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또 바뀌는 입시 룰...5등급제, 통합형 수능에 부담감 증폭

by 23기윤시현기자 posted Nov 24, 2023 Views 197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교육부 학부모 설명회.png

[이미지 제공=교육부 공식 SNS]


지난달 10일 교육부가 2028 대입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처음 수능이 도입된 1994년 이후 대입에 변화의 바람이 불어온 것이다.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과 더불어 모든 것이 새롭게 바뀌는 대입 개편안 발표인 만큼, 학생과 학부모, 교육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5등급제로의 문제 없는 전환은 가능할까. 2021년 고교학점제 계획에서 예고된 대로 학년별 평가 방식이 달라졌을 때의 혼란과 불공정을 방지하고 교실을 황폐화시키는 내신 9등급제는 선진화된 5등급제로 개편한다는 것이 교육당국의 설명이다.


5등급제로의 전환에 가장 큰 이유는 학령인구 감소에 있다. 학생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 현재의 9등급제를 유지한다면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 수는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유는 또 있었다. 한국은 현재 유일한 9등급제를 실시하는 나라로, 다른 선진국의 추세와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현재의 9등급제와 비교하였을 때 현재 1~2등급이 1등급, 현재 2~3등급이 2등급(1등급 : 10%, 2등급 : 24%, 3등급 : 32%, 4등급 : 24%, 5등급 : 10%) 등으로 바뀐다는 것인데, 이에 대해 현장의 반응은 반갑지만은 않았다. 특히, 학생들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내신에서의 변별력이 떨어질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학생 수 감소와 학생이 3년간 배우게 되는 과목의 수가 전체 50여 개 임을 고려한다면 이전보다 강화된 변별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은 내신에서는 5등급제를 적용하되, 수능에서는 현재와 동일한 9등급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내신에 이어 수능까지 5등급제로 변경 시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이 커질 것을 우려하여 바꾸지 않았다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이다. 


2028학년도 수능 국어, 수학, 사·과탐 영역

모두 선택과목 없이 통합형으로 시험 보게 돼


교육부는 또 어떤 과목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점수가 달라져, 자신이 원하는 과목이 아닌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즉, 선택자 수가 많아 등급이 잘 나오는 과목)을 선택하는 현재의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선택 과목 없는 통합형 수능을 실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통합형 수능, 즉 진정한 문이과 통합의 수능의 시작인 것이다. 하지만, 교육부에서 설명한 통합형 수능이 개별 과목의 지식을 묻는 암기 위주 평가에서 벗어나 논리적 사고 역량을 키우는 융합 평가로의 개선 방안이 되는지는 의문이다. 과연 현재의 사교육 열풍을 막고 진정한 수능의 의미로서, 학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교과목 선택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남게 되는 것이다.


통합형 수능이 학생들에게 더욱 큰 부담을 안겨주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존재한다. 이에 교육부는 공교육 안에서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과목이라고 발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합형 수능은 학생의 부담감을 증폭시키며, 사교육에 더욱 의존하는 현재의 상황이 오히려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학생과 학부모의 생각일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3기 윤시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8271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9952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63909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18188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24014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22744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19264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2567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21037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30641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18777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19387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23922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20854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17396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19229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19625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25987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36549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27689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20852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28287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22364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21180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17576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27206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16785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15672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23906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23317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18865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27249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19019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17810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20295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26025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21929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18926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30880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17544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25259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24037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17233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16156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32841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28609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22779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20628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20288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342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