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by 16기김나희기자 posted Nov 19, 2020 Views 201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1월 3일 화요일,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 조 바이든(Joe Biden) 사이에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미국 대선은 한반도 통일 문제 및 북한 핵무기 협상 등 중요한 문제를 안고 있었기에, 美 대선에 대한 한국인들의 뜨거운 관심이 쏟아졌다. 또한, 중국, 무슬림 등 아시아 지역의 여러 국가도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이렇듯 세계 각국이 美 대선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선거에서 당선된 대통령을 아는 것은 당연하고 어떤 선출 방식을 거쳐 대통령이 당선되는지 그 과정도 알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올해 열렸던 미국 대통령 선거방식은 우리나라의 선거 방식과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스크린샷(38).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나희기자]


먼저, 미국의 대통령 선거 방식과 우리나라의 대통령 선거 방식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선거 방식부터 꼼꼼히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대통령 선거 방식은 Popular Vote로, 국민은 자신이 원하는 대통령 후보에게 표를 던져,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자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직접 선거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통령 선거 방식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Popular Vote 제도와 함께 Electoral Vote 제도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Electoral Vote는 승자 독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 주 마다 배치되어 있는 선거인단의 모든 표가 Popular Vote에서 표를 더 많이 얻은 후보에게로 주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후보 A와 B가 있다. 선거인단이 10명인 어느 주에서 후보 A가 100표를 얻고, 후보 B가 99표를 얻었다면 이 주의 선거인단 10표는 모두 후보 A에게로 가게 된다. 이러한 대선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대통령 당선을 결정하는 것은 선거인단의 표 차이가 된다. 이때, 선거인단은 각 주의 인구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조건 또한 후보자들이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스크린샷(39).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나희기자]


 왜 미국은 어려운 절차를 가진 선거인단 제도를 도입한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약 3억 3,000만명이라는 방대한 규모의 인구를 가진 미국은 투표부터 개표까지 직접 선거를 시행하는 데에 굉장한 어려움이 뒤따르기 때문에, 보기에는 복잡해 보이지만 효율적인 선거인단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더 낫다는 점을 알아두자. 각국만의 선거 방식에는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우리는 새로운 선거 방식을 알고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김나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5.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6.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7.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8.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9. 19Nov
    by 16기김나희기자
    2020/11/19 Views 20153  Replies 2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10.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1.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2.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13.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14.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15.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6.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7.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8.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19.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0.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21.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22.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23.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24.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25.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26.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27.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28.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29.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30.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31.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32. 예방인가? 위협인가?

  33.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34.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35.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36. 백신, 안전한가?

  37.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38.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39.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40.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1.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42.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43.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44.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45.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46.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47.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48.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49.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50.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51.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