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by 21기김명현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15877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1.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2016년 12월 9일 정식 개통한 주식회사 SR의 수서 고속철도 SRT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는 KTX보다 10% 저렴한 운임과 약 10분 정도 단축된 도착시간으로 경쟁을 예고하며, 경부선을 비롯한 호남선에 투입된 지 5년, SRT가 연내 익산역에서 분기되어 여수엑스포역으로 가는 전라선 투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르면 하반기 SRT의 전라선 운행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철도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8일 전국철도노조에 따르면 재적 조합원 89.4%가 투표하여, 투표 조합원 67.21%가 찬성해 오는 25일부터 SR의 전라선 SRT 투입 저지와 임금 요구안을 근거로 조합원의 40%인 8,500명이 파업을 예고했다.


KakaoTalk_20211119_09580302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여수를 비롯한 지역 시민들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수서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익산역에서 SRT로 갈아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 부분에서 전국철도노조와 국토교통부의 의견이 크게 엇갈린다. 국토교통부는 전라선을 통해 수서역까지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SR의 전라선 SRT 투입을 검토하고 있고, 전국철도노조는 전라선에 SRT를 투입하더라도 SRT가 운영할 수 있는 열차 편성이 부족하다는 근거로, 기존에 전라선을 운행하던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KTX가 수서역으로 진입하는 수서역 KTX을 주장하고 있다.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이에 권태명 SR 사장은 "철도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철도노조와는 별개로 SRT는 고객 불편 최소화의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SR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경쟁체재를 형성하고 있어, 철도노조의 파업에도 일부 안정적으로 열차가 운행된다는 점에서 경쟁체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지만, 철도의 민영기업인 SR이 많은 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SR의 갈등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갈등이 심화될수록 피해는 시민들의 몫이라는 것이다. 여수엑스포역에서 수서역까지 열차를 이용하는 시민들과, SR이 정상 운영하지만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열차 운행 감소는 시민들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결국 제한적인 한국 철도의 특성상 SR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원만한 합의점을 찾고, 편의성을 도모한 SRT와 KTX가 한국의 명성에 걸맞은 빠르고 안전한 운송수단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1기 김명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4712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5877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852097
거대정당 독식하는 선거제도 개혁해야... file 2018.11.22 박상준 23753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23220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20644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27997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22573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23870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 갑질의 선을 넘었다 file 2018.11.19 박예림 21202
"비타민씨! 남북 공동 번영을 부탁해" 2018.11.16 유하은 25506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28316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층 근로빈곤율 2018.11.12 전고은 24286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33939
안전을 덮는 위장막, 이대로 괜찮은가? 2018.11.08 김근욱 26671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46409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22427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file 2018.11.07 백광렬 27121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26376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22006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36656
또다시 시작된 인도의 공기 오염, 한국보다 10배 심각 2 file 2018.11.02 서은재 23850
'산성터널 시내버스', 부산 300번 버스 타봤더니 file 2018.11.02 양재원 29408
미투 운동의 양면성 file 2018.11.01 이민아 23894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35432
'시간은 흘러도 그때 그 마음 그대로' 촛불집회 2주년 기념 file 2018.10.30 장민주 20799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25882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23133
"풀 오브 카풀(Full of Carpool)"? 카풀과 택시의 대립 1 file 2018.10.29 김지민 27316
JSA 공동경비구역, 평화의 시작점으로 변화하나 2018.10.26 허이령 21570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100만이 분노하다 2 file 2018.10.26 김준수 22395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21715
문 대통령, 교황청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다 file 2018.10.26 이진우 21006
미국환율과 더불어 익히는우리 경제 속의 환율 2018.10.25 9기임은빈기자 22604
경제학이多 - 후생경제학 1 file 2018.10.25 김민우 34392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35103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30067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19912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24150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21199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30640
여성 위생용품 생리대, 발암물질 또 검출 논란 4 file 2018.10.19 김수림 23241
경제학이多 - 행동경제학 file 2018.10.19 김민우 32869
교칙, 은근한 차별과 편견... 1 file 2018.10.18 유하늘 22794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8518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24763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22822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19353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24637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38638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202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