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내 몸이 열쇠가 된다, '생체보안'

by 3기백현호 posted Feb 16, 2016 Views 436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보안기술의 화룡정점, '생체보안'을 주목하라!


 2014년부터 우리에게 ‘핀테크(fintech)'돌풍이 불어왔다. 핀테크는 금융(finance)와 IT기술(technology)이 합쳐진 합성어다. 흔히 우리가 인터넷 쇼핑 중 설치하게 되는 엑티브X, 공인인증서, 간편결제서비스 혹은 카카오톡의 카카오월렛 등이 대표적인 핀테크의 예이다.

금융거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보안성에 강점을 두어 최근 생체보안기술(bio-tech)이 등장하였다. 생체보안기술은 지문, 홍채, 손바닥 정맥, 안면, 목소리 등 사람들 마다 고유한 신체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는 기술이다.

생체보안기술은 기존 솔루션을 통한 보안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높고 간편성이 강조되어 각종 은행, 도어락, 스마트폰 등 여러분야에 걸쳐 사용되고있다.


20160204_114821.jpg

[사진-신한은행 본점 키오스크(KIOSK) 메인화면 :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백현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대표적으로 신한은행의 무인스마트점포 ‘키오스크(KIOSK)'에서 생체보안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의 키오스크는 국내최초로 철저한 본인확인 및 보안체계와 은행영업시간 외에도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 점을 강조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한 번 등록을 하면 신용/체크카드 및 통장 이용, 공과금납세, 각종인증서 발급 등 은행 업무시간 이외에도 이용 할 수 있다. 생체보안서비스 이용방법은 키오스크 메인화면에 있는 ’바이오인증’을 클릭하면 상담원이 연결되고, 상담원의 지시에 따라 손바닥 정맥 등록을 완료하면 이후 거래를 할 때 손바닥을 가져다가 대기만하면 각종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다.


20160204_115213.jpg

[사진-키오스크(KIOSK)로 손바닥정맥정보를 등록하는 모습 :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백현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하지만 이렇게 편한 생체보안서비스에도 문제점이 있다. 지문인식과 손바닥 정맥인식은 이미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에도 도입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거리낌이 없지만, 홍채인식 같은 경우는 익숙하지 않아서 거리낌을 느끼는 경우가 다수 있다. 그리고 서클랜즈 착용 시 인식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안성 부분에서도 문제가 있다. 기존 솔루션 방식은 해킹 시 비밀번호를 바꾸어 대처를 할 수 있지만, 생체보안방식은 우리 몸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 한 것이기 때문에, 해킹을 당하여 유출이 되면 대처방법이 마땅치 않다. 그러므로 생체보안방식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이에 대한 대처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백현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예지기자 2016.02.17 00:41
    핸드폰에 지문인식과 같은 기능이 있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은행에서는 좀 더 폭넓은 방법을 이용한다는 것을 읽고 스마트폰 등장부터 시작해서 보안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기사였습니다!
    그리고 직접은행에 가서 몸소 체험해보고 사진을 찍는 것으로 기사가 더 신빙성있게 느껴졌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 2016.02.17 02:13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삶이 더욱 편해지고 발전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가 과연 많이 사용될지 궁금합니다. 기술이 발달했지만, 그에 못지 않게 해킹기술도 발달하면서 위의 서비스 사용에 걱정을 하는 사람들도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요. 보안이 철저해진다면 좋겠어요 !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17 06:21
    지문인식이 우리에게 널리 알려지고 많이 사용되듯이 홍채 인식도 어느 순간 우리의 생활의 일부가 되겠죠? 신기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17 06:29
    과학기술이 정말 발달하고 있는 것 같아요
    미래과학으로 홍채인식이 나왔었는데 머지않아 홍채인식이 우리 실생활에 쓰일지도 모른다니 정말 대단하네요
    과학기술이 많이 발전하는 만큼 보안도 철저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반서현기자 2016.02.17 22:15

