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by 21기김명현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4813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1.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2016년 12월 9일 정식 개통한 주식회사 SR의 수서 고속철도 SRT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는 KTX보다 10% 저렴한 운임과 약 10분 정도 단축된 도착시간으로 경쟁을 예고하며, 경부선을 비롯한 호남선에 투입된 지 5년, SRT가 연내 익산역에서 분기되어 여수엑스포역으로 가는 전라선 투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르면 하반기 SRT의 전라선 운행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철도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8일 전국철도노조에 따르면 재적 조합원 89.4%가 투표하여, 투표 조합원 67.21%가 찬성해 오는 25일부터 SR의 전라선 SRT 투입 저지와 임금 요구안을 근거로 조합원의 40%인 8,500명이 파업을 예고했다.


KakaoTalk_20211119_09580302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여수를 비롯한 지역 시민들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수서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익산역에서 SRT로 갈아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 부분에서 전국철도노조와 국토교통부의 의견이 크게 엇갈린다. 국토교통부는 전라선을 통해 수서역까지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SR의 전라선 SRT 투입을 검토하고 있고, 전국철도노조는 전라선에 SRT를 투입하더라도 SRT가 운영할 수 있는 열차 편성이 부족하다는 근거로, 기존에 전라선을 운행하던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KTX가 수서역으로 진입하는 수서역 KTX을 주장하고 있다.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이에 권태명 SR 사장은 "철도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철도노조와는 별개로 SRT는 고객 불편 최소화의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SR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경쟁체재를 형성하고 있어, 철도노조의 파업에도 일부 안정적으로 열차가 운행된다는 점에서 경쟁체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지만, 철도의 민영기업인 SR이 많은 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SR의 갈등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갈등이 심화될수록 피해는 시민들의 몫이라는 것이다. 여수엑스포역에서 수서역까지 열차를 이용하는 시민들과, SR이 정상 운영하지만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열차 운행 감소는 시민들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결국 제한적인 한국 철도의 특성상 SR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원만한 합의점을 찾고, 편의성을 도모한 SRT와 KTX가 한국의 명성에 걸맞은 빠르고 안전한 운송수단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1기 김명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43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3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4697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112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056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135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666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077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8823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2958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8753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566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562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1675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034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320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249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319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434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009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3931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019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9989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143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2976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256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1 file 2019.11.15 이지현 11904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332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10009
유니클로 광고 논란, 일본 불매운동 재점화 file 2019.11.08 권민서 11879
영국, 12월 12일 조기 총선 실시 확정 file 2019.11.07 김지민 10163
솔라페인트, 페인트로 에너지를! file 2019.11.06 최지호 11769
아침밥은 왜 먹어야 하나요? 1 file 2019.11.01 12기우가희기자 16370
오늘날의 신소재 2019.11.01 김이수현 14086
미-중 무역전쟁의 시초 file 2019.10.31 김효정 9954
영국 산업단지서 시신 39구 실린 화물 컨테이너 발견... file 2019.10.31 김지민 12017
미디어, 가벼운 매체가 가진 무거운 영향력 2019.10.30 김우리 9989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230
자유 찾아 다시 광장으로 나온 시민들, 국정 대전환을 촉구하다 2 file 2019.10.24 우상효 11035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4869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414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2030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0858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전 세계 고기류 인플레 file 2019.10.11 유승연 10148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4158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628
올림픽인가 실험인가 2 2019.09.30 이지환 9801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544
세계는 미투를 외친다 file 2019.09.30 김사랑 10187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8727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9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