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by 이지원기자 posted Jun 13, 2022 Views 188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41221169_20220611160942_4014537974.jpg

[이미지 제공=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서울시아이윌센터)는 10일 오후 3시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대회의실에서 청소년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 및 정책 제안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미디어 사용을 돕는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청소년의 미디어 노출 증가 등 급변하는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 실태 속에서 청소년들의 건강한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서울 전역의 6개 아이윌센터가 참여하는 연합세미나이다. 아이윌센터는 전국 최초로 시작한 서울시 아동·청소년 꿈나무 프로젝트 정책사업을 통해 2007년 개소했으며,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문제와 갈등을 겪고 있는 청소년과 가족에게 다양한 형태의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전문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예방 교육과 대안 활동을 제안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을 돕고 있다.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 청소년과 함께-서울시아이윌센터의 미래 방향’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게임이용장애 등 게임 관련 정책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가 및 청소년이 서울시아이윌센터의 미래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정책을 제안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본격적인 세미나에 앞서 청소년들이 게임중독을 주제로 직접 제작한 ‘924 숏폼 공모전’ 우수작 시상식과 연합세미나를 직접 기획하고 이에 참여한 ‘연합세미나 추진기획단’의 서울시장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다음으로는 상담심리학과 권선중 교수(침례신학대학교)의 기조 강연을 통해 2021년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상담 및 예방 교육 서비스 개입에 대한 효과성 평가 결과 보고와 함께 게임 관련 정책 변화 등에 따른 서울시아이윌센터의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봤다.

이어서 전문가 이해국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중독포럼·가톨릭대학교), 임종범 장학사(서울시교육청 인공지능·창의융합교육), 오종범 과장(서울시 청소년정책과장)을 포함한 학부모, 청소년 등이 함께 인터넷중독 및 게임중독 예방을 위해 서울시 및 서울시아이윌센터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해 토론했다.

2022년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는 6월 10일(금)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으며, 120명가량의 청소년 및 학부모, 교사가 시청했다. 만족도 조사 결과 ‘여러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들을 수 있어 유익했다’, ‘청소년이 직접 참여한 세미나라 더욱 의미 있었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5. 13Jun
    by 이지원기자
    2022/06/13 Views 18876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6.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7.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8.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9.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10.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1.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12.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13.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14.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15.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16. GOS 게이트 톺아보기

  17.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18.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19.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20.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21.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22. 제2 벤처붐 분다

  23.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24.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25.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26.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27.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28.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29.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30.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31.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32.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3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34.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35.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36.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37.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38.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39.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40. 인류가 맞이한 최대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결책은 '회복 탄력성'... 그렇다면 한국은?

  41. 안철수 딸 안설희 박사, 안철수 지지율 상승에 큰 힘이 될까

  42.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43.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44.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45.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46. 尹,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발표, 여가부는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나

  47.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48.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49.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50.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51.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