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대 국회의 변화!

by 4기구성모기자 posted Apr 17, 2016 Views 26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번 총선에 따라서 국회에 모습도 여러가지 면에서 달라지고, 변한다.


DSCF40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구성모 기자대한민국기자단]




먼저, 가장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는 20대 국회 첫 국회의장 선출이다. 기존 국회 제1(의석수)이었던 새누리 당이 이번 총선을 정점으로 더불어 민주당에게 국회 제1당 자리를 빼앗기면서 국회의장 선출도 이제는 고스란히 더불어 민주당에게 넘어간 샘이다. 하지만 무소속 당선인이라는 변수가 있다. 바로 여당 파 유승민, 주호성, 안상수 의원을 포한함 7명의 무소속 당선인들이 새누리당의 요청이나 자진으로 일부 복당한다면 새누리당이 국회 제 1당 자리를 되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야당도 야당 파 이해찬 의원을 비롯한 무소속 4명 무소속 당선인으로 맞불을 놓을 수 있다. 하지만 1당이 되는 것만으로는 단독 과반수에 모자라기 때문에 두 번째 변수는 38석을 지닌 국민의당이다. 국민의당이 손을 들어주는 대가로 국회 부의장이나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면 응해주어야 하는 처지여서 국회의장 선출은 20대 국회의 첫 관문이고 그 키는 국회 제3당인 국민의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는 확 달라진 무섭고도 강력한 민심이다. 기존 국회와는 달리 어느 당도 단독으로 법안을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다. 122석인 새누리당이 38석인 국민의당과 여당 파 무속속 의원들의 협조를 얻는다고 해고 최대 167, 123석인 더불어 민주당이 38석인 국민의 당과 6석의 정의당 그리고 야당 파 무소속 의원들의 협조를 얻어도 171석으로 과반 의석인 180석을 넘지 못해 싸우지 말고, 협력하는 국회가 되라는 국민들의 요구가 아닐 수 없다. 이로써 싸우지 말고 협력하는 정치모습인 협치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는 총선이 지난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세 번째로는 이번 총선에선 여야의 지역기반인 영남과 호남에서 각각 상대 당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속출했다는 것이다. 그토록 뿌리 뽑히기를 바랐던 지역주의 선거에 의미 있는 변화가 생긴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도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수성갑, 이곳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가 새누리당의 김문수 후보를 큰 표차로 이겼다. 이제는 지역주의라는 말은 옛말이 된 것처럼 국민들이 바라보는 정치적인 시각도 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번 총선으로 새누리당은 집권여당으로서의 심판과 앞으로 잘하라는 경고를 받게 되었고, 더불어 민주당은 앞으로의 4년의 막중한 책임과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라는 메세지를 받게 되었다. 또한 국민의당은 제3당으로서의 공평하고 정의로운, 중요하고도 어려운 임무를 받게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구성모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35
    정말 국민을 위해 정치하는 자세가 꼭 필요한 것 같아요. 어쩌면 당연한건데 왜 그걸 우리가 요구해야하는건지 정말 의문이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14023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22035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449163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22700
5·18민주화운동 38주년, 현재는? file 2016.05.27 유진 22600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31506
[이 달의 세계인]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파나마 페이퍼를 공개하다. file 2016.05.24 정가영 22513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22726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30811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30680
위험에 처한 아이들 2 file 2016.05.23 김도윤 20970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29494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24496
깜짝 임시공휴일 제정, 이대로 괜찮은가? 6 file 2016.05.22 최민지 23472
5.18 광주 민중항쟁과 청소년의 사회의식 file 2016.05.22 박채원 22168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24996
유권자들 마음 끄는 '가족 마케팅' file 2016.05.22 박소윤 26055
불매로 기업의 처벌을, 불매운동 2 file 2016.05.22 김혜빈 23800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30135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27256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25580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25077
일본 연쇄지진에 두려움 급증 4 file 2016.04.30 김시언 24868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9124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23717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23051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24248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29032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24619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8879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24480
용인 백현고 소음의 주범 1 file 2016.04.24 김수미 25443
화장하는 청소년들 4 file 2016.04.24 신수빈 38174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25979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26600
설탕세 도입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6.04.23 김은형 24074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2 file 2016.04.22 이강민 25509
드라마, 과연 현실성은? 3 file 2016.04.20 이민정 23217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24324
'수행평가로 학생평가' …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6.04.20 서예은 35128
나에게 맞는 요금제를 사용하려면? 4 file 2016.04.19 이은아 24176
야간자율학습의 실체 1 2016.04.19 김상원 25409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27189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24157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26270
잊을 수 없는 그날의 사고, 세월호 1 2016.04.17 하지희 25632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23952
일본 16일에 또 강진 일어나 2 file 2016.04.17 박도은 22963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23876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25580
4월13일 총선에 대해 알아보자. 5 file 2016.04.10 천주연 256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