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by 4기박유진기자 posted Jun 25, 2017 Views 251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청기 6월 기사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유진기자]


사교육을 받고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여부에 따라 시험 성적이 갈리는 만큼, 학생들과 학부모는 더 좋은 학원, 선생님, 교육을 찾아 여러 학원을 찾아다닌다. 더 좋은 학원과 과외일수록, 그에 따른 사교육비도 점점 증가한다. 비용부담이 크지만, 자식들을 조금이라도 더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서 비싼 비용도 감수하고 학원으로 보낸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이 내세운 사교육 걱정 해소 공약과 고교서열화해소, 고교학점제, 교실 교육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을 이뤄내기 위해 현재 서울시 교육청은 개인 교습과 학원 등의 교육시간을 오전 5시부터 오후 10시까지로 규정했다. 또 이를 어기고 선행학습, 자유학기제 등으로 광고하는 곳을 특별단속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학원과 같은 사교육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특목고, 자사고 등이 사교육비 지출이 높아 특목고, 자사고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연구원이 일반고와 특목고, 자사고 학생 종단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사고와 특목고 학생의 사교육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특목고와 자사고를 가기 위해 사교육비가 너무 많이 충당되고 있고, 예체능과 과학고를 제외한 특목고인 외고나 자사고가 본래의 목적을 잊은 채 단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입시 명문고가 되었다고 말했다. 공교육을 살리기 위해서는 대학입시 해결에 달려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교서열화와 대학 서열화를 없애야 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본 목적을 잊은 특목고는 일반고로 전환해 사교육보다 공교육을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박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채은기자 2017.06.25 20:12
    제가 중학교 3학년때도 당시 외고, 자사고에 입학한 친구들 중에 혼자 힘으로 입학한 친구들이 없었다는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특목고 전담 학원을 다닌다거나 해서 합격하는 식이었죠. 물론 그 친구들이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지만, 특목고에 가기 위해 쓰여지는 엄청난 사교육비는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이승연기자 2017.07.07 00:15
    교육이 평등화 되려면 많은 문제가 있는거 같네요. 사교육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최서진A기자 2017.07.08 00:29
    취지는 좋지만 다같이 수준 낮은 공교육으로 가서는 안된다고 생각해요.. 질 높은 공교육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것이 정부가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5.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6. 25Jun
    by 4기박유진기자
    2017/06/25 Views 25138  Replies 3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7.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8.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9.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0.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1.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12.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13.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14.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15.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16.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1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18.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19.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20.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21.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22. 새 정부의 5.18

  23.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24.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5.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6.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27.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28.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29.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30.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1.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2.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33.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34.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35.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36.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37.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38.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39. J노믹스의 경제인은?

  40.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41.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2.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43.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44.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45.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46.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47.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48.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49.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50.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51. '소프트 타깃' 테러 언제까지 이어질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