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by 4기민병찬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232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작년부터 올해까지 광화문에서는 1차부터 20차까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한 마음으로 모여 박근혜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외쳤다.광화문에 나와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남녀노소의 시민들이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중에도 눈에 띄는 눈에 띄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바로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이다. 그들은 누구이고 왜 광화문에 있었던 것일까?

대청기 기사사진 3.jpg

[이미지 제공= 21세기 청소년 공동체 희망]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들은 청소년 공동체 ‘21세기 청소년 공동체 희망 (이하 희망)’이라는 단체의 회원이다. 16차 촛불시위가 열렸던 날 이 단체의 회원인 이건우 (전주고 3학년)은 희망을 ‘청소년의 인권보장을 위해 활동하고 특히 요즈음에는 전국의 청소년들에게 광화문으로 올 수 있는 교통수단 제공과 가이드 역할을 하며 청소년들의 정치참여를 보장해 주는 단체’라고 설명했다. 이 학생은 박근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조기 대선이 치러질 텐데 16세까지 참정권을 당연히 주어야 하다고 생각해 나오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청소년들이 이 시국에서 할 수 있는 제일 나은 방법으로 촛불을 들며 거리로 나오고 동시에 청소년들이 투표권을 얻을 수 있도록 청소년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답변했다. 희망은 작년 11월 23일 본격적인 청소년 시국 대회를 시작하여 20차 촛불시위까지 국정교과서 반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세월호 1,000일 추모기념 행사, 그리고 청소년 참정권 요구 캠페인 등을 개최하며 청소년들과 시민들에게 정치적 관심과 진실을 알리기 위해 매주 광화문에 나와 시국 발언과 행진, 자체 캠페인과 촛불집회 참여로 여러 방면에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집회에 참여한 학생의 대다수는 집회에 참여하여 역사의 한 장면을 다른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자기 자신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또한, 그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 될 때까지 희망 회원들과 캠페인과 촛불집회를 참여하여 끝까지 대한민국의 정의를 지키고 싶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4기 민병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도영기자 2017.04.17 23:22
    같은 고등학생이지만 청소년 단체에 가입하여 저런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이 참 부럽기도 하고 멋있어보입니다! 저렇게 학생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는 모습을 보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고 긍정적일 것이라는 확신이 듭니다! 좋은 취재, 기사 감사드립니다!
  • ?
    6기이가영A기자 2017.04.18 00:51
    저런 청소년 단체가 있는지 몰랐는데 새롭게 알고 갑니다 사람 많은 곳에서 자신의 의견을 얘기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대단하신 것 같아요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5.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6. 26Mar
    by 4기민병찬기자
    2017/03/26 Views 23235  Replies 2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7.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8.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9.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10.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11.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12.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3. 김정남 사건, 해외반응은 어떠한가

  14. 끝나버린 탄핵심판...포기하지 않은 그들

  15.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16. 로봇으로 대체되는 인간의 삶, 더욱 필요해진 로봇세

  17. 세월호 인양, 장미대선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인가

  18.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19.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20.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21.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22.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23.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24.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25. 유럽 최초의 평화의 소녀상! 세계의 소녀상의 위치는?

  26.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27. 미국과 중국의 총알 없는 전쟁

  28.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29.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30. 세월호 인양, 현재 상황과 의혹들

  31.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32.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3.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34.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35. 잊혀지지 않을 참사,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앞두고 되짚어 보는 팽목항의 비극

  36.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37.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38.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39.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40.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41.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42.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43.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44. 국민을 위한 공약제안 '대선공약 더불어 온라인 국민제안'

  45. 정치인의 길

  46.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47.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48.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49.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50.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51.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