 잘 상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극적이지 않고 담백한 음식이 발달하였다.


  헝가리

헝가리는 아시아의 유목민족이 세운 나라로 그들의 요리법이 이어지고 있으며, 터키의 침략으로 터키의 영향을 받아 걸쭉한 야채수프와 같은 요리방식이 가미 되었다. 또한 과거 헝가리혁명 때 헝가리를 이긴 오스트리아 군인들이 맥주잔을 들고 ‘치어스’를 한 것이 지금까지 남아 헝가리에서는 현재까지도 맥주잔을 들고‘치어스’를 하지 않는 다고 한다.


  독일

  독일은 물에 석회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수질(水疾)이 좋지 않아 예로부터 맥주가 발달하였으며, 돼지를 과거 우리나라의 개 처럼 여겨 돼지를 이용한 음식이 발달하였다. 또한 겨울에 채소를 구하기 힘들던 지리적 특성 탓에 양배추, 오이절임 등이 발달하였고, 육류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 소시지, 햄 등의 육류를 숙성하는 방법이 발달해왔다.


  이 처럼 음식은 그 나라에 대해 알 수 있는 힌트가 되곤 한다. 어떤 나라에 대해 알고 싶다면 그 나라의 음식문화를 알아보거나, 또는 평소 즐겨먹는 음식의 숨겨진 배경을 조사해보면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3기 이봉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3.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363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274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408216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1 file 2016.05.25 박정선 9622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10197
압구정중학교 영자신문반 살리기 프로젝트 file 2016.05.25 박지우 12412
세종대왕 탄생일을 아시나요? 1 file 2016.05.25 강기병 12242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10473
[5.17~5.19] '약속의 땅 포항' 삼성, 한화에 위닝시리즈 1 2016.05.25 백소예 9668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3085
현대인들의 운동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6.05.24 김나연 20170
놀자 페스티벌에서 놀자!! file 2016.05.24 김보현 10086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9462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15742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2650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8788
부산 세계인과 함께하는 어울마당 개최 file 2016.05.24 노태인 9263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9135
이해찬 선거사무소 조상호 실장을 만나다 file 2016.05.23 최선빈 9621
당신의 역사 상식 수준은? 2 file 2016.05.23 이민정 9327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8766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2703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9450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12543
제 2의 윤동주를 찾는다! 제 9회 구로구민백일장 file 2016.05.22 백현호 8664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10501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12256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0914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0201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1134
자연과 먹거리,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2 김현승 9547
수원의 자랑, 외국인들을 위하여 file 2016.05.22 김현구 9907
우리시대의 전태일을 응원한다! file 2016.05.22 이강민 9127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2149
인천 남동구 소래도서관, 원화전시 시행 file 2016.05.22 박은진 10830
C페스티벌 file 2016.05.24 박상민 12164
향수를 부르는 대구문학관 향촌문화관 file 2016.05.22 박지영 12553
학생들은 왜 성당 독서실을 이용하지 않을까...? file 2016.05.22 신정효 13625
아름다운 장미꽃들의 축제 1 file 2016.05.22 신경민 9642
詩끌벅적한 문학축제 제29회 지용제 열려 file 2016.05.22 곽도연 8714
서울시 어청참 복지분과, 청소년 복지를 말하다 file 2016.05.22 김태윤 8689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8959
스트리밍, 음반 시장을 바꾸다 1 file 2016.05.21 권용욱 9437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1073
5월은 청소년의 달...국내최대규모로 열린 '제12회 대한민국 청소년박람회' 1 2016.05.21 윤춘기 10067
영화, 환경을 품다.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6.05.20 박소희 8823
대중 매체로 기억하는 5월의 그 날, 5.18 민주화운동 file 2016.05.20 임하늘 9779
당신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나요? '제 13회 서울 환경 영화제' 1 file 2016.05.19 이은경 9971
2016 고양국제꽃박람회,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 1 file 2016.05.19 홍새미 8942
원주 노숙인 센터, 사람들과 정을 나누다 file 2016.05.19 김가흔 11391
먹거리에 대한 또 다른 생각, 나의 언덕이 푸르러질 때;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8 박수연 101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4 Next
/ 94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