    만화책에서만 보았던 것 같은 생체 보안이 일상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니 정말 놀라운 것 같아요! 하루 빨리 생체 보안의 문제점들이 해결되고 더욱 상용화되어 우리의 삶을 편안하게 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전채영기자 2016.02.18 01:34
    생체보안기술을 상용화하는 게 미래의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벌써 눈 앞에 와있다는 게 놀랍네요. 하지만 목소리, 홍채인식, 지문인식 같이 오류 가능성이나 도용 가능성이 있는 시스템은 아직도 갈 길이 먼 것 같기도 해 우려 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목예랑기자 2016.02.19 20:11
    책에서 생체 보안에 대해 읽었을 때 멀게만 느껴졌는데 이제 얼마 있지 않으면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접할 것 같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19 21:49
    과학기술이 날이 갈수록 점점 발전해 나가고 있는 것 같아요.
    모든 서비스에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단점도 존재하기 마련이잖아요.
    생체보안서비스도 단점을 완전히 다 없앨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서비스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8:36
    편리하고 유용하긴 하지만, 너무나 빨리 발전해버리는 과학기술이 무서울때도 있는것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3 23:16
    지금까지의 생체인식중 대중화 된것은 그저 지문인식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정말 다양한 생체인식 종류들이 대중화가 되는것 같아요! 머지않아 홍채인식같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생활에 쉽게 쓰일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3 23:54
    나날이 발전하는 과학기술이 가끔은 무섭게 느껴질 때도 있더군요. 특히나 저렇게 생체기술이 활용화된다는게 신기하지만 한편으로는 인간마저 과학의 수단이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들기도 합니다.
    과학기술이 건전한 인류의 삶을 보장하는 유익한 수단으로 사용되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5 08:15
    신체를 보안에 이용할 정도로 과학기술이 발달했군요!! 놀랍습니다~ 앞으로 어떤 기술이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97897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30823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3449704
치킨뿐만아니라 돼지고기랑 소고기도 못 먹는다고?? 1 file 2017.02.23 정예림 30299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31531
수원 하늘을 잠식한 까마귀 구름 2 file 2017.02.23 이지윤 29862
김밥 집에 김밥의 종류가 많은 이유 2 file 2017.02.23 현소연 35146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32100
‘불가능을 즐겨라!’ MBN Y FORUM 2017 청년들에게 꿈과 비전 선사해 1 file 2017.02.23 오주연 31062
요즘 부모들의 핫플레이스, 베이비페어 1 file 2017.02.23 양현진 30776
다가오는 꽃샘추위 감기 조심해요 2 file 2017.02.23 정민석 29681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33051
재심, 모두가 꼭 보았으면 하는 영화 1 file 2017.02.22 박소이 40251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3 교토 (2) 2 file 2017.02.22 박소이 39835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33034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1 file 2017.02.22 이현중 28511
경제와 환경을 살리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시스템'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2 이윤지 42801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86925
말 많은 WBC,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2.22 최민주 32171
명품, 왜 사요? 6 file 2017.02.22 박솔향 32518
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2.22 최찬영 32172
삼척의 큰 자산, 가람영화관 3 file 2017.02.22 정유진 34903
쉽고 간단하게 체험할 수 있는 가죽공예! 3 2017.02.22 김다정 31843
2017 정유년, 올해의 트렌드 키워드는 과연 무엇일까 4 file 2017.02.22 고은빈 35319
영화 '다른 길이 있다', 무엇을 위한 비난인가 1 file 2017.02.22 이세림 34540
부산시민공원, 포켓몬 고 대신에 '스탬프 투어'로 공원 100배 즐겨 보아요. 8 2017.02.22 최영 37875
약촌 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영화 재심을 만들다!! 4 file 2017.02.22 유주영 31534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32630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32240
사라져가는 비디오 대여점,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돌아오다 13 file 2017.02.21 백지웅 31711
영주시, 고교생과 함께 관사골 활성화를 위한 새뜰마을 사업 추진해 5 file 2017.02.21 박한나 32589
영상편집의 꽃, CG(Computer Graphics) 17 file 2017.02.21 오지현 31904
기억하자 0214 4 2017.02.21 이유정 28327
정월대보름, 전주 박물관에서 즐겨요 8 file 2017.02.21 김수인 27530
쓰레기 산으로 가려진 아이들의 밝은 웃음, 필리핀의 란필 지역에 가다 18 file 2017.02.21 이지안(이소미) 35026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32280
이웃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달한 B1A4 팬클럽 BANA 12 file 2017.02.21 이다정 31386
초심잃은 기념일, 누구를 위한 것인가? 9 2017.02.21 김영은 33297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38695
3.1일 민족의 고귀한 숨결 5 file 2017.02.21 김윤서 27216
페미니즘에 대한 진실 혹은 오해 11 file 2017.02.21 백정현 34055
뜨겁던 1990년대를 엿보다, 슈퍼소닉 3 file 2017.02.21 최윤정 30259
동해안과 일부 경북 건조특보…건조한 봄철, 산불 예방법은? 5 file 2017.02.21 한예진 29671
제 2, 제 3의 유관순을 찾아서... 제 16회 유관순 횃불상 워크숍 4 file 2017.02.21 강인주 29585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27419
진정한 국경일의 의미, 역사로 찾자! 4 file 2017.02.21 정채린 39506
'한국의 우주공학과 천문학의 미래를 책임질 대한청소년천문우주공학회' 학술회 개최 7 file 2017.02.21 양민석 34428
촛불집회의 숨은 공신, 자원봉사자 6 file 2017.02.21 유림 30725
백화점의 유혹, 이 모든 것이 상술? 7 file 2017.02.21 이종은 30611
고요와 휴식의 낙원,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여행기 3 file 2017.02.21 박형근 38485
청소년증? 학생증? 18 file 2017.02.20 김애란 399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